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ANGERED PLANT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8초

In vitro Conservation of Coleus forskohlii- an Endangered Medicinal Plant

  • Rajasekharan P.E.;Ambika S.R.;Ganeshan S.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35-141
    • /
    • 2005
  • Protocols for in vitro conservation was developed for Coleus forskohlii. Plants maintained both in field served as explant source. Shoot tips and single node cuttings were used to optimize protocols for in vitro multiplication.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0.54\;{\mu}M$ naphthalene acetic acid (NAA) and $8.87\;{\mu}M$ benzy-ladenine (BA) induced multiple shoots in shoot tips and nodes. Shoot multiplication was amplified with a gradual decrease of BA concentration, leading to its final omission after 4 months. Concomitant rooting on multiplication media enabled successful establishment extra vitrum. For in vitro conservation studie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2-3 week maintained in vitro plants under standard and reduced culture conditions (SCC, RCC). In vitro plants could be successfully conserved in full strength MS medium (FMS) under SCC for 6 months without subculture with full potential to regenerate, producing viable shoots and nodes. The root production remained unaffected due to conservation, showing high rooting activity in mannitol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s. Preset low temperature (15 and $10^{\circ}C$) and reduction in media constituents does not appear to favour conservation, although the former accomplished conservation levels equal to (FMS) under SCC.

평창, 영월(강원도)의 석회암 지역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County Pyeong-chang and Yeong-wol including Limestone Regions (Prov. Gangwon-do) from Korea)

  • 남기흠;김중현;김영철;김진석;이병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38
    • /
    • 2012
  • 한국의 중부에 위치한 평창, 영월 지역은 석회암 지역이며 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의 조사로 평창, 영월 지역의 식물상을 밝혀 석회암 지역 식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 지역의 식물상은 134과 503속 1,010종 11아종 110변종 10품종 4잡종의 1,14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환경부 법적보호인 멸종위기야생식물은 7분류군이며, 한국고유종은 50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238분류군으로 5등급 24분류군, 4등급 30분류군, 3등급 60분류군, 2등급 45분류군, 1등급 79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82분류군이었으며, 본 조사지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특이하게 분포하는 식물은 5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석회암 지역에서만 분포가 확인되는 식물은 35분류군이며, 격리되어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은 15분류군, 해안성 식물은 3분류군이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특정식물과 그 보전 대책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 임동옥;김용식;이희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8-144
    • /
    • 2008
  • 환경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종 중 IV등급 2종과 V등급 종은 5종으로 총 7종이 확인 되었다. 멸종위기 II급종은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1종이 조사 되었으며, 그 외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식물은 5종이었다. 북한산은 남부형 식물인 서어나무, 산딸나무, 때죽나무 및 초피나무 등의 북한계 선상에 위치하는 종들이 분포하는 국립공원으로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하며, 확인된 소산식물은 103과 362속 541종 87변종 10품종으로 총 638종류이었다. 귀화식물은 총 16과 52속 54종 4변종 58종류로 귀화율은 9.09%, 도시화지수는 20.21%로 나타났다.

비메트릭 다변량 척도법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멸종위기 국내 담수어류 20종의 먹이원 분석 (Analysis of Food Resources of 20 Endangered Fishes in Freshwater Ecosystems of South Korea using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Network Analysis)

  • 지창우;이대성;이다영;박영석;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4권2호
    • /
    • pp.130-141
    • /
    • 2021
  • 국내 멸종위기 어류 25종의 먹이원을 문헌 조사한 결과, 먹이원은 20문, 31강, 58목, 116과, 154속으로 나타났다. 먹이원 중 가장 많은 어류가 섭식한 먹이원은 분류군에 따라 절지동물문, 곤충강, 파리목, 깔따구과로 조사되었으며, 식물류 먹이원은 돌말문, 윷돌말강, 반달돌말목, 반달돌말과로 조사되었다. 계층적 군집분석과 NMDS를 이용하여 멸종위기 어류 20종의 먹이원 유형화 결과, 어류를 주로 포식하는 충식성 어류와 식물플랑크톤을 섭식하는 어류 2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분석의 허브 점수가 높은 먹이원은 파리목,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 딱정벌래목으로 나타났으며 식물류 먹이원 중 허브 점수가 높은 쪽배돌말목과 반달돌말목, 김발돌말목으로 조사되었다. 먹이원 폭이 큰 어류는 연준모치(PP)와 열목어, 좀수수치, 가는돌고기, 꼬치동자개, 퉁사리, 묵잡자루, 미호종개로 Bi 지수 값이 0.3 이상으로 조사되어 다양한 먹이를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금강모치, 부안종개, 감돌고기, 흰수마자, 다묵장어, 돌상어, 얼룩새코미꾸리, 북방종개는 Bi 지수 값이 0.1 이하로 조사되어 먹이원 다양성이 낮게 조사되었다.

설악산 국립공원 외설악의 멸종위기 식물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Oesorak in Soraksan National Park)

  • 김용식;김선희;강기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5-210
    • /
    • 1997
  • 1996년 5월부터 8월까지 2차례에 걸친 설악산 국립공원 외설악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을 조사하였다. 이들은 대부분 등산로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식용 및 약용 등 인위적인 훼손의 우려가 많아 종 및 서식지 수준에서의 특별한 보호가 요구된다. 특히 설악눈주목은 개체수가 적고 생육상황이 좋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충청복도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Resource Plants of Mt. Midong in Chungcheongbuk-do, Korea)

  • 유주한;진연희;장혜원;조흥원;김덕식;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2-134
    • /
    • 2004
  •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조사는 2002년 3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20개월동안 수행하였고 관속식물상은 85과 266속 349종 48변종 3품종 등 총 400종류의 식물이 확인되었다. 자원식물상 조사결과 관상용 식물은 162종(40.5%), 식용 식물은 250종(62.5%), 약용식물은 257종(64.3%), 기타 용도 식물은 167종(41.8%)으로 확인되었다. 한국 특산식 물은 매미꽃, 터리풀, 자란초, 병꽃나무, 고려엉겅퀴, 분취 등 6종류로 조사되었고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매미꽃과 층층둥굴레가 확인되었다.

거제도의 관속식물상과 주요 식생 현황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nd Vegetation Status of Geojedo)

  • 지성진;김윤영;고은미;양종철;장창기;오병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9-44
    • /
    • 2006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Geojedo revealed to be 550 taxa based on only the voucher specimens to be collected. It comprise 108 families, 341 genera, 478 species, 69 varieties and 3 forms respectively. Among them, 13 taxa of Korean endemics and 8 taxa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o 75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urthermore, 36 taxa of induced and naturalized plants were also observed in this area.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vegetation is the broadly occupation of Pinus thunbergii on whole area of Geojedo. Although it's well condition and conservation status, the destruction area of vegetation was rapidly increasing by the industrial development, the deforestation and the tramp as well as by the basic disturbances of human beings. Therefore, more active and positive conservation strategy such as expansion of conservation area should be prepared rapidly by the results of long-term monitoring studies.

양산 천성산지역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 in Mt. Cheonsung, Yangsan)

  • 신현탁;이재윤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0-194
    • /
    • 2009
  • 본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21과 399속 510종 67변종 7품종 2아종 및 2교잡종 등 59 식재종을 포함하여 588종류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116종은 금번 조사에서 새로이 추가되었다. 경부고속철도가 통과하는 지역인 무제치 3, 4, 5, 6늪과 대성사 주위의 습지와 천성산일원에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6종, 한국특산식물은 9종이 발견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7종이 발견되었다. 경부고속철도건설로 인하여 나타날 식물상의 변화, 특히 습지의 식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사후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고층습지의 수원 변동에 대하여 식물보전계획을 수립해야한다.

Micropropagation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a Korean Endemic Species in Danger, Using Axillary Buds

  • Hyunseok L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60-60
    • /
    • 2020
  • To establish in vitro axillary bud culture conditions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one of Korean endemic endangered species famous for beautiful flowers, we tested the influence of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in shooting and rooting stage from in vitro plants. In shoot multiplication, addition of 6-benzylaminopurine (BA) to the media induced 2.5 to 3 shoots per bud during 4 weeks of culture. And media including 0.5 mg L-1 thidiazuron (TDZ) produced 3 to 4 shoots per bud. However, zeatin and isopentenyl adenine (2-ip) were not successful to increase shoot number, and the combination treatments of BA with other PGRs were also not effective. Shoots were smaller than 2 cm in length, in most of the treatments. In rooting, naphthalene acetic acid (NAA) treatments in the range of 0.5 to 4.0 mg L-1 appeared to increase rooting rate by 10% to 60% approximately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but roots developed with callus clusters. Indole butyric acid (IBA) addition had little effect on rooting (below 10%), while some roots were longer than in NAA treatments and some shoots were longer on high IBA concentrations (4.0 to 8.0 mg L-1). It is suggested that micropropagation is a highly applicable and promising to multiplication and conservation of rare and endangered endemic species.

  • PDF

전남지방에 분포하는 난대 자원식물 - 희귀특산 목본식물을 중심으로 - (Resoures Plants Distributed in the Warm-temperature Zone of Jeonnam Province)

  • 유한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23
    • /
    • 2019
  • 전남지역은 도서지역이 많고 지역적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는데 이중 희귀특산식물은 217종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에서 난대림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목본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을 중심으로 지리적 분포위치와 생육상태 등을 보고하고자 한다. 전남지역에 분포하는 멸종위기종(CR)은 35종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목본식물은 초령목(신안), 섬다래(완도), 조도만두나무(진도), 덩굴옻나무(여수), 거문도닥나무(고흥, 여수)등이 비교적 양호하게 자생하고 있다. 위기종(EN)은 37종에서 목본식물은 왕자귀(목포, 무안), 백서향(신안), 나도은조롱(완도), 박달목서(여수, 신안) 등이 자생하고 있다. 취약종(VU)은 54종으로 목본식물은 백량금(완도, 신안), 황근(완도), 붓순나무(진도), 모감주나무(완도), 산닥나무(영암, 진도)등이 자생하고 있다. 약관심종(LC)은 36종으로 목본식물은 검팽나무(여수), 이팝나무(완도, 고흥), 녹나무(완도, 진도), 털조장나무(보성) 등이 양호하게 자생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