• 제목/요약/키워드: ESRD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1초

만성신질환의 경과 중 급성 악화를 보인 허탈성 사구체병증의 진단 1예 (A Case of Idiopathic Collapsing Glomerulopathy Showing Aggravation on a Chronic Progressive Course)

  • 박정민;황문주;정요한;이한솔;박종원;김용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102-105
    • /
    • 2012
  • Collapsing glomerulopathy (CG) has become an important cause of end-stage renal disease (ESRD). First delineated from other proteinuric glomerular lesions in the 1980s, CG is now recognized as a common, distinct pattern of proliferative parenchymal injury that portends a rapid loss of renal function and poor responses to empirical therapy. The first cases in the literature trace back to human-immunodeficiency-virus(HIV)-negative patients who underwent biopsy in 1979. A 45-year-old male patient complained of hematuria and proteinuria eight years ago. He showed an abrupt serum creatinine increase from 1.75 to 2.65 mg/dL in the last preceding months. Afterwards, his serum creatinine progressively increased up to 6.82 mg/dL. Moreover, his 24 h urine protein level was determined to have reached 6,171 mg/day, as opposed to 670 mg/day a year earlier. Consequently, renal biopsy was performed, and its result showed collapsing glomerulopathy, compatible with the diagnosis. He has undergone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as renal replacement therapy. Thus, it is reported herein that a patient clinically diagnosed with chronic kidney disease eight years ago showed a sudden renal-function decrease and was clinicopathologically diagnosed with collapsing glomerulopathy based on the results of his renal biopsy.

  • PDF

Hemorhe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 : association of impairment of red blood cell deformability with diabetic nephropathy

  • Shin, Se-Hyun;Ku, Yun-Hee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117-123
    • /
    • 2005
  • Background: Reduced deformability of red blood cells (RBCs) may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pathogenesis of chronic vascular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However, available techniques for measuring RBC deformability often require washing process after each measurement, which is not optimal for day­to-day clinical use at point of care.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develop a device and to delineate the correlation of impaired RBC deformability with diabetic nephropathy. Methods: We developed a disposable ektacytometry to measure RBC deformability, which adopted a laser diffraction technique and slit rheometry. The essential features of this design are its simplicity (ease of operation and no moving parts) and a disposable elemen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lood sample. We studied adult diabetic patient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diabetic complications. Group I comprised 57 diabetic patients with normal renal function. Group II comprised 26 diabetic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CRF). Group III consisted of 30 diabetic subjec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ESRD) on hemo-dialysis. According to the renal function for the diabetic groups, matched non-diabetic groups were served as control. Results: We found substantially impaired red blood cell deformability in those with normal renal function (group I) compared to non-diabetic control (P = 0.0005). As renal function decreases, an increased impairment in RBC deformability was found. Diabetic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group II) when compared to non-diabetic controls (CRF) had an apparently greater impairment in RBC deformability (P = 0.07). The non-diabetic cohort (CRF), on the other hand, manifested significant impairment in red blood cell deformability compared to healthy: control (P = 0.0001). Conclusions: The newly developed slit ektacytometer can measure the RBC deformability with ease and accuracy. In addition, progressive impairment in cell deformability is associated with renal function loss in all patients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abetes. In diabetic patients, early impairment in RBC deformability appears in patients with normal renal function.

공동주택 단지 배치유형별 PV시스템 최적 설치면적 및 전기부하 기여율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Power Saving Fraction of Site Electrical Loa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rea of PV system in Apartment Complex)

  • 윤종호;박재성;신우철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60-66
    • /
    • 2008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optimal size and position of PV system for apartment complex through the electrical load matching analysis. The 4 types of arrangements of apartment buildings are considered as follows; ㅡtype, alternative ㅡtype, ㄱtype and ㅁtype. We assume that the studied site is composed of 9 buildings. Firstly, solar access evaluation of roof and facade in apartment buildings was performed with the hourly simulations of total received insolation on each surface considering the shading effect of buildings. Electrical load profile of typical Korean apartments were investigated for the load matching analysis. To calculate an annual total PV output, we used MERIT program which is a hourly based load matching tool developed by ESRD. TRY weather data of Daejeon are applied for this analysis. Result shows that approximately 11% of total electric load of the site can be supplied by the PV system in the case of full installation of PV system at the whole south-face roof area of 9 buildings in this stuided apartment complex. Depending on a various installation option of roof and facade area, the possible ratio of PV supply in total electrical load varies from 9% to 42%. Among the 4 arrangement types, the ㅡtype revealed the best option for the maximum output of PV system.

Malignancy after Pediatric Kidney Transplantation: The 30-Year Experience of a Single Center

  • Jung, Jiwon;Park, Young Seo;Han, Duck Jong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4권2호
    • /
    • pp.75-82
    • /
    • 2020
  • Objective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manifestations, and outcomes of malignancy after pediatric kidney transplantation (KT) at our center over 30 yea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55 patients under 18 years of age who underwent KT between January 1990 and February 2020 at Asan Medical Center. Results: Twelve patients (7.7%) were diagnosed with a malignancy after KT. Malignancy was diagnosed after a mean period of 6.4±5.9 years (median 4.6, range 0.5-20.6 years) after KT. Nine (75.0%) of the 12 cancer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 (PTLD), and the other three had papillary thyroid cancer, mucoepidermoid cancer of the hard palate, and T-ce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respectively. PTLD was diagnosed within a mean of 3.7±3.4 years (median 3.7, range 0.5-9.8 years) after KT. Five patients diagnosed with PTLD were cured without recurrence. Three patients with PTLD died from the disease, and one patient with mucoepidermoid cancer from a non-PTLD malignancy died after progression, despite surgical resection and chemotherapy. Three (33.3%) of the nine survivors progressed to end-stage renal disease (ESRD) after completing cancer treatment. No patient with post-transplant malignancy (PTM) experienced critical renal deterioration during cancer treatment. Conclusion: PTLD was the most common PTM, occurring at 5.8% of the pediatric KT patients after KT in our center. Careful follow up is needed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risk of PTLD after KT in children.

복막 투석 중인 신증후군 환자의 복막을 통한 단백 소실 (Peritoneal Protein Loss in Nephrotic Syndrome on Peritoneal Dialysis)

  • 안요한;정의석;이세은;이현경;이소희;강희경;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89-196
    • /
    • 2009
  • 목적 : 신증후군에서 사구체 단백 투과성이 증가하는 것은 전신적인 순환 인자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신적인 순환 인자의 사구체 외 기관에서의 영향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복막 투석 중인 steroid resistant nephrotic syndrome (SRNS) 환자에서의 복막투석을 통한 단백 소실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복막 투석 중인 신증후군 환자 12명(SRNS)과 대조군 1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성별, 투석 시작 시 연령, 체중, 신장, 투석 방법, 투석양, 투석 시작 시 검사 소견(혈액 요소 질소, 혈청 크레아티닌, 혈청 단백, 혈청 알부민, 24시간 투석액 부피, 24시간 투석액 단백, Kt/V)과 1년 뒤 투석 시 검사 소견(24시간 투석액 단백)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섭취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nPNA (normalized protein equvalent of total nitrogen appearance)를 측정하였다. 결과 : SRNS군과 대조군은 nPNA를 비롯한 다른 지표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RNS군에서 혈청 알부민이 $3.7{\pm}0.3$ g/dL로 대조군($4.0{\pm}0.4$ g/dL, P=0.021)보다 낮았다. 복막액을 통한 단백 소실량은 SRNS군에서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으며($3,044.4{\pm}837.6\;mg/m^2$/day vs. $1,791.6{\pm}1,244.0\;mg/m^2$/day, P=0.007), 혈장 단백에 대한 복막의 투과성은 SRNS군에서 대조군보다 2배 가량 높았다($1.06{\pm}0.46%$ vs. $0.58{\pm}0.43%$, P=0.010). SRNS군과 대조군 모두 초기와 1년 뒤 복막 단백 소실량이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으며 복막 단백 소실량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는 두 군(SRNS군 vs. 대조군)간에 의미있게 차이가 있었다(P=0.023). 결론 : 신증후군을 앓고 있는 소아 환자에서 복막 투석을 시행할 때는 이들의 영양상태, 성장 및 발달에 평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복막을 통한 단백 소실을 모니터링하여 이를 보충하려는 노력 또한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소아복막투석의 현황: 다기관 공동연구 결과보고 (Current Status of Children on Peritoneal Dialysis in Korea : A Cross-Sectional Multicenter Study)

  • 윤지석;이주훈;박영서;임형은;백경훈;유기환;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76-188
    • /
    • 2009
  • 목적 : 복막투석요법은 말기 신부전 환아에서 신이식 다음으로 추천되는 신대체 요법으로 현재 말기 신부전 환아들의 장기 생존율 향상으로 복막투석요법 환아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한국 내 복막투석요법 소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8년 5월 국내 4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전자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현재 3개월 이상 복막투석 중인 103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103명의 남녀비는 1.6:1로 남아가 많았고, 평균 연령은 $11.5{\pm}4.9$세(0-19세), 투석시작 전 말기 신부전의 원인 중 원발성 사구체 질환이 34%로 가장 많았다. 복막투석의 형태는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법이 42.7%로 가장 많았고, 주간 전체 Kt/V는 $2.1{\pm}0.7$ (0.3-4.1), 복막평형검사상 저 투과성이 36.8%, 저평균 투과성이 31.6%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체중 표준편차점수(Z-score)는 $-1.00{\pm}1.20$(-4.54-+2.50), 신장 표준편차점수(Z-score)는 $-1.55{\pm}1.65$(-9.42-+1.87)였고, 성장호르몬은 24.3%에서 투여 중이었다. 38.8%의 환아에서 이완기 혹은 수축기 혈압 95 백분위수 이상의 고혈압을 보였고, 64.0%의 환아가 항고혈압제 투여 중이었다. 평균 혈청 혈색소는 $10.5{\pm}1.4$ g/dL, 평균 혈청 칼슘은 $9.7{\pm}0.7$ mg/dL, 평균 혈청 인은 $5.4{\pm}1.4$ mg/dL, 평균 부갑상선 호르몬은 $324.2{\pm}342.8$ pg/mL였다. 결론 : 국내 복막투석요법 소아에서 원발성 사구체 질환이 소아 말기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이고,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법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복막투석 형태이며, 복막평형검사상 저 투과성과 저평균 투과성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환아가 적절한 신장과 체중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저신장 환아의 경우 성장 호르몬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고 여전히 많은 환아에서 빈혈과 고혈압이 관찰되었다. 혈청 칼슘과 인은 비교적 정상범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많은 환아가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보였다.

당원병 제 Ia형 환아들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indings of Glycogen Disease Type Ia Patients in Korea)

  • 박민주;안희재;이정호;이동환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2-149
    • /
    • 2014
  • 목적: 당원병은 장기 내에 글리코겐이 축적되는 선천적 대사이상 질환으로 그 중 제 Ia형이 가장 많다. 당원병 제 Ia형으로 진단받은 환아들의 검사소견 및 임상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2002년 7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서울 순천향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당원병 제 Ia형으로 진단된 환아 5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과 유전자 변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본원에서 당원병 제 Ia형을 진단받은 환아들의 진단 당시 나이는 생후 6개월에서 16세까지 분포하였다. 환아들은 내원 당시 모두 간 비대가 있었으며 초음파 검사상 지방간이 확인되었고, 신체발달은 모두 정상이었다. 검사실 소견상 5명 모두에게 고지혈증, 고요산혈증, 젖산혈증이 확인되었으며 빈혈이 있는 환아는 3명, 저혈당증을 보인 환아는 한 명이었다. 5명의 환아는 유전자분석을 통해 확진 하였으며 발견된 유전자형은 c.648G>T의 동형접합, c.122G>A/c.648G>T, c.248G>A/c.648G>T였다. 환아 중 1명에서 신장 결석이 관찰되어 구연산칼륨을 복용 중이며, 1명의 환아가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진단받아 씬지로이드 복용 중이고 2명의 환아는 항고지혈증 약을 복용하며 조절 중으로 그 중 1명은 12세에 모야모야병을 진단받고 수술 받은 과거력 있으며 현재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치료 중이다. 5명 모두 하루 3회 식사와 3회의 간식, 4번의 옥수수전분 투여를 시행하고 있다. 결론: 본원에서 진단된 당원병 제 Ia형 환아들은 모두 신체진찰상 간 비대 소견을 보였으며 검사실 소견상 고지혈증, 고요산혈증, 젖산혈증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을 가진 환아들에게 유전자검사를 시행하여 당원병의 조기 진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16세에 진단받은 환아의 경우 치료에도 불구하고 간경화가 진행되고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치료를 하고 있어 조기 진단 및 치료가 후기 합병증 예방에 중요하며 당원병과 함께 동반될 수 있는 모야모야병이나 당원병의 합병증으로 잘 알려져 있는 신장결석 등의 다른 질환으로 먼저 진단된 환아들도 위와 같은 임상증상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당원병 제 Ia형을 의심해보아야 하겠다.

팔 오금에서 시행한 관통정맥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Arteriovenous Fistula Using Perforating Vein on Antecubital Fossa)

  • 최광호;윤영철;이양행;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42-647
    • /
    • 2010
  • 배경: 팔 오금에서 시행되는 위팔동맥과 자쪽 피부정맥이나 노쪽 피부정맥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 외에 관동정맥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을 시행하여 개통률 및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본원 흉부외과에서 팔오금에 동정맥루 조성술을 시행받은 192명 205예의 수술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개통률 및 개통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관동정맥을 이용한 수술의 6개월, 1년, 2년 개통률은 75.91%, 60.79%, 37.80%으로 다른 혈관을 이용한 수술의 결과와 통계적으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여러 인자 중 연령에 따라 개통률에 차이를 보였다(p <0.001). 결론: 팔 오금에서 동정맥루 조성술이 필요한 환자에서는 관통정맥을 이용함으로써 노쪽 피부정맥과 자쪽 피부정맥을 사용할 수 있어 혈관의 접근 방법이 다양해지고 관통정맥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술식의 어려움이 없어 수술 접근에 대한 추가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혈액투석환자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의 평가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s in the Hemodialysis Patient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

  • 정영진;박유신;김한숙;장유경;김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5호
    • /
    • pp.544-557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nutrient intakes of the hemodialysis patients (26 men and 23 women)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by 3-day dietary recall in Daejeon city and Chungnam area, Korea.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50.7 yrs and BMI was 22.0 $\pm$ 0.4 kg/$m^2$. Education level was divided into two groups ($\leq$ 9 years: LE group, 9 years: HE group), and monthly family income level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 500,000 won: LI group, 500,000-1,499,999 won: MI group, $\geq$ 1,500,000 won : HI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Stu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9.0 version at p < 0.05 level. Intakes of energy, carbohydrates, cholesterol, potassium, thiamin and riboflav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E group than in LE group (p < 0.05). Intakes of all the nutrients except protein and phosphorus were less than Korean RDA, and INQs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of most nutrients were lower than 1.0 but cholesterol, phosphorus. thiamin and niacin being over 1.0 in HE group. MAR (Mean adequacy ratio) of all the nutrients (e.g., energy, protein, calcium, phosphorus, iron, vitamin A, vitamin C,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E group (0.61 $\pm$ 0.04) than in LE group (0.48 $\pm$ 0.03) at p = 0.036. Intakes of energy, protein (total, animal and plant), fat, cholesterol, potassium, calcium, phosphorus, iron, vitamin A, thiamin and riboflavin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HI group than in LI and MI group (p < 0.05). Daily intakes of most nutrients were less than Korean RDA except protein ed phosphorus in HI poop, and INQs of thiamin, niacin and phosphorus were higher than 1.0, while those of calcium, iron, vitamin A and riboflavin were lower than 1.0. MAR of energy and 9 nutr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I group (0.70 $\pm$ 0.04) than in LI group (0. 56 0.04) and MI poop (0.47 $\pm$ 0.03) at p = 0.000. In conclusion, quality of nutrient intakes, especially energy and protei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cioeconomic status such a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p < 0.05).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would be very helpful to develop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hemodialysis patients' education levels, and to improve public supports (e.g., medical insurance system, low-rate lease system of dialysis equipments, etc.) focusing on the patients' family income levels f3r their better nutrition and health.

한국인 IgA 신병증 환아에서 MHC Class II유전자형과 예후와의 관계 분석 (MHC Class II Allele Association in Korean Children With IgA Nephropathy and its Role as a Prognostic Factor)

  • 김병길;육진원;김지홍;장윤수;신전수;최인홍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4권1호
    • /
    • pp.33-39
    • /
    • 2000
  • 목 적 : IgA 신병증은 혈뇨와 단백뇨를 보이는 사구체 질환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중의 하나 이며 우리 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도 높은 발생율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발생기전이나 원인은 불분명한 상태이다. IgA 신병증은 발병 10년 후 $20-30\%$가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행됨이 보고되고 있으나 신부전으로 진행속도는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특이적인 조직적합항원을 찾아냄으로서 치료 및 예후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하여 IgA 신병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 신기능을 유지하고 있었던 소아환아 69명(Group A)과 이미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신이식을 시행 받은 70명(Group B)을 포함한 신기능 저하군으로 분류하여 HLA대립유전자의 결정은 SSOP (sequence specific oligonucleotide probe)법으로 분석하여 HLA-class II(DR, DQ)대립유전자의 발현빈도와 IgA 신병증의 예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진단 당시의 평균나이는 A군은 $8.8{\pm}2.9$세, B군은 $35.0{\pm}15.5$세였고, 남녀비는 각각 2.8:1과 2.5:1이었다. HLA-DQB1 유전자중 139명중 $47.5\%$$03^{**}$의 발현빈도가 가장 증가되어 있었고 $06^{**}(32.4\%),\;04^{**}(28.7\%),\;05^{**}(20.1\%),\;02^{**}(8.6\%)$순이 었다. DQ7의 HLA-DQB1*0301 이 전체 환자의 20.1$\%$(28/139)로 가장 흔한 대립유전자였으나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립유전자중 HㄴA-$DQBI^*03^{**}과\;DQB1^*05^{**}$가 이미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된 Group B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P<0.05), $03^{**}$ 아형중 $DQB1^{*}0302와\;05^{**}중\;DQB1^{*}05031$이 신기능이 정상인 A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DR 유전자형의 low-frequency type상 HLA-$DRB1^*03과\;HLA-DRB1^*15$가 Group B에서 유의 있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high-frequency type상에서는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군의 경우 신조직 검사의 소견에 따라 4등급으로 분류하여 대립유전자의 발현빈도를 분석하였으나 의미 있는 관계가 없었다. 곁 론 : IgA신병증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여러 조사에서 발병 초기의 심한 단백뇨, 고혈압, 조직 병리학상의 심한 변화 등이 있을 경우 예후가 나쁘다고 하였으며 이런 위험 인자외에 유전적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신대체요법을 받은 IgA신병증환자군에서 HLA-$DQB1^*0302와\;^*05031$ 대립유전자의 발현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어 이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후의 경과 및 예후를 진단초기에 예측하여 환자의 관리에 적용할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