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4초

사과 중 Diazinon, Fenitrothion, EPN의 잔류량과 저장, 각피 및 세척에 의한 잔류농약 제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sidues of Diazinon, Fenitrothion, and EPN in apple and removal of Pesticide Residues by Storing, Peeling and Washing)

  • 김순희;정규철
    • 환경위생공학
    • /
    • 제6권2호
    • /
    • pp.89-108
    • /
    • 1991
  •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s such as Diazinon, Fenitrothion and EPN in apple and effect of storage peeling and washing on removal of the residues from apple soaked in 3 kinds of pesticides solutions for 20 seconds were studed with gas chromatography-nitrogen phosphorus detecter(GC-NPD).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 1) Average concentrations of DiaEinon, Fenitrothion, and EPN detected in apple of control group were 0.022, 0.007 and 0.008 ppm respectively. 2) Decreasing rates of Diazinon on 7 th, 14 th, 21 st, 28 th, and 35 th day after soaking apple on the pesticide solution were 41.3% , 68.6% , 87.0%, 96.9% and 99.5% respectively. In case of Fenitrothion were 46.9%, 66.3%, 84.9%, 93.2% and 97.3% and EPN were 45.7 %, 76.2%, 85.4%, 95.7% and 99.4% respectively. 3) The removal rate of Diazinon, Fenitrothion and EPN by washing with water alone were 93.7%, 70.6% and 51.5% respectively, and 97.1% , 78.4% ailed 76.5% by washing with 0.2% detergent solu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have show that 3 kinds of pesticides detected in app- les were below the Korean standard for residual pesticides and pesticides contaminated in apples were decreased in considerable degree by washing with water and 2% detergent solution and removed almost completely after storage for 35 days (5 weeks). Therefore, it would be concluded that washing and peeling will be the most effective way for safely because more than 90% of pesticide exist in peel.

  • PDF

과실 및 채소류에 대한 유기 인계 농약의 잔류소장 (Disappearance of Organic Phosphate Insecticides Residue on Vegetables and Fruit Crops)

  • 우기대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229-238
    • /
    • 1977
  • 유기인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을 파악(把握)하여 작물(作物)에 대(對)한 농약(農藥)의 사용(使用)을 기(期)하고저 배추, 오이, 토마토, 포도, 복숭아에 대(對)해 Diazine에 EPN, Parathion, Malathion, Diazinon, Sumithion의 경전잔류(經前殘留)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 배추에 대(對)한 Diazinone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21일후(日後)에 0.25~0.38p.p.m이 EPN은 1 회(回) 살포시(撒布時)는 7일후(日後)에 1.39~2.69p.p.m이 2살(撒) 포시(布時) 14 0.96~2.34p.p.m 검출(檢出)되었다. 2. 포되에 대(對)한 EPN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7일후(日後) 1.09~1.80p.p.m이 Sumithion은 14일후(日後) 0.17~0.53p.p.m이 검출(檢出)되었다. 3. 복숭아에 대(對)한 Parathion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14일후(日後)에 0.40~0.61p.p.m이 검출(檢出)되었다. 4. 토마토에 대(對)한 Dimethoate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7일후(日後)에 0.141p.p.m이 검출(檢出)되었다. 5. 오이에 대(對)한 EPN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3일후(日後)에 2.11~2.14p.p.m이 검출(檢出)되었고 Malathion은 약제살포당일(藥劑撒布當日)에 0.46p.p.m 3일후(日後)에 0.062~0.025p.p.m이 검출(檢出)되었다. 6. 과실(果實)및 채소류(菜蔬類)에 대(對)한 약제간(藥劑間) 경시분해도(經時分解度)가 반감기간(半減期間)에는 역(逆)의 관계(關係)가 성립(成立)되었다. 7. 배추 포도 오이에 대(對)한 EP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기간(使用禁止期間)은 배추는 1회(回) 살포기(撒布期) 7일간(日間), 2회살포기(回撒布期) 14일간(日間), 오이는 3일간(日間), 포도는 7일간(日間)이고 8. 복숭아에 대(對)한 Parathi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기간(使用禁止期間)은 14일간(日間) 9. 토마토에 대(對)한 Dimethoate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기간(使用禁止期間)은 7일간(日間) 10. 오이에 대(對)한 Malathi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使用禁止) 기간(期間)은 0~3일간(日間) 11. 포도에 대(對)한 Sumithi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使用禁止) 기간(期間)은 21일간(日間) 12. 배추에 대(對)한 Diazin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使用禁止) 기간(期間)은 21일간(日間)으로 정(定)하여 농약(農藥)을 사용(使用)함이 농산물(農産物)의 안전유통(安全流通)을 위(爲)해 좋은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Adsorption and Leaching of EPN in the Soil

  • Kim, Jung-Ho;Kam, Sang-Kyu;Park, Moon-Ki;Moon, Yung-Soo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1999년도 임시총회 및 가을 학술발표회 초록집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pp.221-223
    • /
    • 1999
  • The adsorption and leaching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 EPN are investigated in Namwon soil(black volcanic soil), Aewol soil(very dark brown volcanic soil) and Mureung soil(dark brown nonvolcanic soil) sampled in Cheju Island. The organic matter of Namwon soil, Aewol soil and Mureung soil is 19.8%, 6.2%, 2.4%, respectively.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of Namwon soil, Aewol soil and Mureung soil is 24.8 meq/100g, 13.0 meq/100g, 9.5 meq/100g, respectively. The Freundlich constant, K value, is 89.4, 26.9 and 9.25 for Namwon soil, Aewol soil and Mureung soil, respectively. The K value of Namwon soil with very high organic matter content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the highest for Aewol soil and Mureung soil. The Freundlich constant, 1/n, show a high correlation with organic matter content, i.e., it is less than unity for organic matter rich soil of Namwon soil and greater than unity for organic matter poor soil of Mureung soil. The leaching of EPN is slower for Namwon soil with high K values, and faster for Mureung soil with low K values. The results of the study is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pollution for EPN have little leached into soil environment.

  • PDF

Imaging Diagnosis of Emphysematous Pyelonephritis in a Non-Diabetic Dog

  • Kim, Heesu;Lee, Kija;Chung, Jinyoung;Ahn, Jinok;Park, Inchul;Choi, Sooyou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1-234
    • /
    • 2020
  • An 11-year-old, 4.3 kg, mixed breed, intact female dog exhibiting vomiting and a reduced appetite was presented. On physical examination, palpation of the right kidney elicited discomfort. Blood analysis revealed leukocytosis with neutrophilia, and elevation of alkaline phosphatase and blood urea nitrogen. Escherichia coli was detected in urine culture, whereas urine analysis showed absence of glucose. Radiography and ultrasonography suggested that there was gas in the right renal parenchyma, and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while the dog was awake to investigate the suspected gas in the right kidney. After unilateral ureteronephrectomy, a histological diagnosis of right emphysematous pyelonephritis (EPN) was made. EPN refers to a severe necrotizing infection of the renal parenchyma with gas accumulation in the tissue. It is rare in both human and veterinary medicine, and almost all EPN patients have uncontrolled diabetes mellitus.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imaging-based diagnosis of a rare occurrence of unilateral EPN in a non-diabetic dog.

자외선과 광 촉매제를 이용한 감귤껍질 농약제거공정의 최적화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for Pesticides Removal in Mandarine Orange Peel by Ultraviolet Rays and Photocatalytic Materials)

  • 김희선;한명륜;김애정;김명환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1호
    • /
    • pp.28-33
    • /
    • 2011
  • UV-C와 -B type의 lamp를 이용한 혼합 자외선(UV)조사의 조사시간, 조사온도 및 광 촉매제인 $H_2O_2$의 분사농도변화를 이용하여 감귤껍질에 부착되어있는 농약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의 최적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Chloropyrifos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은 조사온도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 조사시간, $H_2O_2$ 분사농도 순 이었다. Methidathion은 조사시간이 가장 컸으며 조사온도, $H_2O_2$ 분사농도 순으로 나타났다. EPN은 조사온도와 조사시간이 비슷하게 나타났고 $H_2O_2$ 분사농도가 가장 작았다. UV감귤껍질의 농약 잔존량이 가장 작게 나타난 처리조건으로 chloropyrifos와 EPN에 대한 최적조건으로는 조사시간 60분, 조사온도 $45^{\circ}C$, $H_2O_2$ 분사농도 1000 ppm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methidathion의 경우에는 최적조건으로는 조사시간 60분, 조사온도 $40^{\circ}C$, $H_2O_2$ 분사농도 1000 ppm으로 나타났다. 최적공정조건에서 chloropyrifos, methidathion 및 EPN의 잔존 량은 조사 전의 각각 46, 49 및 28% 수준이었다.

Emphysematous pyelonephritis associated with calcium oxalate uroliths detected on computed tomography in an awake dog

  • Kwak, Ho-Hyun;Hussein, Kamal Hany;Woo, Heung-Myong;Park, Kyung-Mee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93-96
    • /
    • 2020
  • An 11-year-old female mixed-breed dog admitted due to anorexia and vomiting. Radiography showed 7.6-mm uroliths in the right proximal ureter and an enlarged kidney. Type 1 emphysematous pyelonephritis (EPN) was diagnosed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in the awake dog. Right ureteronephrectomy was performed, and Escherichia coli was isolated. The stone was consisted of 80% calcium oxalate. At the 6-month follow-up, no complications were observ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EPN caused by calcium oxalate in a dog. In addition, we suggest performing CT in weak animals to diagnose EPN without anesthesia.

환경변이원 및 항변이원에 관한 연구: 살균제 Captan 및 유기인계 살충제 (Diazinon, MEP, Malathion 및 EPN)의 혼합처리가 E. coli $WP_2 S$ (uvrA-, trp-) 균주의 돌연변이와 생잔율로 미치는 영향

  • 조봉금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09
    • /
    • 1989
  • 살균제 Captan, 살충제 Diazinon, MEP, Malathion 및 EPN 의 단독 처리 그리고 Captan 반복처리와 이들 살충제와 서로 다른 조합으로의 동시적, 시간적 복합처리가 E. coli WP2S(uvrA-, trp-) 균주의 돌연변이유발 빈도 및 생잔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aptan, Diazinon, MEP, Malathion, EPN 및 UV 의 동시적 복합처리는 이들 농약의 단독 처리에서 보다 E. coli WP2S (uvrA-, trp-)균주의 돌연변이유발빈도가 높았고 이들 농약의 단독처리효과를 합한 가산적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조건하에서 이들 농약의 처리농도를 배로 늘렸을 때는 배가효과를 보였으나 이 균주의 증가된 돌연변이 유발빈도는 cinnamaldehyde 30ng 및 60ng/ml 그리고 tannic acid 50ng/ml 배지로 각각 첨가했을 때 감소되었고 생잔율은 증가되었다.

  • PDF

과실채소중(果實菜蔬中) 유기인계(有機燐系) 농약잔류(農藥殘留)에 관(關)한 연구(硏究)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 서윤수;류홍일;김인기;김학엽;김성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0-36
    • /
    • 1984
  • 수종(數種)의 과실채소류(果實菜蔬類)에 대(對)한 유기린계(有機燐系) 살충제들의 잔유량(殘留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채소류(菜蔬類)(무우, 배추, 오이, 토마토)에서 diazinon의 검출률(檢出率)은 20%,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20ppm$ 이었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04ppm이었다. DEP는 검출률(檢出率)이 52.5%,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273ppm$이었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96ppm 이었다. Malathion의 검출률(檢出率)은 15%이며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38ppm$이고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21ppm 이었다. 2) 고추에서는 EP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 되었으며, PAP는 1점(點)의 시료(試料)에서만 0.006ppm으로 검출(檢出)되었다. 3) 포도에서의 PAP는 검출률(檢出率)이 20%이고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08ppm$ 이었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06ppm 이었다. EP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되었으며 MEP의 검출률(檢出率)은 20%,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07ppm$이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05ppm이었다. 4) 복숭아에서 EP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이었고, demeton-methyl은 검출률(檢出率)이 30%,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47ppm$이였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32ppm이었다. parathion은 1점(點)의 시료(試料)에서만 0.003ppm으로 검출(檢出)되었다. 5) 본(本) 조사결과(調査結果)에서 대상농작물(對象農作物)인 국내생산(國內生産) 과실채(果實菜) 소중(蔬中) 유기린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의 잔유량(殘留量)은 국내외(國內外)의 잔류허용기준(殘留許容基準)에 훨씬 미달(未達)되는 수준(水準)이었으며 그 잔유량(殘留量)도 세정(洗淨)이나 조리과정(調理過程)에서 상당한 량(量)이 제거(除去)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실제(實際)로 인체내(人體內)에 섭취(攝取)되는 잔유농약(殘留農藥)의 량(量)은 극소(極小)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 PDF

자외선 조사에 의한 고춧가루 중 잔류농약 제거효과 연구 (Removal effect of residual pesticides in red pepper powder by UV irradiation)

  • 정유정;엄미나;정일형;손종성;김경아;신상운;오상헌;김봉렬;채경석;윤미혜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5-150
    • /
    • 2012
  • 고춧가루에 잔류되어 검출 빈도가 높은 농약인 Endosulfan(${\alpha}$-, ${\beta}$-체) Cypermethrin, Fenitrothion, Hexaconazole, EPN을 고춧가루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뒤 365, 254 nm 파장에서 조사거리와 조사시간을 달리하여 잔존률을 조사하여 자외선 조사로 인한 농약의 제거효과를 알아보았다. 365 nm의 경우 조사거리 20 cm, 조사시간이 5분일 때 ${\alpha}$-Endosulfan 73.4%, ${\beta}$-Endosulfan 69.6%, Cypermethrin 60.8%, Fenitrothion 92.7%, Hexaconazole 73.8%, EPN 90.5%의 잔존률을 나타내었으며, 254 nm의 경우 조사거리 5 cm, 조사시간 36시간 일 때 ${\alpha}$-Endosulfan 74.6%, ${\beta}$-Endosulfan 64.5%, Cypermethrin 71.1%, Fenitrothion 79.1%, Hexaconazole 79.4%, EPN 64.7%의 잔존률을 나타냈다.

제주도(濟州道)의 감귤(柑橘)및 감귤원(柑橘園) 토양(土壤)에 관(關)한 잔류농약조사(殘留農藥調査) - 제1보(第一報), 감귤중(柑橘中)의 농약잔류(農藥殘留)에 관(關)하여 - (A Survey of Pesticide Residues of Citrus Fruits and Citrus Orchard Soil in Jeju Island - Part 1. Pesticide Residue of Citrus Fruits -)

  • 이규승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3호
    • /
    • pp.178-183
    • /
    • 1980
  • 1979년 제주도에서 생산된 감귤을 제주시와 서귀포의 시장을 중심으로 50점을 채취하고 또 감귤원의 개원년수에 따라 5년, 10년, 15년, 20년, 그리고 30년된 포장에서는 각각 10점씩의 감귤을 채취하여 농약잔류수준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유기인계살충제로는 EPN이, 또 유기염소계 살충제로는 Kelthane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2. 시장조사의 경우에 EPN은 $0.009{\sim}0.025\;ppm$ 수준에서 총 시료중 26%가 검출되 었고, Kelthane은 trace-0.007 ppm 사이에서 모든 시료로부터 검출되었다. 3. 포장시료인 경우에는 시장시료와 비슷한 잔류수준을 나타냈으며, 특히 Kelthane잔류량은 15년 이상의 과원에서 10년이하의 과원보다 다소 높았다. 4. 이들 조사된 감귤중의 농약잔류수준은 외국의 농약잔류허용량에 비하여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