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HX1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만성폐쇄성폐질환 발생에 Epoxide hydrolase와 GSTM1유전자 다형성의 의의 (Genetic Polymorphism of Epoxide Hydrolase and GSTM1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박상선;김은정;손창영;위정욱;박경화;조계중;주진영;김규식;김유일;임성철;김영철;박경옥;나국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1호
    • /
    • pp.88-97
    • /
    • 2003
  • 연구배경 : 90% 정도의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들이 흡연력이 있으나 흡연자의 15~20%에서만 COPD가 발생하는 것은 유전자 감수성 등 다양한 다른 인자들의 영향이 있음을 암시한다. 담배 연기 속에 포함된 epoxide를 가수 분해하는 효소인 microsomal epoxide hydrolase(mEPHX)의 효소 활성은 두 개의 유전자 다형성 양상에 따라 서로 다르므로 이 다형성의 양상에 따라, 그리고 활성화된 유독 물질을 대사시키는 glutathione Stransferase의 M1 subunit 유전자 (GSTM1)의 homozygous deletion 여부에 따라 COPD의 발생 위험도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 대상 및 방법 : 전남 대학교 병원 호흡기 내과에 내원한 58예의 COPD군과 이와 연령이 비슷한 폐결핵 환자 59례 및 정상인들 20례로 구성된 대조군(79예)의 말초혈액 백혈구로부터 추출한 DNA를 이용하여 mEPHX 유전자의 다형성과 GSTM1 유전자의 결손 여부 그리고 임상 양상과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mEPHX 유전자의 exon 3과 exon 4를 각각 두 쌍의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하여 제한 효소 절단 양상으로 유전자 다형성 위치의 염기를 확인하였고 일부에서는 염기 서열을 직접 확인 하였다. 또한 GSTM1 유전자의 exon 4와 exon 5 부위를 PCR 증폭하여 homozygous deletion 여부를 혈액응고인자 V를 양성대조로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COPD와 대조군 양군 간에 연령 ($63.7{\pm}10.9$ vs $60.4{\pm}8.1$세)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흡연자는 COPD군(33/40, 82.5%)이 대조군(38/71, 53.5%)에 비하여 많았다(p<0.01). GSTM1은 73예가 결손되어 53.3%의 결손율을 보였는데 COPD군(32/58, 55.2%)과 대조군(41/79, 51.9%)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mEPHX는 29예(21.2%)가 slow, 73예(53.3%)가 normal, 32예(23.4%)가 fast enzyme activity를 보이는 유전자형이었는데, slow enzyme activity를 보이는 유전자형의 빈도가 COPD군(7/57, 12.3%)에서 대조군(22/77, 28.6%)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COPD 발생의 비교 위험도는 mEPHX의 낮은 효소 활성을 보이는 유전자형이 0.32 (95% 신뢰구간 0.14-0.75, p<0.01)를 보였으나, 흡연자들만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을 때는 mEPHX의 유전자형에 따른 COPD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소수의 집단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GSTM1 결손이나 mEPHX의 유전자형은 COPD 발생의 유의한 위험인자는 아니었다.

Prediction of Genes Related to Positive Selection Using Whole-Genome Resequencing in Three Commercial Pig Breeds

  • Kim, HyoYoung;Caetano-Anolles, Kelsey;Seo, Minseok;Kwon, Young-jun;Cho, Seoae;Seo, Kangseok;Kim, Heebal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3권4호
    • /
    • pp.137-145
    • /
    • 2015
  • Selective sweep can cause genetic differentiation across populations, which allows for the identification of possible causative regions/genes underlying important traits. The pig has experienced a long history of allele frequency changes through artificial selection in the domestication process. We obtained an average of 329,482,871 sequence reads for 24 pigs from three pig breeds: Yorkshire (n = 5), Landrace (n = 13), and Duroc (n = 6). An average read depth of 11.7 was obtained using whole-genome resequencing on an Illumina HiSeq2000 platform. In this study, cross-population extended haplotype homozygosity and cross-population composite likelihood ratio tests were implemented to detect genes experiencing positive selection for the genome-wide resequencing data generated from three commercial pig breeds. In our results, 26, 7, and 14 genes from Yorkshire, Landrace, and Duroc, respectively were detected by two kinds of statistical tests. Significant evidence for positive selection was identified on genes ST6GALNAC2 and EPHX1 in Yorkshire, PARK2 in Landrace, and BMP6, SLA-DQA1, and PRKG1 in Duroc. These genes are reportedly relevant to lactation, reproduction, meat quality, and growth traits. To understand how thes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related positive selection affect protein function, we analyzed the effect of non-synonymous SNPs. Three SNPs (rs324509622, rs80931851, and rs80937718) in the SLA-DQA1 gene were significant in the enrichment tests, indicating strong evidence for positive selection in Duroc. Our analyses identified genes under positive selection for lactation, reproduction, and meat-quality and growth traits in Yorkshire, Landrace, and Duroc,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