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DM 고무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2초

Butyl고무와 EPDM고무 블렌드의 경화특성, 물리적 성질 및 내오존성 (Cure Characteristics, Physical Properties and Ozone Resistance of Butyl Rubber and EPDM Rubber Blends)

  • 박찬영;황영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4호
    • /
    • pp.329-334
    • /
    • 2011
  • 일반적으로 butyl 고무(IIR : isobutylene isoprene rubber)는 우수한 내기체투과성 및 저반발 탄성체로서 우수한 충격흡수성을 갖는다. 본 실험에서는 butyl고무에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기계적 혼련법으로 blend 혼련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가교 거동, 물리적 성질 및 내오존성 등을 측정하였다. EPDM 고무량이 증가할수록 최적 가황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체투과속도 테스트에 의한 내기체투과성 측정 결과 butyl고무량이 50 wt% 이상일 경우에는 기체투과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한편 butyl rubber/EPDM 블렌드의 경우에 EPDM의 함량이 25 wt.% 이상 함유될 경우 내오존성이 향상되어 50 pphm, $50^{\circ}C$, 120시간 조건에서도 아무런 표면변화가 없었다.

TG/DTG 방법에 의한 EPDM/IIR 고무 블렌드의 열분석 (Thermal Characterization of an EPDM/IIR Rubber Blend using TG/DTG Anylsis)

  • 안원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2권1호
    • /
    • pp.55-58
    • /
    • 2007
  • TG/DTG 열분석법을 이용하여 EPDM/IIR 고무 블렌드의 열적 성질을 각각의 EPDM 및 IIR 샘플과 비교하여 시험하고 그 들 상호간의 상용성을 연구하였다. 실험에서 EPDM/IIR 고무 블렌드 샘플의 TGA 열분석곡선은 EPDM 및 IIR의 고유한 열분해 특성을 동시에 반영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샘플에 대한 DTG 곡선을 구하여 본 결과, 블렌드의 DTG 곡선은 EPDM과 IIR 의 DTG peak 특성을 각각 나타내는 두 개의 peak로 분리되어 나타났으며, 특히 IIR의 특성 peak는 원래 IIR peak보다 약 $25\;^{\circ}C$ 정도 고온으로 이동하여 나타난 반면 EPDM의 특성 peak는 약 $15\;^{\circ}C$ 정도 저온으로 이동하여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EPDM이 IIR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적 안정성이 더 큰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또한 EPDM과 IIR의 블렌드는 부분적으로 상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미리 결정된 EPDM/IIR 블렌드의 조성비에 따른 DTG 곡선과의 관계를 미리 준비해 두게 되면, 본 실험에서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TGA 실험을 통하여 미지의 EPDM/IIR 블렌드에 대한 조성비도 다른 고무 블렌드에서와 마찬가지로 정량적인 정보를 얻어 낼 수 있었다.

합성고무에 있어서의 에치렌-푸로피렌고무의 장래

  • 대한타이어공업협회
    • 타이어
    • /
    • 통권47호
    • /
    • pp.13-25
    • /
    • 1973
  • 최근 급속히 에치렌-푸로피렌 고무의 수요가 신장해 온배경으로서 이 고무의 장점, 문제점, 수요동향 및 장래성에 대해서 언급하고 특히 EPDM의 문제로 되고 있는 가류속도, 점착성, 접착성, 가공류성, 가공성등에 대해서 그 대책과 금후의 지침에 대해서 설명했다. 최후로 EPDM의 수요분야, 예상 및 EPDM이 범용고무로 될 수 있기 위한 조건등에 대해 논했다.

  • PDF

불포화 고무와 포화 고무의 공가류 및 내오존성 (Covulcanization and Ozone resistance for Unsaturated and Saturated Rubbers)

  • 임원우;정일택;한민현
    • 접착 및 계면
    • /
    • 제2권4호
    • /
    • pp.32-38
    • /
    • 2001
  • 본 실험에서는 공가류와 내오존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고무 조성비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사용한 시편은 NR, SBR, BR, IIR 및 EPDM을 다양한 비율로 블렌딩 한 고무 조성물(시편 A), NR/BR/SBR로 구성된 불포화 고무 조성물(시편B)와 NR/IIR/EPDM로 구성된 포화 고무 조성물(시편C)이다. 시편A와 시편B, 시편A와 시편C를 각각 공가류시켜 PAD 접착 시편을 제작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편A에 대해서 내오존성을 평가하였다. 시편 A의 불포화 고무 조성중(NR/BR Blend)에 BR보다 NR의 비율이 높을수록 시편B와 시편C와의 접착 강도가 높았고, 또다른 불포화 고무 조성(NR/SBR)에서는 NR보다 SBR 함량이 높을수록 접착 강도는 높았다. 또한 시편A의 조성중에서 NR/BR/IIR/EPDM 조성물 보다 NR/SBR/IIR/EPDM 조성물이 접착성이 우수하였다. 고무 조성중 불포화 고무가 많을수록 접착 강도는 우수하였으나, 내오존성은 다소 열세였다. 불포화 고무와 포화 고무의 비율이 60/40 정도 일 때 접착 강도와 내오존성이 모두 양호하였다.

  • PDF

신발겉창 재료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와 TPU/부타디엔 고무 블렌드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Rubber (EPDM) and TPU/Polybutadiene Rubber (BR) Blends for the Application of Footwear Outsole Materials)

  • 김지후;김규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3호
    • /
    • pp.195-200
    • /
    • 2013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신발 겉창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의 내마모성과 습윤시의 내슬립성을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또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BR)를 블렌드하여 향상시키는 것이다. 10 wt%의 EPDM 또는 BR이 TPU에 투입되었을 때 TPU/EPDM과 TPU/BR 블렌드는 TPU보다 우수한 NBS 내마모도, 인장 물성 그리고 습윤 내슬립성을 보였다. 10 wt% 이상 투입될 때는 내마모도와 인장 물성 모두 감소하였다. 10 wt% 투입시의 내마모도와 인장물성 상승은 TPU의 상분리도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리콘/EPDM고무 블렌드의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Silicone/EPDM Rubber Blend)

  • 김진국;이형규
    • 폴리머
    • /
    • 제25권3호
    • /
    • pp.406-413
    • /
    • 2001
  • 고분자의 블렌드는 새로운 성질을 가지는 재료의 제조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재료는 재료사이의 점탄성, 표면에너지 그리고 상호결합력의 차이로 인하여 비상용성을 지니며, 이로 인하여 블렌드물은 예상되는 물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실리콘 고무는 우수한 내열성과 전기적 성질을 가지며,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고무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지니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실리콘과 EPDM 고무의 블렌드를 통한 전기적 성질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새로운 기능성 재료의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 PDF

EPDM 발포체의 가황거동 또 기계적물성에 미치는 분쇄고무의 영향 (Effect of Ground Rubber on Mechanical Properties of EPDM Foam)

  • 임학상;임정철;서관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2호
    • /
    • pp.132-137
    • /
    • 2000
  • EPDM 발포체 제조의 충전제로 폐타이어 분쇄고무와 카본블랙을 각각 사용하면서 가황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조사하여 이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충전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황시간이 짧아짐을 알았다. 분쇄고무를 충전제로 사용한 경우 충전제의 함량이 30 phr 이상이 되면 발포배율, 인장강도 및 신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반면에 카본블랙을 사용한 경우는 70 phr이 사용될 때까지 인장강도 및 신율의 급격한 변화는 없었다. 이들을 고려할 때, 분쇄고무의 사용량은 30 phr 미만으로 제한시켜야 함을 알았으며 이는 낮은 계면 접착력 때문이었다. 제조된 EPDM 발포체는 우수한 내노화성을 나타내었다.

  • PDF

실리콘고무 함량이 EPDM 고무의 열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licone Rubber Content on Thermal Stabilities of EPDM/Silicone Blends)

  • 박수진;김종학;주혁종;김범용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4호
    • /
    • pp.266-271
    • /
    • 2005
  • 실리콘 고무 (SR) 함량이 EPDM/SR 블랜드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TGA 열분석을 수행하여 열분해온도, 열분해 활성화에너지 ($E_d$), 열분해 후 잔여량 등 열안정성 인자들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SR 첨가량이 10 wt%일 경우 블랜드의 열분해 곡선은 순수한 EPDM 고무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SR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블랜드의 열분해는 더 높은 온도에서 진행되었다. 순수한 EPDM 고무인 경우 $E_d$ 값은 처음에는 서서히 감소하다가 분해분율이 20 wt%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SR 함량이 10-20 wt%일 경우 블렌드의 $E_d$은 순수한 EPDM 고무의 경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분해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반면에 SR 첨가량이 30 wt%일 경우 블렌드의 $E_d$은 순수한 EPDM 고무의 경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분해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다. 또한, $800^{\circ}C$에서의 열분해 후 잔여량은 SR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이는 분해된 실록산 그룹이 경화된 수지의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열전달 및 확산을 제한한 것으로 판단된다.

EPDM, IIR, 그리고 BIIR 내후성 고무 복합체의 열노화 거동 (Thermal Aging Behaviors of Weather Resistant Rubber Composites of EPDM, IIR, and BIIR)

  • 최성신;김종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2호
    • /
    • pp.148-155
    • /
    • 2012
  • EPDM, IIR, 그리고 BIIR 복합체를 열노화시켜 가교밀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노화 시간이 증가하거나 노화온도가 올라갈수록 EPDM 복합체의 가교밀도는 증가하였으나, 고온에서 장기간 노화된 IIR과 BIIR 복합체의 가교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EPDM 복합체의 가교밀도 변화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BIIR 복합체보다 높았다. 실험결과는 알릴 수소의 수, 아연 복합체의 활성화, 입체 가리움 효과, 그리고 고무 사슬의 산화로 설명하였다.

AES 그라프트 공중합에서 EPDM 고무의 디엔 함량 및 점도에 따른 영향 (The Effect of the Viscosity and Diene Contents of EPDM for Graft Copolymerization of AES)

  • 이슬;이병도;김중인;송요순
    • 공업화학
    • /
    • 제20권3호
    • /
    • pp.339-345
    • /
    • 2009
  • Acrylonitrile과 EPDM 고무 및 styrene을 원료로 AES 수지의 공중합을 개시제 함량, EPDM의 디엔 함량 및 점도가 다른 고무, 용매의 농도 및 종류를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개시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전환율이 증가하였고, 분자량 및 평균 고무입자크기(RPS, Rubber Particle Size)는 감소하였다. 그라프트 비(GR, Graft Ratio)는 낮은 개시제 농도에서는 개시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최대값을 보이고 개시제 농도가 계속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용매의 양이 감소할수록 전환율과 GR은 증가하였으나, 고무입자크기는 감소하였다. 단일 용매 중에는 톨루엔이 가장 좋은 반응 활성을 보였고, 에틸벤젠과 톨루엔을 섞으면 톨루엔만 사용하는 것보다 더 좋은 활성을 보였다. EPDM의 점도가 증가하면 고무입자크기가 커졌으며, 디엔 함량이 증가하면 GR과 SAN이 내포된 고무입자가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