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TONE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7초

해안사구생태계의 경관생태분석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of Coastal Sand Dune Ecosystem in Korea)

  • 김재은;홍선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32
    • /
    • 2009
  • Coastal sand dune area is the important ecosystem as an ecotone which located between coastal area and terrestrial area. Moreover, it is very complicate landscape that have geomorphological interaction between erosion and accumulation of s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and dune ecosystem in view point of landscape scale including background landscape affecting origin of sand dune.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 in the complicate ecosystem already started in developed countries, and it is applied to land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even in national scale. In this paper,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using landscape patter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7 study areas (Yellow Sea : Hakampo and Doksan, South Sea : Namyeol and Balpo, East Sea : Hosan, Hupo and Goraebul) in Korean coastal sand dune ecosystem. Landscape elements were composed by 9 elements in these study areas. Major background landscape elements was the forest land and agricultural field. Namyeol (S06) has larger patch landscape compare to other areas. In patch shape indices, Hupo (E10) shows more complicate patch shapes. The high landscape heterogeneity showed in the Doksan sand dune area and that of Hosan. It shows that these areas were composed by various patch types. However, using landscape indices have to use very carefully because several variables have influence to the result such as scale and spatial pattern of study areas. Although landscape analysis through landscape indices shows sometimes difficult to explain the ecosystem, landscape scale approach on ecosystem assessment still useful to interpret in ecological process in large range of habitat.

친환경 고속도로의 건설 방향 (The Prospects of Highway Road in Consideration of Natural Environment)

  • 전기성;김태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05-112
    • /
    • 2000
  • For the purpose of building up the construction prospects of highway in consideration of natural environment. The tree planting and flower seeding in highway road side using native species were offered to natural landscape and resting area landscaping for peoples, and these area were 194place. The tree planting and flower seeding activity is to improve driving circumstances, and to conserve living and natural environment along the highways. And, preparation of ecotone and biotope at the highway surroundings for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is an important activity, and planting of natural plants is generally carried out near wildlife ecoroads in order to give the way for animal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tree planting and seeding is not only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but also to enhance the ecological surroundings of highway circumference. Ultimately, It is essential that the constructive method of highway think over such as ecological environment and road design, surveying and management, construction, highway maintenance etc.

  • PDF

월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the W lchulsan National Park)

  • 오구균;정승준;김영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9-60
    • /
    • 1999
  • 월출산 국립공원 및 공원보호구역의 현존식생과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 7월에 27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의 식생은 난대기후대의 수종과 온대기후대의 수종이 함께 출현하는 추이대 특성을 나타내고, 주로 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낙엽참나무군락이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총 27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의 분석결과 낙엽활엽수군집, 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굴참나무군집, 소나무-붉가시나무군집, 소나무군집, 조록싸리-조릿대군집으로 8개 군집으로 대별되었다. 월출산국립공원의 식생은 수종간 경쟁이 활발한 천이도중상의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었다.

  • PDF

An Introduction of Park-Based Mixed Use District around Urban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Urbanism to Mixed-Use Development -

  • Cho, Se-Hwan;Lee, Jeung-Eun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135-143
    • /
    • 2010
  • The 21st century is currently undergoing an era of urban re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cure and expand the green infrastructure with zoning regulation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This objective also seeks a way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use of existing large parks by employing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around the periphery of larg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limits, problems of existing single- and mixed-use zoning districts for securing of green infrastructure by book review. This research finally advocates introducing a another type of urban mixed-use districts, namely park-based mixed use distric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by using landscape ecology and landscape urbanism as a theoretical ba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patch in landscape ecology. This research also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as patches have ecotones with greater biodiversity in the peripheral areas of it, the green infrastructure can be constructed around the periphery of large urban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by introducing cultural ecotone of nature's convergence with the city. As a result, the green infrastructure and high density of land use and using behaviour can be increased.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encourage the convergence of parks and the city, with the park being used as the main function; residential, commercial, business and cultural uses etc. are partial functions. In order for the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to be designated, the size of larg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s well as location, city function and condition of the peripheral areas all need to be considered. The necessity to examine the designated width of the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and the form of the peripheral area was also discussed. This research, which is based on investigative research results, suggests that further in-depth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urban large parks and peripheral areas needs to be completed. Specialist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analysis and investigation on related plans and designs are also needed for the institutional practice.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미기상인자 계절변화 (Seasonal Changes in Micrometeological Factors of a Costal Sand Dune Grassland Ecosystem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 이나연;최인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6
    • /
    • 2013
  • 해안사구는 해양생태계에서 내륙생태계로 이행하는 생태 이행대(ecotone)로서 중요한 생태계이다. 이러한 독특한 생태계의 서식지 특성 분석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구가 가장 넓게 분포하는 지역인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미기상 요인(기온, 지온, 상대습도, 토양수분함량, 강우량 및 일사량, 풍향 및 풍속)의 통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변화를 분석하였다.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에서 미기상 요인의 계절변화는 산림생태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 다습하며 6월과 7월에 집중 강우를 보였다. 토양온도는 기온보다 평균 $2{\sim}3^{\circ}C$ 높은 상태로 계절변화 하였으며 토양수분함량은 연중 10% 미만으로 매우 건조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2011년 최고 풍속은 156.72m $s^{-1}$(10월 7일)를 기록하였고 현지 측정한 풍향과 기상청 자료는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서식지 특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미기상 요인의 통년 장기관측이 필요할 것이다.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 제1단계 유일범역 도출과정에서의 AMOEBA 기법 적용에 관한 모의실험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AMOEBA Technique for Delineating the Unique Primary Zones for the DIF Zoning Regulation)

  • 이석준;최내영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2호
    • /
    • pp.5-18
    • /
    • 2017
  • 최근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핫스팟(Hotspot) 분석기법과 같이 LISA에 기초한 공간통계기법을 적용하려는 시도(Kim and Choei 2017)가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Hotspot 방법의 경우 군집여부를 판별하는 통계량 생산 이후에 이 정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범역을 객관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검증된 방법론을 추가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유일 범역의 지정을 위한 AMOEBA 기법을 그 대안으로 채택하여 이전의 Hotspot 방식과 구역지정 결과를 비교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분석격자단위를 100m에서 400m까지 순차 증가시키는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고 단위면적당 개발 허가 건수 및 원형도의 두 가지 평가치로 비교평가해 보았다. 분석결과, 두 방식의 수치적 평가치는 유사하였음에도, 적정 크기의 영역획정에서는 전자가, 기반시설설치 용이성에서는 후자가 다소 우월함을 보였다. 특히 유사한 평가수치와는 달리 각 방식에 의한 지정구역의 40%는 서로 상이한 지역을 획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두 방식 간에 위치 적정성 판단기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이러한 구역지정 편차의 원인과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문 및 토양환경을 고려한 수변식생군락 조성 모델 - 대청호 저수지를 사례로 - (The riparian vegetation community models according to hydrologic and soil environments - Case of Daecheongho lake reservoirs -)

  • 박미옥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4-154
    • /
    • 2017
  • 수변식생은 코리도형 생태계로서 수생태계와 육상생태계 사이의 전이지대이며,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연계를 통해 생태계 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변생태계는 서식처, 종의 공급원과 수요처, 이동통로, 필터와 장벽 등의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는 표준생태계의 식생구조를 바탕으로 저수지 수위변동구간의 수문환경 및 토양환경을 고려하여 도입 가능한 식생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사도 10%이내의 완경사지를 중심으로 식생모델 적용 대상지 2개소를 선정하였다. 수변식생 모델은 GIS분석과 위성영상, 현지조사 결과에 따라 수위 및 침수빈도, 토양 및 지형인자, 토지피복(이용) 형태를 기준으로 구축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변식생 도입 가능구역으로는 계획홍수위 지점에서 만수위의 -5m 지점까지로 하였다. 둘째, 식재를 위한 수변지역 경사도는 $10^{\circ}$ 이하이다. 셋째, 연평균 100일 침수까지 생육 가능한 수종은 버드나무, 왕버들, 갯버들 등이다. 넷째, 토지피복(이용) 형태에 따라 야생초지(개여뀌, 이삭사초, 강아지풀, 가막사리, 물억새, 갈대, 망초, 달맞이꽃 등), 묵논(기존 경작지), 밭(기존 경작지)으로 분류하였다. 다섯째, 수변식생 기능을 생태경관림으로 설정하여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청호 2개소를 선정하여 모델식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수변식생 모델은 저수지 및 하천 수변식생대의 생태적 기능과 경관성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영산강 수계의 배후습지인 우습제에 서식하는 식생분포와 특성 (Vegetation Distribution and Phytosociological Character of Useupje (Backswamp) in the Youngsan River Basin)

  • 정현기;임정철;최병기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157-168
    • /
    • 2017
  • 배후습지는 범람에 의해 고운 입자가 퇴적된 범람원으로 일반적으로 추이대의 성격을 지니며, 다양한 생태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영산강 배후습지인 우습제의 식생다양성과 자연성평가를 통한 습지의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우습제의 식생은 서식처의 종조성에 따라 4개 상관형의 14개 단위식생으로 분류되었다. 부유식생에는 개구리밥군락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이 출현하였고 부엽식생에는 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 community), 연꽃-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Nelumbo nucifer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정수식생의 진연안대에는 물참새피군락 (Paspalum distichum community), 고마리군락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갈풀군집 (Phalaridetum arundinaceae)이 확인되었고 추수대에는 줄-매자기군집 (Scirpo fluviarilis-Zizanietum latifoliae), 애기부들군락 (Typha angustat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조간대에는 큰고랭이군집 (Scirpetum tabernaemontani), 갈대군집 (Phragmitetum australis)이 확인되었고 중수위권의 습지추이대지역에서는 버드나무-이삭사초군락 (Carex dimorpholepis-Salix subfragilis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우습제 식생분포결과에 따르면, 식생분포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서 습지 내 수위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고려된다. 우습제의 단위식생 평가결과는 식생자연도에 따라 대부분 III 등급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넓은 면적에서 다양한 고유식생 분포가 확인되었고 인접한 습지가 존재하지 않는 지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지역생태계에 기여하는 생태학적 가치는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도 성남시 도시지역 습지의 유형 분포 및 습지식물의 특성 평가 (Distributional Patterns and the Evaluation of Hydrophytic Plants of Urban Wetlands in Seongnam City, Gyunggi-do Province, Korea)

  • 전승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9-172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생태계 연구의 적지로 판단되는 경기도 성남시를 대상으로 습지 현황, 습지 유형, 습지식물의 특성, 그리고 훼손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성남시의 도시습지는 1차 조사결과 모두 162개소가 확인되었으며, 입지적 특성에 따라 산간습지 55개소, 하천변 습지 4개소, 묵논 및 묵밭 62개소, 웅덩이 37개소, 저수지 4개소 등으로 분류되었다. 1차 조사결과, 습지로서의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된 107개소에 대해 2차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약 39%에 달하는 42개소가 규모가 작고 육지화되어 습지의 가치가 매우 낮으며 매립 및 배수화 등으로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었다. 학술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중요 습지 27개소를 대상으로 수문환경 특성과 습지식물의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남시 도시습지는 아직도 양호한 수환경 조건과 다양한습지식물의 분포와 정착환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된 184종류의 식물종 가운데 습지의존적인 식물은 75종류인 약 40.7%의 비율에 불과하며, 따라서 대부분의 습지가 육상역 식물종의 침입과 같은 인위적인 교란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습지식물 우세도 지수를 적용하여 습지의 보전상태를 평가한 결과에서도 성남시 전체의 경우 지수 값이 약 3.7로 나타나 습지평가유보 단계를 벗어난 양호한 육상생태계 수준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남시가 중부내륙의 산악도시임을 감안할 때 전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산간습지와 묵논 및 묵밭의 발달은 비록 규모는 작으나 육상과 수계 생태계사이의 생태적 추이대로 생태적 거점역할 측면에서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