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R1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33초

ESR1 and PGR Gene Promoter Methylation and Correlations with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in Ductal and Lobular Breast Cancer

  • Medina-Jaime, Alma Delia;Reyes-Vargas, Francianella;Martinez-Gaytan, Victoria;Zambrano-Galvan, Graciela;Portillo-DelCampo, Eduardo;Burciaga-Nava, Jorge Alberto;Reyes-Romero, Miguel;Sifuentes-Alvarez, Antoni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041-3044
    • /
    • 2014
  • The aim of this work was to analyze methylation of the promoter sites of the ESR1 and PGR genes and to determine correlations with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in ductal and lobular breast cancers. An observational, descriptive, molecular study was conducted on 20 ductal and 20 lobular breast cancer samples with immunohistochemical determination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 expression. The methylation analysis of ESR1 and PGR promoter sites was carried-out by methylation-specific PCR. For correlation analysis, Kendall's tau coefficient was determined.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estrogen receptor and unmethylated progesterone receptor, progesterone receptor, and unmethylated progesterone receptor.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strogen receptor and methylated progesterone receptor, progesterone receptor and methylated progesterone receptor, methylated and unmethylated estrogen receptor, and methylated and unmethylated progesterone receptor. The results suggest that methylation of promoter sites of ESR1 and PGR is a relatively uncommon event in ductal and lobular breast cancer, and also suggest that the determination of epigenetic states of ESR1 and PGR could represent an alternative or complement to the histopathological expression analysis.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방법에 의한 국내 유통 분말형 식품가공원료의 방사선 조사 여부 모니터링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Food Additives by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Method)

  • 윤혜정;허정무;양수형;이병헌;권중호;김동호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7-34
    • /
    • 2008
  • 곡류 및 전분류, 채소 및 과일류, 생선, 육류 및 콩류 및 향신류 등의 시료에 대한 감마선 조사에 의한 검지 특성을 물리적 검지 방법인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electron spin resonance (ESR) 및 thermoluminescence (TL) 분석을 통하여 검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SL 분석 결과 곡류 및 전분류 시료군 가운데 옥수수 전분, 소맥분과 채소 과일류 시료군의 미역 등의 시료는 비 조사군(negative, ${\leq}700$)으로 판정되었으며, 생선, 육류 및 콩류 시료군의 흰 강낭콩 추출분말 및 향신료 시료군의 칠리 파우더를 포함한 9종의 시료는 감마선 조사군(positive, ${\geq}5000$)으로 판정되었다(전체 시료의 3.2%). 이외에 39종의 시료군에서는 방사선 조사 가능성이 있는 700~5,000 범위의 photon counts (intermediate)를 나타내었다(전체 시료의 15.6%). 이들 시료에 대한 TL 분석 결과, 칠리 파우더를 비롯한 미네랄이 분리된 5종의 시료에서는 $150{\sim}250^{\circ}C$ 전후에서 TL glow curve ($TL_1$)을 나타내어 감마선 조사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ESR 분석 결과 2차 검증 시료군에서 방사선 유래 특이적인 signal이 관찰되지 않아서 추출물 시료에는 ESR 분석법의 적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스핀공명 및 Hydrocarbon 분석에 의한 방사선처리 건고추의 저장 중 검지특성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Dried Red Pepper during Storage by the Analysis of Electron Spin Resonance and Hydrocarbons)

  • 김병근;이정은;;김동호;양재승;변명우;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22-1528
    • /
    • 2004
  • 건고추의 방사선 조사 여부 판별법을 연구하고자 부위별(분말, 과피, 씨, 줄기) 전자스핀공명(ESR)을 분석한 결과, 조사시료에서는 비조사 시료에서 볼 수 없었던 cellulose radical에 의해 생성되는 한 쌍의 peak가 6 mT의 간격을 두고 signal을 보여주었다(g=2.024, 2.006, 1.987). ESR signal은 조사 선량의 증가에 따라 크기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ESR signal은 실온 저장 12주 후에도 측정이 가능하였다. GCMS에 의해 고춧가루 지방질로부터 hydrocarbon류를 검출한 결과, 조사 시료에서는 비조사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은 1-tetradecene(14:1), 1,7,10-hexadecatriene(16:3), 1,7-hexadecadiene(16:2), 1-hexadecene(16:1), 6,9-heptadecadiene (17:2), 8-heptadecene(17:1) 등의 hydrocarbon류가 검출되었고 저장 8개월까지도 검출이 가능하여 방사선 조사 marker로써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분말수프의 이화학적 품질과 조사여부 판별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and Detection Properties of Irradiated Powdered-Soups)

  • 곽지영;안영은;정보윤;권중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82-89
    • /
    • 2012
  • 시판 다소비 분말수프 3종(감자 수프/PS, 옥수수 수프/CS, 향신료 수프/CHS)에 대한 살균 목적의 감마선 조사(0, 1, 5, 10 kGy)가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감마선 조사 여부의 판별을 위하여 광자극발광분석(PSL), 전자스핀공명분석(ESR) 및 열발광분석(TL)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수분함량 및 pH는 조사 여부에 상관없이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기계적 색도는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PS 시료의 명도(L)는 감소하였고 황색도(b)는 증가하였다. 수프현탁액의 점도는 감마선 조사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으며, PS>CS>CHS의 순으로 점도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분말수프의 감마선 조사 여부 판별시험에서 1 kGy 이상의 조사시료는 PSL 측정에서 5000 PCs 이상의 값을, ESR 측정에서 crystalline sugar 유래의 multicomponents signal을, 그리고 TL 측정에서 typical TL glow curve를 각각 나타내어 PSL, ESR 및 TL 분석의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PDF

방사선조사 건조향신채소의 PSL, TL 및 ESR 검지 특성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Dried-Spicy Vegetables by Analyzing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Thermoluminescence (TL) and Electron Spin Resonance (ESR))

  • 권중호;김미영;김병근;이정은;김동호;이주운;변명우;이창복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0-54
    • /
    • 2006
  • 건조 채소류 중 건조 양파 및 마늘에 대하여 감마선 조사(1,4,7kGy)에 따른 검지특성을 photostimulated luminescence(PSL), thermoluminescence(TL) 및 electron spin resonance (ESR)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PSL분석 결과, 건조 양파 시료는 설정된 negative$(\leq1700)$ 및 Positive$(\geq5000)$ 기준에 맞게 비조사군과 조사군의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건조 마늘의 경우 1 및 4 kGy 조사군은 $700\~5000$ 범위의 photon counts (intermediate)를 보였으나 7kGy 조사군에서는 positive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TL 분석 결과에서는 1kGy 이상으로 조사된 두 시료 모두 $150^{\circ}C$ 전후에서 TL glow curve $(TL_1)$를 나타내어 조사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또한 TL ratio $(TL_1/TL_2)$의 측정은 TL 검지결과의 신뢰성을 높여주었다. ESR 분석에서는 두 시료 모두 비 특이적인 signal이 관찰되어 적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피롤 첨가에 의한 supercapacitor용 저 임피던스 전극 (Electrode of Low Impedance by Polypyrrole Addition for Supercapacitor)

  • 김경민;장인영;강안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3-350
    • /
    • 2003
  • The best Ppy weight ratio was 7 wt% and the optimal electrode composition ratio was 78 : 17 : 5 wt.% of (MSP-20 : BP-20 =1 : 1), (Super P : Ppy =10 : 7) and P(VdF-co-HFP). Implantation of Ppy as the conducting agents have led to superior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 low of internal resistance and faradaic capacitance. The result of unit cell with Ppy 7 wt% were as follows: 28.02 Fig of specific capacitance, 1.34 Ω of DC-ESR and 0.36 Ω of AC-ESR. Unit cell showed a good stability up to 200 charge-discharge cycles, retaining 82% of their original capacity at 200 cycles. From the analysis of impedance, the electrodes with Ppy 7 wt% showed low ESR, low charge transfer resistance and quick reaction rate. It was inferred that quick charge-discharge was possible. As compared with the specific capacitance (rectangular shape) of CV, it was also concluded that the specific capacitance originated from thecompound phenomena of the faradaic capacitance by oxidation and reduction of Ppy and the non-faradaic capacitance by adsorption-desorption of activated carbon.

  • PDF

Gated recurrent unit (GRU) 신경망을 이용한 적혈구 침강속도 예측 (Forecasting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using gated recurrent unit (GRU) neural network)

  • 이재진;홍현지;송재민;염은섭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61
    • /
    • 2021
  • In order to determin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indicating acute phase inflammation, a Westergren method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it is cheap and easy to be implemented. However, the Westergren method requires quite a long time for 1 hour. In this study, a gated recurrent unit (GRU) neural network was used to reduce measurement time of ESR evaluation. The sedimentation sequences of the erythrocytes were acquired by the camera and data processed through image processing were used as an input data into the neural network models. The performance of a proposed models was evaluated based on mean absolute error. The results show that GRU model provides best accurate prediction than others within 30 minutes.

유방암과 CCND1, ESR1, CDK7 유전자 다형성의 상호작용;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MDR)의 분석 비교 (Gene-gene interaction of CCND1, ESR1 and CDK7 on the risk of breast cancer detected by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 and logistic regression)

  • 최지엽;;;이경무;노동영;유근영;;강대희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예방의학회 2004년도 제56차 추계 학술대회 연제집
    • /
    • pp.40.1-40.1
    • /
    • 2004
  • PDF

Association of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in the ESR2 and FSHR genes with poor ovarian response in infertile Jordanian women

  • Sindiani, Amer Mahmoud;Batiha, Osamah;Al-zoubi, Esra'a;Khadrawi, Sara;Alsoukhni, Ghadeer;Alkofahi, Ayesha;Alahmad, Nour Alhoda;Shaaban, Sherin;Alshdaifat, Eman;Abu-Halima, Masood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8권1호
    • /
    • pp.69-79
    • /
    • 2021
  • Objective: Poor ovarian response (POR) refers to a subnormal follicular response that leads to a decrease i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eggs retrieved after ovarian stimulation during assisted reproductive treatment (AR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of multiple variants of the estrogen receptor 2 (ESR2) and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eceptor (FSHR) genes with POR in infertile Jordanian women undergoing ART. Methods: Four polymorphisms, namely ESR2 rs1256049, ESR2 rs4986938, FSHR rs6165, and FSHR rs6166, were investigated in 60 infertile Jordanian women undergoing ART (the case group) and 60 age-matched fertile women (the control group), with a mean age of 33.60±6.34 years.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detected by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d then validated using Sanger sequencing. Results: The p-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 regarding FSHR rs6166 was very close to 0.05 (p=0.054).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other three SNPs, namely ESR2 rs1256049, ESR2 rs4986938, and FSHR rs6165 (p=0.561, p=0.433, and p=0.696, respectively). Conclusion: The association between FSHR rs6166 and POR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in the present study, but the near-significant result of this experiment suggests that statistical significance might be found in a future study with a larger number of patients.

ESR Spectroscopy에 의한 치료용 고에너지 광자선의 선량측정 (High Energy Photon Dosimetry by ESR Spectroscopy in Radiotherapy)

  • Chu, Sung-Sil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권1호
    • /
    • pp.31-42
    • /
    • 1990
  • 방사선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Co-60 감마선과 6, 10 MV X-선등 다양한 에너지와 2 Gy 에서 10 Gy 의 조사선량 범위에 대한 정확한 선량측정은 방사선치료효과를 더욱 높힐수 있고 휴유증에 대한 선량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지금까지 방사선치료 범위에 속하는 방사선 계측은 주로 전리함을 사용하였으며 Build up cap 이나 팬텀을 이용하여 노출선량을 계측하고 계측된 값에 에너지에 따른 흡수선량 변환계수 , 측정기의 구성물질에 대한 저지능등 많은 변수를 고려해야하는 복잡성이 있으며 인체내의 선량분포측정이 어려웠다. 본실험에 사용한 Alanine 측정기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유기물질로서 인체조직과 등가이고 부피가 작으므로 (0.5$\times$1cm) 조직내에 많이 삽입하여 방사선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었다. 방사선에 노출된 Alanine 은 구성분자의 일부분이 전리되어 장기간 Free radical 상태로 존재하며 마이크로파를 투과시키면 전자의 고유진동수와 일치된 전파를 흡수하는 전자스핀공명(Electron spin resonance) 이 일어나고 흡수된 전파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서 흡수선량을 추측할 수 있다. 방사선흡수선량 측정은 Co-60 원격치료장치의 선원에서 80cm 거리에 3개의 Alanine 측정기를 Build up holder 에 넣어 고정시키고 방사선치료 선량범위인 0.1Gy 에서 100 Gy 까지 조사하였으며 이때 ESR Spectra 의 진폭은 흡수선량에 비례하였고 선량 균일성의 표준편차는 2 Gy 에서 1% 이었으며 4 Gy 이상에서는 0.5% 이었다. 조직내 선량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인체구성과 같은 Rando phantom 내에 Alanine 측정기를 삽입하고 조사면과 에너지에 따른 방사선 흡수선량분포및 섬부율을 측정한 결과 표준 심부율과 일치하였다. 특히 Alanine 측정기는 온도 습도에 대한 변화가 적고 시간 경과에 대한 변화도 거의 없었으며 (년간 약 1% 감소 ) 에너지에 따른 변화도 없었기 때문에 치료방사선 영역의 선량 측정과 조직내 선량분포에 적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