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A

검색결과 511건 처리시간 0.027초

DGEBA/선형 아민(EDA, HMDA) 경화제의 주쇄 탄소숫자와 물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Chemo-mechanical Analysis of Bifunctional Linear DGEBA/Linear Amine(EDA, HMDA) Resin Casting Systems)

  • 명인호;정인재;이재락
    • 공업화학
    • /
    • 제10권7호
    • /
    • pp.990-995
    • /
    • 1999
  • 경화된 에폭시수지의 삼차원 망상구조 형성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chemomechanical한 관점에서의 물성 연구는 아직까지 매우 미진하다. 이를 위한 기초적인 작업의 한 일환으로, 선형구조를 가지고 양쪽 말단기에 에폭시기를 가지는 대표적 범용 에폭시수지인 DGEBA(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YD-128, 국도화학(주))를 양쪽 관능기가 동일하고 주쇄의 사슬길이가 서로 다른 선형아민 경화제인 ethylene diamine(EDA, 주쇄의 탄소원자수: 2개)와 hexamethylene diamine(HMDA, 주쇄의 탄소원자수: 6개)으로 각각 1:1 당량비로 혼합하여 1차 및 2차의 경화조건으로 경화하였고, 이것을 경화제의 주쇄의 탄소원자수에 의한 분자량과 화학구조 차이가 반응특성, 기계적특성, 열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반응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SC 열분석, 열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TMA 분석, 에폭사이드기의 전환율 계산을 위해 FT-IR 분석, shrinkage(%)를 구하기 위하여 밀도측정, 유리전 이온도와 선팽창계수 측정을 위해 TMA 분석, 기계적특성 분석을 위하여 인장시험 및 삼점 굴곡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수지 경화물의 특성은 경화제 주쇄의 탄소원자수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즉, 주쇄의 사슬길이가 짧은 EDA 경화물계는 주쇄 사슬길이가 긴 HMDA 경화물계 보다 열안정성, dpoxide group의 전환율, 밀도, 유리전이온도, 인장탄성율, 굴곡탄성율 및 굴곡강도가 높은 값을 나타냈고, 최대 발열온도, shrinkage(%), 선창팽창계수, 인장강도의 값은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주쇄의 탄소원자수 2개를 가지는 EDA가 3차원 망목상 구조 형성과정에서 packing ability가 우수하여 rigid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 PDF

해상안전 통계 항목 다양화를 위한 EDA 기반 통계 속성 도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DA based Statistics Attributes Discovery and Utilization for the Maritime Safety Statistics Items Diversification)

  • 강성경;이영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98-809
    • /
    • 2020
  • 과학적 행정을 위한 증거 기반 정책 수립과 평가에 대한 요구로 통계(데이터) 활용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통계는 사회전반의 현상을 수치로 제공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어떤 현상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하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공공자원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통계는 정부 정책 결정 및 각종 현상의 연구·분석 등에 기초자료이자 근거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그 중요성에 비해 통계의 역할은 제한적인 수준이다. 이는 현재 개방된 통계가 단순 결과 요약 자료 수준이며 공급자 위주로 생산되어 수요자 관점에서 가치 창출을 위한 수단으로는 부족하다는 의미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보완을 위해 현재 제공되는 통계 항목 외에 정책이나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추가 속성을 탐색했다. 연구에 활용한 기준 통계자료는 해양경찰청에서 발간하는 「해상조난사고 통계 연보」이며, 해양경찰에서 작성하는 선박사고 상황보고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추가할 수 있는 속성들을 도출했다. 텍스트 분석을 통해 도출된 56개 속성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EDA를 수행한 결과, 유의확률(p-value < .05)을 만족하는, 상관계수 0.7 이상의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속성 조합 18개와,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0.4 이상 0.7 미만)를 가지는 속성조합 70개, 총 88개의 조합을 발굴할 수 있었다. 더불어 EDA를 통해 발견된 추가 속성을 정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수난대비기본계획 세부 전략별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고, 키워드와 EDA 도출 속성 간 매칭작업을 통해 속성의 활용 가능 여부를 검토했다.

MDL원리에 기반한 모델 선택을 포함한 분자 wDNF 기계에서의 분자 EDA (Molecular EDA with model selection based on MDL principle in molecular wDNF machine)

  • 이시은;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A)
    • /
    • pp.49-51
    • /
    • 2006
  • 분자 wDNF기계를 통해 해 집단을 병렬적으로 탐색하여 유망한 텀들을 선택한 후 그를 구성하는 변수들의 분포를 평가, 확률 모델을 확립하고 그로부터 다음 세대의 해 집단을 구성함으로써 진화 알고리즘의 확장인 EDA을 DNA컴퓨팅으로 모델링한다. 또한 희박한(sparse) 해 집단에서 간략한 (parsimonious) wDNF모델을 항께 찾으므로 단순히 해 집단의 분포만을 진화시켜 나가는 것이 아니라 모델의 구조도 같이 최적화 시켜 나가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피부 임피던스 신호 분석을 통한 졸음운전 판단 시스템 개발 (Automobile System for Drowsiness Accident Detection using EDA Signal Analysis)

  • 이영범;이명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2호
    • /
    • pp.432-435
    • /
    • 2007
  • In modern society, automobile is necessary vehicle. Automobile is a series of modern convenient. And the number of automobile is on the increase. But from you to year, automobile accident is on the increase, also. One of most reason that cause automobile accident is drowsiness driving. So, we plan to construct automobile system for drowsiness accident prevention for decreasing automobile accident. In this research, we built a drowsiness detecting device using EDA (Electro Dermal Activity) signal which is electric response in the human body skin. There are SIL (Skin Impedance Level) and SIR (Skin Impedance Response) in EDA. Mostly, SIL consists of DC element. On the other hand, SIL consists of AC element. We could detect the drowsiness condition with SIL and SIR signal.

EDA를 이용한 경고음과 향기자극의 각성효과 분석 (Analysis of arousal effects of warning sound and aroma using EDA)

  • 김연호;고한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22
    • /
    • 1997
  • This paper studies the arousal effects of aroma and warning sound using EDA(Electrodermal Activity:EDA), Aroma stimulus started at Nz value over 1.2. Warning sound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arousal evaluation and control criteria. As a result, the warning sound could be controlled the arousal level in all the mKSS state. Aroma stimulus was able to prevent drowsy more than warning sound in the mKSS 3 state(the first stage of drowsiness). Therefor, aroma stimulus was can be used for arousal control at that state. Futhermore, arousal control was shown to be more effective with presentation of both aroma and warning sounds than each presentation.

  • PDF

수용성 폴리우레탄-아크릴 하이브리드수지의 합성 및 사슬 연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hain Extension and Synthesis in Waterborne Polyurethane-Acrylic Hybrid Resin)

  • 이주엽;김기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3-212
    • /
    • 2011
  • In this study we experimented that how chain extension influences to waterborne urethane-acrylic hybrid resin for leather garment coatings. We knew that polyurethane-acrylic hybrid resins had 5 grades of solvent resistance. Tensile strength measured in the polyurethane-acrylic resin(EDA 5.37 g, 1.928 kgf/$mm^2$) had the most strong strength. Also polyurethane-acylic hybrid resin(EDA 5.37 g. 30.2 mg. loss) had better result than other hybrid resins. EDA contents higher, we obtained low elongation and low flexibility. In this result, chain extension of waterborne polyurethane-acrylic hybrid resin showed the effect in leather coating with ratio of EDA.

A Hybrid Estimation of Distribution Algorithm with Differential Evolution based on Self-adaptive Strategy

  • Fan, Debin;Lee, Jaewan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11
    • /
    • 2021
  • Estimation of distribution algorithm (EDA) is a popular stochastic metaheuristic algorithm. EDA has been widely utilized in various optimization problems.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diversity of the population gradually decreases during the iterations, which makes EDA easily lead to premature convergence. This article introduces a hybrid estimation of distribution algorithm (EDA) with differential evolution (DE) based on self-adaptive strategy, namely HEDADE-SA. Firstly, an alternative probability model is used in sampling to improve population diversity. Secondly,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bined with DE, and a self-adaptive strategy is adopted to improve the convergence speed of the algorithm. Finally, twenty-five benchmark problems are conduc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HEDADE-SA.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HEDADE-SA is a feasible and effective algorithm.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EDA 기반 데이터 분석 (EDA based Data Analysi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강윤희;조재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7-108
    • /
    • 2020
  • 최근 센서데이터 활용 영역이 넓어지면서 데이터 분석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환경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센서데이터의 신뢰성 보장이 필요하다. 신뢰성을 갖는 환경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센서로부터 수집된 환경 데이터의 분포 및 값을 살펴본 후 데이터가 표현하는 현상을 더 잘 이해하고, 센서 및 센서데이터에 대한 잠재적인 특이점을 발견을 선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EDA를 통해 수집된 센서 값을 시각화하고 분석에 주어진 데이터의 개별 속성의 특징 및 상관관계를 도출한다. 본 연구의 EDA 분석 결과는 센서데이터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다.

EDA 기법을 적용한 BERT 기반의 감성 분류 모델 생성 (Sentiment Classification Model Development Based On EDA-Applied BERT)

  • 이진상;임희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79-8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증강 기법 중 하나인 EDA를 적용하여 BERT 기반의 감성 분류 언어 모델을 만들고, 성능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EDA(Easy Data Augmentation) 기법은 테이터가 한정되어 있는 환경에서 SR(Synonym Replacement), RI(Random Insertion), RS(Random Swap), RD(Random Deletion) 총 4가지 세부 기법을 통해서 학습 데이터를 증강 시킬 수 있다. 이렇게 증강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해 구글의 BERT를 기본 모델로 한 전이학습을 진행하게 되면 감성 분류 모델을 생성해 낼 수 있다. 데이터 증강 기법 적용 후 전이 학습을 통해 생성한 감성 분류 모델의 성능을 증강 이전의 전이 학습 모델과 비교해 보면 정확도 측면에서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다.

  • PDF

Biomass 자원의 활용(II) 율추로부터 폴리페놀 성분의 분석과 항산화활성 (Utilization of Biomass Resources(II) Analysis of Polypheno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Chestnut Inner Bark)

  • 조종수;김윤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6호통권134호
    • /
    • pp.71-78
    • /
    • 2005
  • 임산바이오매스 자원 이용의 일환으로 율추(栗皺) 열수추출물의 디에틸에테르 가용부 및 초산에틸 가용부로부터 칼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3종의 물질을 단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한 결과, 3,5-dihydroxybenzo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 그리고 (+)-catechin을 확인하였다. 이들 단리화합물의 항산화활성을 DPPH 라디칼 전자공여능(EDA)으로 측정한 결과, 10 ppm에서 화합물 3,4,5-trihydroxybenzoic acid (gallic acid)와 (+)-catechin은 대조구인 ascorbic acid와 $\alpha$-tocopherol 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화합물 gallic acid는 ascorbic acid보다 약 21배, $\alpha$-tocopherol보다 약 6배 높게 나타났으며 화합물 catechin보다 약 2.7배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