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JB

Search Result 25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Performance Metrics for EJB Beans (EJB 빈의 성능 메트릭)

  • 나학청;김수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388-390
    • /
    • 2002
  • Java 2 Enterprise Edition(J2EE)의 등장으로 국내.외 수많은 기업들은 J27E의 모델에 맞게 엔터프라이즈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다. 이것은 J2EE의 핵심 기술 요소인 Enterprise JavaBeans(EJB)의 컴포넌트모델이 분산 객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과정을 간단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EJB 어플리케이션은 여러 개의 빈들로 구성된다. EJB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빈의 비즈니스 메소드의 실행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EJB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처리하는 빈에서의 측정과 요청을 처리하는 비즈니스 메소드의 측정에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EJB 어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정에 따라 수행하는 빈 단위에서의 성능 메트릭을 제시한다.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은 요청을 받은 번에서의 메소드 실행으로 나타난다. 메소드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메트릭을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Code Generator for EJB Component (EJB 컴포넌트의 코드 자동 생성 도구의 개발)

  • Cha, Jung-Eun;Yang, Young-Jung;Shin, Suk-K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31-334
    • /
    • 2001
  • 생산성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를 위한 기술적, 산업적 전략은 웹 환경 하에서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CBD : Component Based Development)로 점차 귀결되고 있다. 나아가 정보 공유의 투명성이나 비즈니스 로직의 독립적 패키징과 같은, 이 두 개의 기술들이 개별적으로 가지는 특성과 장점들을 결합한 웹 서비스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컴포넌트 중심의 웹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환경의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J2EE는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가장 표준화된 플렛폼 중의 하나로, 다중 계층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위한 간단한 개발과 전개, 관리 방식을 보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CBD의 완성을 위한 실제적인 접근으로서 J2EE 환경의 EJB 컴포넌트를 위한 코드 자동 생성 도구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EJB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코드의 속성들을 분석하여 보편적인 EJB 컴포넌트의 템플리트를 설계하였다. 또한 도구 구축의 과정에서 세부적인 EJB 생성기의 구조와 기능적 특성을 명시화하고 개발에 필요한 EJB 컴포넌트 정보를 정의, 분류하였다.

  • PDF

EJB Based Examination Studying System using Petri Net (페트리 넷을 이용한 EJB기반의 문제 학습 시스템)

  • 정화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602-605
    • /
    • 2003
  • 최근, 컴포넌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웹 기반 교육 시스템에서도 이를 응용하여 다양한 교육 컨텐츠의 제공 및 활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EJB는 웹 기반 컴포넌트 모델로서 웹 기반응용 시스템부분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컴포넌트 기반 웹-코스웨어는 이용 가능한 상용 컴포넌트와 인식부족으로 아직까지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분석에 관한 정형화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JB 컴포넌트를 이용한 웹 코스웨어를 분석 및 구현을 하였다. 컴포넌트들 사이의 메시지 흐름에 대한 정형적인 명세 분석을 위하여 페트리 넷을 이용하였으며, 각 기능에 따라 무상태 세션 빈의 형식으로 EJB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A Design of Workflow based on EJB Component for E-Business System (전자상거래시스템을 위한 EJB 컴포넌트 기반의 워크플로우 설계)

  • 정화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662-665
    • /
    • 2003
  • 전자상거래 분야는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지원하기 위한 컨텐츠를 기반으로 활성화되고있다. 즉, 효율적인 비즈니스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EJB와 같은 웹 기반 컴포넌트 기술이 응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 기반 EJB 컴포넌트 기술을 응용한 효율적인 전자상거래 컨텐츠 관리 및 처리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설계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의 핸들링을 위하여 웹 서버 컴포넌트 모델인 EJB를 사용하였으며, 기능단위의 컴포넌트들이 다양한 컨텐츠를 처리함으로써 재사용, 유지보수 등의 시스템 개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A Study on Web Service Module for EJB Server System (EJB 서버 시스템의 웹서비스 지원 모듈에 관한 연구)

  • Kim, Sung-Hoon;Kim, Jo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1317-132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EJB(Enterprise JavaBean) 기반의 웹응용서버 시스템에서 EJB2.1 표준 규격의 웹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모듈의 설계 사항에 관한 내용이다. 본 논문에서는 EJB2.1 표준 규격의 웹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과 JAX-RPC기반의 웹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할 시스템 측면의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기존 웹응용서버들에서 웹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식들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시스템 요구사항들을 반영한 구현 시스템의 구체적인 설계사항들에 대해 설명한다.

  • PDF

Resource Pooling Service with Priority in EJB Container (EJB 컨테이너 기반 우선순위 리소스 풀링 서비스)

  • 이준규;김동호;김상경;안순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c
    • /
    • pp.405-407
    • /
    • 2000
  •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등이 보편화됨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요구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처리하며, 다양한 클라이언트/서버 요청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다계층 구조의 분산처리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여러 연구 그룹에서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중의 하나가 자바를 이용한 Enterprise JavaBeans(EJB)[1]이다. EJB는 de facto 표준으로 규격화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EJB 컨테이너의 리소스 풀링(Resource Pooling) 서비스에 우선순위 기능을 적용하여 그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우선순위 처리 기능을 갖는 리소스 풀링 서비스를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능을 분석한다.

  • PDF

Concurrency Control Method for EJB Entity Bean (EJB 엔터티 빈에 대한 동시성 제어 방법)

  • 정승욱;김중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569-571
    • /
    • 2003
  • EJB (Enterprise Java Beans)는 웹 응용 서버 스펙인 J2EE(Java2 Enterprise Edition)의 핵심으로서, 비즈니스 업무를 웹 환경에서 컴포넌트 형태로 작성하여 재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서버 측 컴포넌트 프로그래밍 모델이다. EJB는 컴포넌트를 특성에 따라, 일반적인 비즈니스 로직을 나타내는 세션 빈(Session Bean),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같은 여러 클라이언트에 의해 공유되며 영속 장치에 저장되는 엔터티 빈(Entity Bean) 그리고 JMS메시지를 처리하는 메시지 드리븐 빈(Message-driven Bean)으로 구분한다. 본 논문에서는 ETRI에서 개발한 E504 EJB 서버에서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엔터티 빈에 동시에 접근할 경우 데이터 일관성 유지를 위한 동시성 제어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 PDF

A Technique for Mapping Sequence Diagram to EJB Beans (순차도에서 EJB 빈 으로의 매핑 기법)

  • 이원규;김수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97-399
    • /
    • 2001
  • Unified Modeling Language(UML)은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Visualizing, Specifying, Constructing, Documenting 화 해주는 graphical language 이다. 우리는 이러한 모델링 언어를 통하여, 객체지향 분석/설계 과정에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EJB 로 Mapping 하기 위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개발자들이 EJB 로 UML 을 설계 및 구현을 명확하게 옮기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점에 중점을 두고 UML Modeling 을 통해 설계 및 구현된 내용중 UML 의 Sequence Diagram 의 요소들을 EJB Bean으로의 구현시 Mapping 지침을 제시한다

  • PDF

The Application Deployment for Clustered E5O4 EJB Container System (클러스터드 EJB서버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방법)

  • 노명찬;정승욱;서범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394-39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고 가용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클러스터드 EJB서버를 개발함에 있어 클러스터드 EJB서버환경에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각 노드에 어플리케이션(웹 컴포넌트와 EJB 컴포넌트)을 배포하는 기능, 각 노드에 배포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동기화를 지원하는 기능 및 클러스터드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자동 배포하는 기능에 대해 논의한다.

  • PDF

The Persistence Management Architecture for EJB Server System (EJB 서버 시스템의 영속성 관리 방법)

  • 정승욱;노명찬;변영철;함호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127-129
    • /
    • 2002
  • EJB(Enterprise Java Beans)는 웹 응용 서버 스펙인 J2EE(Java2 Enterprise Edition)의 핵심으로서, 비즈니스 로직을 컴포넌트 형태로 작성하여 재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서버 측 컴포넌트 프로그래밍 모델이다. EJB는 컴포넌트를 특성에 따라 일반적인 비즈니스 로직을 나타내는 세션 빈(Session Bean),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같은 여러 클라이언트에 의해 공유되며 영속 장치에 저장되는 엔터티 빈(Entity Bean) 그리고 JMS 메시지를 처리하는 메시지 드리븐 빈(Message-driven Bean)으로 구분한다. 본 논문에서는 ETRI에서 개발한 E504 EJB 서버에서 엔터티 빈의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자동화 해주는 영속성 관리자(Persistence Manager)에 대해 논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