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OF analysi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6초

Variations of Sea Leve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in Korean Seas by Topex/Poseidon and NOAA

  • Yoon, Hong-Joo;Kang, Heung-Soon;Cho, Han-Keu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9-63
    • /
    • 2007
  • Altimeter (Topex/Poseidon) and AVHRR (NOAA) data were used to study the variations and correlations of Sea Level (S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the North East Asian Seas from November 1993 to May 1998. This region is influenced simultaneously to continental and oceanic climate as the border of the East Sea (Japan Sea). SL and SST have increased gradually every year because the global warming, and presented usually a strong annual variations in Kuroshio extension region with the influence of bottom topography.

모세관 전지영동법에 의한 굴뚝에서 포집된 NaOH 용액속의 염소이온의 측정 (Determinaton of Chloride Ion Captured into Strong NaOH Solution from Chimney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 임인덕;성용익;김양선;임흥빈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7-333
    • /
    • 1999
  • Determination of chloride ion in concentrated NaOH solution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has been studi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indirect UV absorption detection using chromate buffer at 254nm. The matrix effect of the sample has been observed so that the sensitivity in strong NaOH solutaion has decreased up to 10% of that in distilled water. The pH effect of the sample on the sensitivity of CE peaks has been investigated. The method for increasing the sensitivity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 optimum pH and concentration of the buffer were 7.5 and 10mM, respectively. A cationic surfactant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 was added to a buffer solution in order to reverse the electroosmotic flow(EOF) in the capillary. This results in a short analysis time and better peak shapes. Using this optimum condition, the determination of chloride ion in real environmental sample has been performed, which is captured in strong NaOH absorbent prepared for absorbing gas from chimney. The standard addition method has been appli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it was obtained the good reproducibility.

  • PDF

서해안 곰소만 갯벌 온도의 구조 및 변화 (Structure and Variation of Tidal Flat Temperature in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 이상호;조양기;유광우;김영곤;최현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1호
    • /
    • pp.100-112
    • /
    • 2005
  • 갯벌의 온도구조와 열적 특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서해안 공소만 갯벌조간대에서 고도가 다른 3개 지점을 설정하여 40 cm깊이까지 계절별로 1개월간의 온도관측을 수행하였다. 표층에서 평균온도는 하계에 아래층보다 높고 동계에는 낮아져 표층가열과 냉각에 의한 온도구조와 변화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표준편차는 아래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주기성이 뚜렷한 일사량과 조위 변화가 주로 단기적 온도변화를 야기하였고, 간헐적으로는 강우와 강한 풍속도 영향을 주었다. 시계열분석에 의하면 24시간, 12시간 그리고 8시간 주기 성분에 강한 에너지 첨두(peak)를 보였으며, 24시간 주기성분이 가장 큰 에너지를 보였다. 24시간 주기 성분은 일사량변화, 12시간 주기는 반일주조 조위변화 그리고 8시간 주기성분은 일사량과 조위변화의 상호작용에 의한 온도파동으로 해석되었다. EOF분석에서 제 1모드와 제 2모드가 수직온도구조 변화의 96%를 차지하였다 제 1모드는 갯벌 표층에서의 가열과 냉각에 의한 현상으로, 제 2모드는 갯벌내부의 열 전파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효과로 해석되었다. 교차스펙트럼 분석에서 24시간 주기성분 온도파동에 의한 열전달위상은 깊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평균위상 차이를 보였고, 표층에서 10 cm, 20 cm, 40 cm 깊이까지의 위상 차이에 의한 지연시간은 각각 3.2시간, 6.5시간 9.8시간이었다. 일차원적 열확산모델에서 산출된 24시간 주기성분 온도파동의 수직 확산계수는 깊이와 계절에 걸쳐 평균하였을 때 중부조간대 정점에서는 $0.70{\times}10^{-6}m^2/s$, 하부조간대 정점에서는 $0.57{\times}10^{-6}m^2/s$의 값을 보였다. 깊이 평균된 확산계수는 봄철에 크고 여름철에 작았고, 계절 평균된 확산계수는 2cm부터 10cm깊이까지 증가하고 10cin부터 40cm깊이까지는 감소하는 수직구조를 보였다. 평균 열확산계수를 사용하여 구한 온도전파 확산속도는 2 cm 깊이로부터 10 cm, 20cm, 40cm까지 각각 $8.75{\times}10^{-4}cm/s,\;3.8{\times}10{-4}cm/s,\;1.7{\times}10^{-4}cm/s$정도의 값이 되어 표층에서 깊어질수록 작아졌다.

ANALYSIS AND INTERCOMPARISON OF VARIOUS GLOBAL EVAPORATION PRODUCTS

  • School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Tokai University, Tsuyoshi Watabe;School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Tokai University, Masahisa Kubot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85-288
    • /
    • 2008
  • We analyzed evaporation data in the Japanese Ocean Flux Data Sets with Use of Remote Sensing Observations (J-OFURO) Ver.2. There exists huge evaporation in Gulf Stream, Kuroshio Extension, the ocean dessert and the southern part of the Indian Ocean. The temporal variation of evaporation is overwhelmingly large, of which the standard deviation is more than 120(mm), in the Kuroshio Extension region. Also, the result of harmonic analysis gives that this large variation is closely related to annual variation. In addition, the first EOF mode shows long-term variation showing the maximum amplitude between 1992 and 1994 and remarkable decrease after 1994, and large amplitude in the equatorial region and northeast of Australia. The second and third mode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El Nino. Moreover, we compared J-OFURO2 evaporation product with other products. We used six kinds of data sets (HOAPS3 and GSSTF2 of satellite data, NRA1, NRA2, ERA40 and JRA25 of reanalysis data) for comparison. Most products show underestimation in the most regions, in particular, in the northern North Pacific, mid-latitudes of the eastern South Pacific, and high-latitudes of the South Pacific compared with J-OFUR02. On the other hand, JRA25 and NRA2 show large overestimation in the equatorial regions. RMS difference between NRA2 and J-OFURO2 in the Kuroshio Extension was significantly large, more than 120(mm).

  • PDF

동해의 Topex/Poseidon 고도계로부터 추정된 해면고도이상치의 수평구조와 변동성 (Variability and Horizontal Structure of Sea Surface Height Anomaly Estimated from Topex/poseidon Altimeter in the East (Japan) Sea)

  • 김응;노영재;김창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94-110
    • /
    • 2003
  • 본 연구는 Topex/Poseidon 고도계 자료(1992∼2000년, 286 cycles)를 사용하여 동해의 해면고도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과 구조를 규명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객관적 적합보간법을 이용하여 격자구조의 해면이상치(SSHA)자료를 생성하였으며, 스펙트럼 분석과 경험직교함수 분석을 하였다. SSHA분포는 동해 극전선 해역을 중심으로 남쪽해역과 북쪽해역으로 구분이 되며, 남쪽해역은 쓰시마난류의 영향을 받아 SSHA의 변동폭이 크고, 북쪽해역은 상대적으로 작다. 동해에서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은 5개의 경험직교함수로서 특징 지워지며 총분산의 85% 이상을 설명할 수 있었다 제 1모드는 동해의 전역의 SSHA의 계절 및 년간 변동을 지배하며 총분산의 72.3%로 우세하다. 제 2-5 모드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분산을 설명하고 있으며(약 14%), 주로 쓰시마난류, 동한난류와 관련된 해류의 영향에 의한 연안해역의 변동과 극전선역의 사행과 관련된 변동 및 중규모 소용돌이와 관련된 변동으로 파악되었다. 유의한 스펙트럼을 보이는 주기는 0.5년 1년, 2.5년, 3.3년 등이었다.

동중국해에서 위성에서 추정된 10년 동안의 표층 입자성 유기 탄소의 시/공간적 변화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Satellite-derived 10-year Surface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in the East China Sea)

  • 손영백;이태희;최동림;장성태;김철호;안유환;유주형;김문구;정섬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1-437
    • /
    • 2010
  • SeaWiFS자료를 Maximum Normalized Difference Carbon Index(MNDC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정된 particulate organic carbon(POC)는 장강에서 유입된 담수의 영향을 받는 동중국해에서 시/공간적 해양환경 변화를 조사하는데 사용했다. 10년 평균한 POC 농도는 (1997년-2007년) 뚜렷한 계절적 변화를 보인다. POC 경년 변화는 전체 지역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세 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평균한 결과에서 1998년 이후 꾸준한 감소를 보이는 장강과는 달리 감소되는 경향이 관측되지 않았다. 자세한 POC 시/공간적인 변화를 관측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여름철 (6월-9월) 자료를 선정하여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EOF)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성분은 장강으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으로 공간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두 번째 성분은 장강의 유출량과는 약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공간적으로 남-북 방향의 변화가 관측되었다.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상대적으로 높은 POC 분포는 연구지역 남쪽 부분에서 나타난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이런 변화는 연구지역 북쪽 부분에서 관측되었다. 장기적인 변화는 방류량의 감소에 의한 영향보다는 공간적인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현장 관측자료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2006년 봄철 광양만 해류의 구조와 변동 (Current Structure and Variability in Gwangyang Bay in Spring 2006)

  • 이재철;김정창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219-224
    • /
    • 2007
  • 광양만의 순환을 이해하기 위하여 2006년 봄철에 수심이 가장 깊은 두 지점을 선정하여 ADCP가 장착된 모니터링 부표 2대를 이용하여 유속관측을 하였다. 두 지점에서 공통적으로 북향류가 지배적인데, 이는 서쪽의 남향류를 동반하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 이 있음을 뒷받침 하고 있다. 남쪽에서는 14 m 수심에서 유향이 반전되는 2층 구조가 뚜렷하며 저층의 북향류는 바닥에 가까운 36 m 수심까지 증가한다. 북쪽 지점에서는 북향류가 더욱 강해져서 북쪽의 단면적 감소에 따른 해류의 가속 효과가 있으며 상층부에서도 북향류가 우세하다. EOF 분석을 통한 연직구조에 있어서 첫 번째 모드는 북쪽 부표에서 전체 분산의 74%인데 비하여 남쪽 부표에서는 67%로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2층 구조의 비중이 크다. 반시계 방향의 순환과 관련된 북향류의 전형적인 유속은 약 10 cm/s이다. 여기에 중첩되는 변동성으로서 국지적인 바람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는 반면에 동-서 방향의 바람에 의한 외해의 에크만 수송과 관련된 비국지적 영향은 주로 풍속이 강할 경우에 나타난다.

동해에서 경험직교함수 기법을 이용한 수온과 소나성능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onar performance using the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scheme in the East Sea of Korea)

  • 나영남;조창봉;손수욱;한주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8
    • /
    • 2024
  • 수동형 소나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주어진 환경과 시스템 변수 하에서 보통 최대 탐지거리를 고려한다. 음파가 해표면 또는 해저면과 필연적으로 접촉하는 천해에서는 표적탐지가 최대 탐지거리까지 유지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심해에서는 음파가 해표면 또는 해저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음파가 도달하지 않는 음영구역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최대 탐지거리만으로 각 소나의 탐지성능을 완전하게 기술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보다 완전한 탐지성능 기술을 위해 '탐지견고성(Robustness Of Detection, ROD)'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동해 연안에서 수괴의 공간적 분포와 최대 탐지거리 및 탐지견고성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최대 탐지거리와 탐지견고성은 서로 반대의 공간적 변동을 보인다. 경험직교함수(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EOF)를 도입하여 수온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첫 번째 모드는 전형적인 계절 변화를 보이고, 두 번째 모드는 혼합층 등의 세기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두 모드가 전체 변화의 약 92 %를 설명한다. 수심 5 m와 100 m 표적을 가정하여 수동형 소나의 최대 탐지거리와 두 모드의 계절 변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첫 두 모드와 높은 음의 상관계수(약 -0.9)를 보인다. 수온의 계절적 변화는 표층 ~ 수심 200 m에서 발생하며, 이에 따라 수심 100 m에 표적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여 수동소나를 수심 100 m 이상에서 운용할 경우 계절변화가 미미한 탐지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Year-to- Year Variation of Cold Waters around the Korea Strait

  • Min, Hong-Sik;Kim, Young-Ho;Kim, Cheol-H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4호
    • /
    • pp.227-234
    • /
    • 2006
  • Year-to-year variation of bottom cold waters around the Korea Strait was investigated based on bottom temperatures measured by submarine telephone cable between Pusan, Korea and Hamada, Japan from 1982 to 1992. The characteristics of bottom temperature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the Korean side, the middle, and the Japanese side. Temperature drops in summer appeared in all the three regions implying the intrusion of cold waters into the Korea Strait.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Korean side were observed in 1983, 1986, 1990, 1991, and 1992 when bottom temperatures were high in the middle. In contrast, bottom temperature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iddle in 1985, 1988, and 1989 when the temperature drops in the Korean side were relatively small. This tendency for a negative relationship was also shown in the second mode of an EOF analysis. In the years when bottom temperatures significantly decrease din the Korean side, the cold water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expanded offshore and its temperature was low. On the contrary, cold water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Ulleung Basin developed in the years when bottom temperatures decreased considerably in the middle.

SATELLITE-MEASURED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OKACHI RIVER PLUME

  • Lihan, Tukimat;Saitoh, Sei-Ichi;Iida, Takahiro;Matsuoka, Atsushi;Hirawake, Toru;Iida, Kohj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118-121
    • /
    • 2006
  • Variations in the extent and dispersal of river plume are important in the study of coastal environm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satellite detected plume area and river discharge and to clarify the temporal and spatial dynamic of plume from Tokachi River, Hokaido, Japan. We used 1.1 km spatial resolution of SeaWiFS normalized water-leaving radiance (nLw) images from 1998 to 2002. Supervised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was implemented to define classes of surface water optical properties. Satellite observed plume area was correlated to the amount of river discharge from April to October. First mode (44% of variance) of EOF analysis shows the turbid plume distribution resulting from re-suspension by strong wind mixing along the coast during winter. This mode also shows plume distribution along-shelf direction in spring and late summer. Second mode (17% of variance) shows spring pattern across-shelf direction due to strong discharge of snow melting wa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