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T richnes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수서곤충 EPT-group을 이용한 무심천의 조사지점별 특성 (Characteristics of Musim Stream by Surveyed Sites Based on EPT-group of Aquatic Insects1a)

  • 신현선;오사무 미타무라;김숙정;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0-426
    • /
    • 2008
  • 본 연구는 무심천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총 9개 지점을 선정하여 수서곤충의 EPT-group을 이용하여 EPT-비율, EPT 풍부도, EPT 종수와 개체수를 지점별로 비교분석하였고 수서곤충의 종 조성에 따른 UPGMA분석으로 조사지점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였으며 수서곤충의 섭식기능군은 하천차수에 의해 비교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무심천의 수서곤충은 총 8목 36과 71종으로 조사되었고 EPT 비율과 EPT 풍부도는 지점 3에서 각각 0.72, 3.89로 다른 지점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지점 9에서는 0.03, 0.09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또한 EPT 종수 및 개체수는 지점 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UPGMA분석 결과 무심천의 각 지점은 A1(st. 1, 7, 8), A2(st. 2, 3, 4, 5, 6), B(st. 9)로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섭식기능군은 지점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중류역에서는 써는무리와 긁어먹는 무리가 다른 지점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난 반면 하류에서는 걸러먹는무리와 줍는무리가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의하면 조사지점에 따라 수서곤충의 EPT-richness, EPT-ratio, EPT 수 뿐만 아니라 섭식기능군의 조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 일대 하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수계별 군집구성 (Community Composition on Stream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Daegu)

  • 곽인실;정선애;정경숙
    • 환경생물
    • /
    • 제26권1호
    • /
    • pp.47-55
    • /
    • 2008
  • 영천, 경주 지역의 도덕산, 구미산, 인내산 주위의 주요 수계 하천의 중 상류 11$\sim$12개 지점에서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을 조사하였다. 수심, 유속, pH, 탁도(NTU), 전기전도도와 DO 등의 이화학적 환경도 측정하였다. 수심은 3.3$\sim$18.6 cm, 전기전도도는 35.5$\sim$223.1${\mu}s$, DO는 5.66$\sim$10.73 $mgL^{-1}$의 분포를 보였다. 대상 조사지점에서 총 78종이 출현하였으며, 수서곤충이 주로 채집되었다. 깔따구류가 전 출현개체수의 59$\sim$65%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하루살이류가 12$\sim$19%, 달팽이류가 5$\sim$14%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점 중에서는 인내산이 가장 다양한 생물이 서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EPT 풍부도는 4$\sim$14로 나타났으며 인내산의 IN2, IN3지점에서 14를 보여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가장 낮게 나타난 곳은 도덕산의 DD2, DD4지점으로 조사되었다.

지리산 주요 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포의 특성 (A Characteristic of Community Distribution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Major Streams of Jirisan Mountain)

  • 김형곤;윤춘식;황종우;박은희;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91-302
    • /
    • 2014
  • We have studie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ructure o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twelve selected sites in upstream, midstream and downstream of Paemsagol, Piagol, Chilseongol and Daeseonggol, major streams of Jirisan Mountain, for three years from April 2008 to September 2010. As a result, 2 phyla, 3 classes, 11 orders, 41 families, 119 species and 4,449 individual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have been collected and classified in this study. Among them EPT group (Ephemeroptera, Plecoptera, Trichoptera), commonly appearing taxa in clean stream ecosystem, was found most frequently. The highest species number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in 2008, the year with lower climatic influence including heavy rain. In almost all of survey sites 80% or over of EPT group were counted, and St. 1 scored highest rate of EPT group at 92.59%. Most dominant species was Ecdyonurus kibumensis at 12.83% of dominance index, and subdominant species was Goerodes KUb at 6.81% of dominance index. The investigation of the feeding function group indicated that gathering-collectors were dominant with 26 species and 1,334 individuals, while the number of filtering-collectors was lowest with 11 species and 230 individuals. This result represents that the feeding function group of Jirisan Mountain is mountainous stream-specific one. Both diversity index and richness index were lowest at the midstream of Chilseongol (St. 5), while the midstreams of Daeseonggol (St. 11) and Piagol (St. 8) were highest in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respectively. The analyses of linear regression and correlation were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and to predict the appearance aspect of EPT group by altitu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Plecopteran species number has increased by the elevation of the altitude at 0.05 significance level. Cluster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for evaluating environmental similarities among survey sites. As a result, upper regions of Paemsagol (St. 1) and Piagol have clustered as most similar sites each other, while the midstream of Piagol (St. 8) has separated with lower similarity value than other sites in species composition.

수학적 모형을 이용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조사면적 관계 해석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ological Indices and Survey Area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Using Mathematical Model)

  • 공동수;김아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10-618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ample size (accumulated survey areas) on the seven biological indic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MI, the index similar to Zeilika-Marvan’s saprobic index, tended to be independent on the variations of sample size. The other indices (Shannon-Weaver’s diversity, Margalef’s richness, Menhinick’s richness, Pielou’s evenness, and Lenat’s EPT index) showed the considerable variations along with the increase of sample siz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o get the appropriate index values, it should be sampled at least 6 replicates more based on 30×30cm Surber sampler. In addition, the habitat heterogeneity index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uggested in this study, it will be able to be used for evaluating the heterogeneity of habitats.

산간계류(청계산)의 물리적 환경요인과 생물지수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Biological Indices of A Mountain Valley Stream (Mt. Cheoggye))

  • 여민정;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88-301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benthic macroinvertebrate fauna inhabiting at the mountain valley stream (Mt. Cheonggye) in Kore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biological indices.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at five locations on August 24 and October 14, 2020, and were identified as 4 phyla, 7 classes, 16 orders, 42 families, and 72 species. Dominance ranged from 0.38 to 0.59, diversity 2.81 to 3.75, richness 3.25 to 4.63, evenness 0.65 to 0.84, and %EPT (Ephemeroptera-PlecopteraTrichoptera) richness value 42% to 73%, respectively. All sites were evaluated as a very good status by mostly biological indices based on tolerance of indicator organisms in Korea. As a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iological indices are classified into species-level indices and higher cartegory-level indices according to the taxonomic level of the indicator organism considered in each index. As a result o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urrent velocity was a major factor that increased species richness and classified biological indices according to taxonomic category level. Water depth was a major factor related to the community indices, and the deeper the water depth, the lower the diversity and the evenness.

Effects of low-head dam removal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a Korean stream

  • Kil, Hye-Kyung;Bae, Yeon-Ja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69-7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a low-head dam removal (partial removal) could affect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a stream.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substrates were seasonally sampled before and after dam removal (March 2006-April 2007).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substrates were quantitatively sampled from immediately upstream (upper: pool) and downstream (lower: riffle) sites, the location of the dam itself (middle), and immediately above the impoundment (control: riffle). After the removal, species richness and dens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s well as the EPT group (Ephemeroptera, Plecoptera and Trichoptera) increased to higher levels than those before the removal, while functional feeding groups and habitat orientation groups changed more heterogeneously at the upper site. At the lower site, species richness and density decreased somewhat immediately after dam removal, which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of silt and sand, but recovered after monsoon floods which helped to enhance substrate diversity at the upper site. Decreased dominance index and increased diversity index in both the upper and lower sites are evidence of positive effects from the dam removal.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even a partial removal of a dam, resulting in increased substrate diversity in the upper site, could sufficiently help rehabilitate lost ecological integrity of streams without major habitat changes.

가야산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섭식기능군 및 서식습성군 분포와 생물학적 수질평가 (Distribution of Functional Feeding and Habitat Trait Group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Gayasan National Park)

  • 문태영;안미순;김형곤;윤춘식;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383-399
    • /
    • 2018
  • In the present study, the community distribution, functional feeding groups, and habitat groups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Gayasan National Park were investigated at eight different sites from 2015 to 2016. The correlation between habitat altitude and each group type was analyzed statistically. Biodiversity indices, including dominance, diversity, richness, and evenness indice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showed a total of 4,216 individual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including 4 phyla, 6 classes, 16 orders, 40 families, and 100 species. Gammarus sobaegensis was dominant with 0.141% dominance, and the subdominant species was Epeorus nipponicus with 0.088% dominance. The EPT group(Ephemeroptera, Plecoptera and Tricoptera) accounted for 71.00% of the total species and 67.69% of the total individuals. The number of scraper species was highest, and the number of gathering collector individuals was highest among functional feeding groups. The individual number of scrapers(r=-0.358, p < 0.05) and gathering collectors(r=-0.343, p < 0.05) decreased with increasing altitude. The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clingers and sprawlers were highest among the habitat groups. The individual number of clingers(r=-0.547, p < 0.01) and burrowers(r=-0.331, p < 0.05)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ltitude. The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were higher in St. 3 than in the other sites.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St. 2, and the evenness index was highest in St. 7. We evaluated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with several known methods, and concluded that ESB(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vertebrates community) and GPI(Group polution index) were more suitable than KSI(Korean saprobic index) and BMI (Benthic macrovertebrate index) to assess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of Gayasan mountain stream water.

동강 지류 기화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특성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Gihwa Stream, Tributary of Dong River, Korea)

  • 전형주;홍철;송미영;김경환;이완옥;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2권2호
    • /
    • pp.105-117
    • /
    • 2019
  • 동강 지류인 기화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6지점을 대상으로 2013년 4월과 11월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5강 12목 29과 63종이었다. 출현 종수는 4월 조사에서 총 48종으로 지점별로 11~28종, 11월 조사에서 총 44종으로 지점별로 13~24종이 출현하였다. 계절별 출현 개체수는 4월 조사에서 $560{\sim}2,290inds.\;m^{-2}$, 11월 조사에서 $806{\sim}3,674inds.\;m^{-2}$로 다소 증가하였다. 종조성을 살펴보면 우점종으로는 깔따구류가 4월 조사에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11월 조사에서 연날개수염치레각날도래가 가장 우점하였다. 섭식기능군은 4월의 경우 전체 지점에서 GC가 우세하였으나, 11월은 FC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날도래목의 증가로 St.1, St.5, St.6의 EPT는 4월보다 11월에 증가하였으며, 양식장 주변에 위치한 St.2, St.3, St.4는 전체적으로 EPT가 낮게 나왔으나, 깔따구류의 감소로 BMI는 4월보다 11월에 더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의 환경요인은 St.1을 제외하고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전기전도도, 염분농도, 수폭은 계절적 차이를 보였다. 환경요인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을 다변량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조사시기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들 그룹은 전기전도도, 염도, 하상구성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사방댐 준설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diment Control Dam Dredging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of Mountain Stream)

  • 김봉성;이창우;서을원;이종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454-460
    • /
    • 2012
  • 본 연구는 사방댐의 준설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북북부지역 예천, 영주, 봉화의 산간계류에 위치한 사방댐을 대상으로 준설 전 후로 조사하였다. 조사는 실험수계 3곳과 대조수계 2곳의 사방댐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로 설정하여 2011년 5월부터 8월까지 이루어졌다. 실험수계에서 준설 전 4문 6강 11목 31과 56종이 출현하였으나, 준설 후 4문 5강 10목 27과 51종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사방댐 준설후 발생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미소서식처 파괴는 종수 및 개체수의 감소로 이어졌으며, 특히 실험수계의 상류지점에서는 종수가 평균 38% 감소하였다. 전반적으로 준설 후 실험수계에서 종풍부도지수와 종다양도지수가 감소했지만, 우점도지수는 증가하였다. 실험수계의 상류지점에서 미소서식처의 파괴와 정수역이 형성되었으며, 유속이 감소하고 하상구조는 모래나 실트로 단순해졌다. 그에 따라 상류지점의 섭식기능군과 서식기능군의 종조성은 단순해졌으며, 상 하류 군집의 차이가 커졌다. 또한 상류지점에서는 유속이 느리거나 정수역을 선호하는 깔따구류(Chironomidae spp.), 부채장수잠자리류(Gomphidae spp.), 하루살이류(Ephemeridae spp.)의 개체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군집의 균형성을 나타내는 EPT/C 지수가 감소하였다.

사방공작물 시공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rosion Control Work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 이익수;정유경;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86-694
    • /
    • 2012
  • 본 연구는 산지 황폐계류에 시공한 사방공작물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7년 4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사방공작물이 설치되지 않은 계곡 상류지역의 대조지점(Site 1)과 사방공작물이 시공된 2개의 지점(Site 2, Site 3)을 대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의 변화와 생물학적 수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은 조사결과 4문 6강 13목 24과 27종 6,922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조사지점 평균값으로 볼 때 단각목의 보통옆새우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다양도지수는 Site 2의 4차 조사에서 1.47로 가장 높았으며, Site 2의 6차 조사에서 0.2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균등도지수는 Site 2의 4차 조사에서 0.82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Site 1의 5차 조사에서 0.19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풍부도지수는 Site 1의 1차 조사에서 2.79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Site 2의 6차 조사에서 0.29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 (ESB)는 조사기간동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섭식기능군은 SH(Sherdder)가 조사기간동안 가장 많은 개체수로 조사되었으며, EPT분류군 개체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