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JB 어플리케이션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67초

EJB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모니터링 기법 ((Performance Monitoring Techniques for EJB Applications))

  • 나학청;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5_6호
    • /
    • pp.529-539
    • /
    • 2003
  • J2EE(Java 2 Enterprise Edition)의 등장으로 J2EE의 모델에 따르는 엔터프라이즈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J2EE의 핵심 기술 요소인 Enterprise JavaBeans(EJB)의 컴포넌트 모델이 분산 객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간단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EJB 어플리케이션은 컴포넌트 지향의 객체 트랜잭션 미들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되며,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분산 트랜잭션을 이용한다. 이러한 특징은 EJB 기술을 각광받게 하는 요인이 되었고, EJB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러나 아직은 EJB 어플리케이션 운영 상태에서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기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운영 상태의 EJB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살펴보고, 내부 작업을 여러 요소들로 분류한다. 제안된 기법은 분류된 여러 요소들 중 성능 요소들의 측정을 제공한다. 또한, 한 워크플로우 동안 발생하는 생명주기에 관련된 빈의 상태 변화와 빈에서의 처리시간, 자원 사용률과 같은 성능 정보를 추출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EJB 어플리게이션의 성능 메트릭 (Performance Metrics for EJB Applications)

  • 나학청;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12호
    • /
    • pp.907-925
    • /
    • 2002
  • J2EE(Java 2, Enterprise Edition)의 등장으로 국내.외 수많은 기업들이 J2EE의 모델에 맞게 엔터프라이즈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다. 이것은 J2EE의 핵심 기술 요소인 Enterprise Jana Beans(EJB)의 컴포넌트 모델이 분산 객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간단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EJB 어플리케이션은 컴포넌트 지향의 객체 트랜잭션 미들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되며,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분산 트랜잭션을 이용한다. EJB 서버는 이를 위한 미들웨어 서비스를 제공하여 EJB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특징은 EJB 기술을 각광받게 하는 요인이 되었고, EJB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러나 아직은 EJB 어플리케이션 운영 상태에서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메트릭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운영 상태의 EJB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비스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살펴보고, 어플리케이션 내부 작업을 여러 요소들로 분류한다. 분류된 여러 요소를 이용하여 빈(Bean) 레벨까지의 성능 측정을 위한 메트릭을 제시한다. 성능 측정에 사용되는 각 요소들을 추출하기 위해 우선 EJB 어플리케이션의 운영 상태에서 발생하는 빈의 종류에 따른 생명주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성능과 관련된 요인을 추출하여 빈의 종류에 따른 성능 요인을 메트릭에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빈 메소드 호출시 발생하는 빈의 활성화와 메시지 전파 등의 특성을 파악하고,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워크플로우에 참여하는 빈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워크플로우에 대한 성능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안된 메트릭을 통하여 EJB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스터드 EJB서버 환경에서의 저장소 공유를 통한 어플리케이션 다중 배포 방법 (The method of multiple application deployment using the Shared repository in Clustered EJB Server)

  • 노명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C)
    • /
    • pp.545-54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고 가용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클러스터드 EJB(Enterprise Java Beans)서버 환경에서 동일한 그룹에 속해 있는 분산된 모든 EJB서버들이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동일한 이미지를 갖도록 하여 서비스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작성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일한 그룹의 EJB서버들에 전송, 배포하고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써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그룹에 속해 있는 모든 EJB서버들이 하나의 저장소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로 다중 배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 PDF

EJB 빈의 성능 메트릭 (Performance Metrics for EJB Beans)

  • 나학청;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388-390
    • /
    • 2002
  • Java 2 Enterprise Edition(J2EE)의 등장으로 국내.외 수많은 기업들은 J27E의 모델에 맞게 엔터프라이즈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다. 이것은 J2EE의 핵심 기술 요소인 Enterprise JavaBeans(EJB)의 컴포넌트모델이 분산 객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과정을 간단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EJB 어플리케이션은 여러 개의 빈들로 구성된다. EJB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빈의 비즈니스 메소드의 실행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EJB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처리하는 빈에서의 측정과 요청을 처리하는 비즈니스 메소드의 측정에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EJB 어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정에 따라 수행하는 빈 단위에서의 성능 메트릭을 제시한다.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은 요청을 받은 번에서의 메소드 실행으로 나타난다. 메소드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메트릭을 제시한다.

  • PDF

클러스터드 EJB서버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방법 (The Application Deployment for Clustered E5O4 EJB Container System)

  • 노명찬;정승욱;서범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1)
    • /
    • pp.394-39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고 가용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클러스터드 EJB서버를 개발함에 있어 클러스터드 EJB서버환경에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각 노드에 어플리케이션(웹 컴포넌트와 EJB 컴포넌트)을 배포하는 기능, 각 노드에 배포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동기화를 지원하는 기능 및 클러스터드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자동 배포하는 기능에 대해 논의한다.

  • PDF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EJB로 래핑 하기 위한 기법 (A Technique for wrapping Java applications in EJBs)

  • 김동관;정효택;양영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130-132
    • /
    • 2003
  • 1990년대 초반에 등장한 자바 언어는 빠른 속도로 프로그래머들 사이에 보급되었으며 인터넷의 등장과 더불어 이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또한 무선 플랫폼 등과 같은 새로운 컴퓨팅 환경에 빠르게 대처함으로써 자바 언어의 끝을 예측하기는 쉽지 않은 상태이다. 초기 자바 어플리케이션들은 단일 티어(single-tier)로 개발되었으며 환경의 변화로 인해 이런 어플리케이션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자바 언어는 분산 컴퓨팅 환경의 솔루션으로 Enterprise JavaBean(EJB)[1]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EJB로 래핑하기 위한 기법들을 제공한다.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가진 클래스들을 수작업을 통해 EJB로 변환할 수도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반자동화된 방법을 통해 변환 상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변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EJB 래핑 기법은 세션 빈(session bean)[1]래핑과 엔터티 빈(entity bean)[1]래핑으로 구성된다. 세션 빈 래핑은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클래스 가운데 질의문(query)을 가지지 않는 자바 클래스들을 래핑한다. 엔터티 빈은 질의문을 포함하는 자바 클래스를 래핑한다. EJB 래핑을 위해 리플렉션(reflection)[2]과 위임 (delegation) 장치를 사용한다.

  • PDF

EJB를 이용한 온라인 주문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On-Line Ordering System Using EJB)

  • 신용녀;최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298-300
    • /
    • 2000
  • 복잡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컴포넌트의 사용이 유용하다는 것은 이미 누구나 인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엔터프라이즈 자바 빈즈(Enterprise JavaBeans, EJB)는 컴포넌트 트랜잭션 모니터를 위한 표준 서버측 컴포넌트 모델이다. 엔터프라이즈 자바 빈즈 아키텍쳐를 이용해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은 확장성이 있고, 트랜잭션을 보장할 수 있으며, 다수 사용자 환경에서도 안전하다. 기존의 객체지향 방법론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더라도 진정한 소프트웨어 재 사용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그러나 EJB 아키텍쳐를 사용하면 소프트웨어 재 사용성을 보장하고 보다 용이하게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정확한 분석과 설계를 위하여, Rational rose의 UML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템플릿 제너레이트인 인라인(inline)과 비주얼 카페를 연동하여 온라인 주문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EJB 어플리케이션 생성을 위한 MDA 변환 규칙 정의 (A MDA Transformation System for Building EJB Applications)

  • 이진열;라현정;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436-438
    • /
    • 2005
  • 모델 기반 아키텍처 (Model Driven Architecture, MDA)는 플랫폼 독립적인 모델로부터 변환 규칙을 이용하여 특정 플랫폼 용 모델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자동화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EJB(Enterprise JavaBeans)는 컴포넌트 기반의 분산 컴퓨팅을 위한 아키텍처로써 Java 기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개발 플랫폼이다. 기존의 PIM에서 EJB 용 PSM으로 변환 규칙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고 체계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PIM 의 구조적인 구성요소와 EJB 용 PSM 의 구성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변환 규칙을 정의한다. EJB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제안된 변환 규칙을 적용한다면 모델간의 대응관계를 효율적으로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간의 일관성과 추적성을 높일 수 있고 제품의 생산성,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컴포넌트 분해에 의한 EJB 빈 추출 기법 (EJB Bean Extracting Method through Component Decompose)

  • 허윤호;이연숙;류성열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646-648
    • /
    • 2001
  • 소프트웨어 산업의 급성장에 의해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에 대한 요구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현재 객체지향 패러다임보다 더 큰 재사용의 규모를 가지는 컴포넌트 기술이 업계에서 점차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언어인 자바언어를 기반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바 분산 컴포넌트 기술은 EJB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기법을 소개하고, 컴포넌트 단위로 구성된 클래스들을 EJB의 빈으로 매핑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 PDF

EJB Dual Persistent 엔터티 빈 패턴을 이용한 효율적인 엔터티 빈 조립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Entity Bean Assembly Methodology Using EJB Dual Persistent Entity Bean Patterns)

  • 이창수;이돈양;송영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2)
    • /
    • pp.43-45
    • /
    • 2002
  • EJB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CBD)을 지원하는 컴포넌트 모델중의 하나이며 최근 특어 EJB를 이용한 활발한 어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EJB 컴포넌트들을 효율적으로 재사용 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JB 컴포넌트 타입 중 엔터티 빈들 간의 조립을 목적으로 Dual Persistent 엔터티 빈 괘턴을 이용한 효율적인 엔터티 빈 조립 방법을 제안하여 기존에 영속성에 대한 종속성이 강해 재사용이 쉽지 않던 BMP 엔터티 빈을 영속성이 독립적인 CMP 엔터티 빈으로 변환해 재사용 향상된 조립을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