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20

검색결과 10,126건 처리시간 0.042초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Euphorbiaceae)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Cytotaxonomic study of Korean Euphorbia L. (Euphorbiaceae))

  • 정규영;오병운;박기룡;김주환;김미숙;남기흠;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9-293
    • /
    • 2003
  •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13종의 체세포염색체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취급된 분류군들의 체세포염색체수는 2n= 12, 20, 22, 28, 40, 42, 56이었고, 기본염색체수는 x=6, 7, 10, 11이었다. 본 연구에서 체세포염색체수가 처음으로 밝혀진 분류군은 낭독(E. pallasii Turcz.; 2n=20), 단주낭독(E. hylonoma Hand.-Mazz; 2n=20.), 두메대극(E. fauriei H. L$\acute{e}$v. & Vaniot ex H. L$\acute{e}$v.;2n=28), 암대극(E. jolkini Boiss.; 2n=28)의 4종류이었으며, 기존의 보고와 일치하는 분류군은 개감수(E. sieboldiana Moor. & Decne.; 2n=20), 붉은대극(E. ebracteolata Hayata; 2n=20), 땅빈대(E. humifusa Willd. ex Schlecht.; 2n=22)의 3종류이었다. 반면 기존의 보고와 다르게 나타난 종류는 흰대극(E. esula L.; 2n= 16, 20, 60, 64 vs 2n=20), 등대풀(E. helioscopia L.; 2n=12, 42 vs 2n=42), 참대극(E. lucorum Rupr.; 2n=28, 40 vs 2n=56), 대극(E. pekinensis Rupr. in Maxim.; 2n=24 vs 2n=28, 56), 큰땅빈대(E. maculata L.; 2n=28, 42 vs 2n=12), 애기땅빈대(E. supina Raf.; n=7 vs 2n=40)이었다. 낭독, 붉은대극, 단주대극은 염색체의 수와 크기 및 부수체의 존재에 의해 다른 분류군들과 뚜렷히 구분되었으며, 큰땅빈대, 땅빈대, 애기땅빈대는 외부형태, 해부, 화분학적 형질의 공통성에도 불구하고 기본염색체수 및 체세포염색체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체세포염색체에서 얻어진 결과는 Webster(1967)의 분류체계보다 Ma and Hu(1992)의 분류체계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얻어진 체세포염색체에 관한 형질은 절 수준에서 분류학적으로 유용하게 적용되었으며, 일부 종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유용성이 인정되었다.

인삼의 diol계 사포닌으로부터 새로운 배당체 (20E)-Ginsenoside $Rh_3$ 및 그의 입체이성체의 제조와 구조결정 (Prepar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a New Glycoside, (20E)-Ginsenoside $Rh_3$, and its isomer from Diol-type Ginseng Saponins)

  • 김동선;백남인;박종대;이유희;정소영;이천배;김신일
    • 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5-93
    • /
    • 1995
  • Acidic and alkaline hydrolysis of diol-type ginseng saponins produced a new glycoside, (20E)-ginsenoside Rh$_{3}$, and its stereoisomer (20Z)-, which were further subjected to alkaline by drolysis to give their aglycones, (20E)- and (20Z)-3$\beta$, 12$\beta$-dihydroxy-dammar-20(22),24-diene. The ratio of stereoisomeric mixtures was estimated to be ca. 5:1 from intensities of the peaks in $^{1}$H- and $^{13}$C-NMR spectra. The $^{1}$H- and $^{13}$C-NMR signals of ginsenoside Rh$_{3}$, which have remained unclarified, were completely assigned by the extensive application of modern NMR techniques.

  • PDF

Emulsion Properties of Pseudo-Ceramide PC104/Water/Polyoxyethylene Cholesteryl Ether and Polyoxyethylene Cetyl Ether Mixtures.

  • Kim, Do-Hoon;Oh, Seong-Geun;Lee, Young-Jin;Kim, Youn-Joon;Kim, Han-Kon;Kang, Hak-Hee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330-342
    • /
    • 2003
  • The formation of emulsions and micelles in water/ceramide PC104/CholE $O_{20}$/C$_{16}$E $O_{20}$ and water/ceramide PC104/CholE $O_{20}$ mixture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phase behavior studies. The phase diagrams showed the existence of micelle and emulsion regions in both systems. The mixed surfactant system (CholE $O_{20}$/C$_{16}$E $O_{20}$) showed the wider micellar and emulsion regions than the single surfactant system (CholE $O_{20}$). From FT-IR measurements, it was found that the polyoxyethylene (POE) groups of surfactants formed the hydrogen bonds with amido carbonyl group in ceramide PC104.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hydrophilic part (EO) of surfactants could stabilize the lamellar structure and emulsion of ceramide PC104. The mixed surfactant system (CholE $O_{20}$/C$_{16}$E $O_{20}$) resulted in the smaller emulsion droplet size due to the effect of curvature at the interface, thus further increasing emulsion stability. With the penetration of $C_{16}$E $O_{20}$into the interfacial layer of surfactants in emulsion, the curvature of the interface might be altered for the formation of smaller emulsion droplets. The mixed surfactant system could incorporate up to 4 wt. % of ceramide PC104 into emulsion more than single surfactant system.ystem.m.

  • PDF

경상분지 남동부 일대의 백악기 및 제3기 암류에서 발달하는 단층분절의 분포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Fault Segments in Cretaceous and Tertiary Rocks from Southeastern Gyeongsang Basin)

  • 박덕원
    • 암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09-120
    • /
    • 2018
  • 경상분지 남동부 일대의 백악기 및 제3기 암류에서 발달하는 단층분절에 대한 분포특성을 도출하였다. 선형을 보이는 267조의 단층분절은 광역 지질도 상에서 표시된 곡선의 단층선에서 추출하였다. 첫째, 단층분절에 대한 방향각(${\theta}$)-길이(L)의 도면을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단층분절의 전반적인 분포형태를 도출하였다. 도면의 분포곡선은 전체 형태에 따라서 4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상기 구간의 정점에 해당하는 북북동, 북북서 및 서북서의 방향은 양산, 울산 및 가음 단층계의 방향을 시사한다. 단층분절의 집단은 최대 정점에 해당하는 $N19^{\circ}E$의 방향에 대하여 거의 대칭 분포를 보여 준다. 둘째, 방향각-빈도수(N), 평균 길이(Lm), 총 길이(Lt) 및 밀도(${\rho}$)의 도면을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상기한 도면의 전 영역을 분포곡선의 분포상에 의하여 19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상기한 영역의 정점에 해당하는 방향은 암체에 가해진 대표적인 응력의 방향을 시사한다. 셋째, 18개의 부집단에 대한 길이-누적 빈도수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지수(${\lambda}$)는 시계방향($N10{\sim}20^{\circ}E{\rightarrow}N50{\sim}60^{\circ}E$)과 반시계방향($N10{\sim}20^{\circ}W{\rightarrow}N50{\sim}60^{\circ}W$)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반면 길이의 분포 폭 및 평균 길이는 감소한다. 서로 다른 진화 특성을 갖는 상기한 부집단에 대한 도면은 진화과정의 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18개의 그래프에 대한 종합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상기한 그래프를 분포 구역에 따라 5개의 그룹(A~E)으로 분류하였다. 단층분절의 길이는 그룹 E ($N80{\sim}90^{\circ}E{\cdot}N70{\sim}80^{\circ}E{\cdot}N80{\sim}90^{\circ}W{\cdot}N50{\sim}60^{\circ}W{\cdot}N30{\sim}40^{\circ}W{\cdot}N40{\sim}50^{\circ}W$) < D ($N70{\sim}80^{\circ}W{\cdot}N60{\sim}70^{\circ}W{\cdot}N60{\sim}70^{\circ}E{\cdot}N50{\sim}60^{\circ}E{\cdot}N40{\sim}50^{\circ}E{\cdot}N0{\sim}10^{\circ}W$) < C ($N20{\sim}30^{\circ}W{\cdot}N10{\sim}20^{\circ}W$) < B ($N0{\sim}10^{\circ}E{\cdot}N30{\sim}40^{\circ}E$) < A ($N20{\sim}30^{\circ}E{\cdot}N10{\sim}20^{\circ}E$)의 순으로 증가한다. 특히 그래프의 형태는 균등 분포에서 지수 분포로 점차 변화한다. 마지막으로, 단층분절의 길이에 대한 여섯 개 변수의 값을 5개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여섯 개 변수 중, 평균 길이 및 가장 긴 단층분절의 길이는 그룹 III ($N10^{\circ}W{\sim}N20^{\circ}E$) > IV ($N20{\sim}60^{\circ}E$) > II ($N10{\sim}60^{\circ}W$) > I ($N60{\sim}90^{\circ}W$) > V ($N60{\sim}90^{\circ}E$)의 순으로 감소한다. 그룹 V에 속하는 단층분절의 빈도수, 최장 길이, 총 길이, 평균 길이 및 밀도가 가장 낮은 값을 보여 준다. 5개 그룹 사이의 상기 배열순은 단층분절의 상대적인 생성시기와의 상관성을 시사한다.

구미청심원이 저산소증 유발 배양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oomcheongsim-won(구미청심원) Extracts on E20 Corticells and P7 Cerebellar Cells Exposed to Hypoxia)

  • 한기선;정승현;신길조;문일수;이원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0-132
    • /
    • 200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Goomicheongsim-won Extracts on E20 corticells and P7 cerebellar cells exposed to hypoxia, and the effect on neuronal protection by elimination of Rhinoceros unicornis L. and/or Orpiment $As_2S_3$. Methods : P7 cerebellar cells were grown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KM-A, KM-B, KM- C and KM-D. On 7 DIV (day in vitro), cells were exposed to hypoxia (98% $N_2/5%{;}CO_2,{\;}3{\;}hr,{\;}37^{\circ}C$) and normoxia, and then further incubated for 3 days. Neuronal viabilities were expressed as percentages of control. E20 cortical cells were grown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KM-A, KM-B, KM-C, and KM-D. On 7 DIV, cells were exposed to hypoxia and normoxia, and then further incubated for 3 and 7 days. Results : I. The effect of KM-A on neuronal prote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7 cerebellar granule cells and E20 cortical cells on normoxia and hypoxia. 2. The effect of KM-B on neuronal protection was increased P7 cerebellar granule cells on normoxia, bu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7 cerebellar granule cells on hypoxia. The effect of KM-B on neuronal protection was non-significantly increased E20 cortical cells on normoxia and hypoxia. 3. The effect of KM-C on neuronal protection was non-significantly increased P7 cerebellar granule cells on normoxia and hypoxia and was decreased (p=0.058) on hyper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in normoxia. The effect of KM-C on neuronal prote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7 cerebellar granule cells and E20 cortical cells on normoxia and hypoxia (10 DIV), and the effect was E20 cortical cells on normoxia (14 DIV), non-significantly increased E20 cortical cells on hypoxia (14DIV). 4. The effect of KM-D on neuronal protection was increased P7 cerebellar granule cells on normoxia but was not on hyper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hyper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in hypoxia. The effect of KM-D on neuronal prote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E20 cortical cells on normoxia an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E20 cortical cells increased on hypoxia (10 DIV). Conclusions : Goomicheongsim-won extracts had applicable effect on E20 corticells and P7 cerebellar cells exposed to hypoxia. The effect on neuronal protection by elimination of Rhinoceros unicornis L. and/or Orpiment $As_2S_3$ was changed.

  • PDF

Benzo[1,2,5]thiadiazole을 기본 골격으로 한 공액고분자의 합성 및 광전변환특성 연구 (Synthesis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New π-conjugated Polymers Based on Benzo[1,2,5]thiadiazole)

  • 배준휘;임경은;김주현
    • 공업화학
    • /
    • 제24권4호
    • /
    • pp.396-401
    • /
    • 2013
  • Benzo[1,2,5]thiadiazole, carbazole 및 phenanthrene을 기본 골격으로 한 교대공중합체인 poly[9-(2-octyl-dodecyl)-9H-carbazole-alt-4,7-di-thiophen-2-yl-benzo[1,2,5]thiadiazole] (PCD20TBT)와 poly[9,10-bis-(2-octyl-dodecyloxy)-phenanthrene-alt-4,7-di-thiophen-2-yl-benzo[1,2,5]thiadiazole] (PN40TBT)을 Suzuki coupling reaction을 이용하여 중합하였다. 합성한 고분자들은 chloroform, chlorobenzene, 1,2-dichlorobenzene, tetrahydrofuran, toluene과 같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였다. PCD20TBT의 최대흡수 파장과 밴드갭은 각각 535 nm와 1.75 eV이고, PN40TBT의 최대흡수 파장과 밴드갭은 각각 560 nm과 1.97 eV이었다. PCD20TBT의 HOMO 및 LUMO 에너지준위는 각각 - 5.11 eV와 - 3.36 eV이고, PN40TBT의 HOMO 및 LUMO 에너지준위는 각각 -5.31 eV와 -3.34 eV이었다. 합성한 고분자와 (6)-1-(3-(methoxycarbonyl)-{5}-1-phenyl[5,6]-fullerene(PCBM)을 1:2의 중량비로 블랜딩하여 제작한 이종접합형태(bulk heterojunction)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PCD20TBT의 광전변환효율은 0.52%, PN40TBT의 광전변환효율은 0.60%이었다. 그리고 소자의 단락 전류밀도, 충진 인자와 개방전압은 PCD20TBT가 각각 $-1.97mA/cm^2$, 38.2%, 0.69 V이며, PN40TBT의 경우 각각 $-1.77mA/cm^2$, 42.9%, 0.79 V이었다.

Bi12(Si,Ge)O20 단결정의 전기 및 광학적 특성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Bi12(Si,Ge)O20 Single Crystals)

  • 김덕훈;문정학;이찬구;이수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7-42
    • /
    • 1996
  • $Bi_{12}(Si,Ge)O_{20}$ 단결정의 전기 및 광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Czochralski법으로 단결정을 성장시켜, 직류전기전도도와 교류전기전도도 그리고 광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직류전기전도도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 $E_g$는 1.12 eV 이고, 광학적 갭 $E_{opt}$는 2.3 eV였다. $Bi_{12}(Si,Ge)O_{20}$ 단결정의 교류전기전도도는 측정온도 범위는 290 K에서 570 K까지 였으며 측정주파수는 50 kHz에서 30 MHz 까지 였다. 교류전기전도도는 ${\omega}^s$에 비례하는 hopping 전도 가구를 나타내었으며, 고주파수영역에서 지수값은 s=2로 구해졌다. 유전상수는 $Bi_{12}(Si,Ge)O_{20}$ 단결정의 경우 54이고 $Bi_{12}(Si,Ge)O_{20}$ 단결정의 경우 41정도의 크기를 보였다.

  • PDF

Biosynthesis of rare 20(R)-protopanaxadiol/protopanaxatriol type ginsenosides through Escherichia coli engineered with uridine diphosphate glycosyltransferase genes

  • Yu, Lu;Chen, Yuan;Shi, Jie;Wang, Rufeng;Yang, Yingbo;Yang, Li;Zhao, Shujuan;Wang, Zhengta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116-124
    • /
    • 2019
  • Background: Ginsenosides are known as the principal pharmacological active constituents in Panax medicinal plants such as Asian ginseng, American ginseng, and Notoginseng. Some ginsenosides, especially the 20(R) isomers, are found in trace amounts in natural sources and are difficult to chemically synthesize.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approach to produce such trace ginsenosides applying biotransformation through Escherichia coli modified with relevant genes. Methods: Seven uridine diphosphate glycosyltransferase (UGT) genes originating from Panax notoginseng, Medicago sativa, and Bacillus subtilis were synthesized or cloned and constructed into pETM6, an ePathBrick vector, which were then introduced into E. coli BL21star (DE3) separately. 20(R)-Protopanaxadiol (PPD), 20(R)-protopanaxatriol (PPT), and 20(R)-type ginsenosides were used as substrates for biotransformation with recombinant E. coli modified with those UGT genes. Results: E. coli engineered with $GT95^{syn}$ selectively transfers a glucose moiety to the C20 hydroxyl of 20(R)-PPD and 20(R)-PPT to produce 20(R)-CK and 20(R)-F1, respectively. GTK1- and GTC1-modified E. coli glycosylated the C3-OH of 20(R)-PPD to form 20(R)-Rh2. Moreover, E. coli containing $p2GT95^{syn}K1$, a recreated two-step glycosylation pathway via the ePathBrich, implemented the successive glycosylation at C20-OH and C3-OH of 20(R)-PPD and yielded 20(R)-F2 in the biotransformation broth.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rare 20(R)-ginsenosides can be produced through E. coli engineered with UTG genes.

황해 동남 해역의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Distribution of Indicator Specie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Yellow Se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 박주석;이삼석;강영실;이병돈;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1-264
    • /
    • 1992
  •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 군집구조 그리고 요인분석으로써 황해 동남 해역에 분포하는 수괴의 시공간적 변동 및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요각류인 Undinula darwini, Lucicutia flavicornis, Pleuromamma gracilis와 모악류인 Sagitta enflata는 난류 외양성 종으로, Euchaeta russelli 와 Euchaeta plana는 난류성이나 내성이 강하여 분포 범위를 넓게 가지는 종으로, Sagitta wassa는 연안성 종으로, Sagitta bedoti는 혼합성 종으로 그리고 Centropages abdominalis는 연안 저온성 종으로 특성 지어졌으며, 이들의 분포로써 수괴를 분석하였다. 2월의 경우, U. darwini, L. flavicornis, P. gracilis, E. russelli, E. plana 그리고 S. enflata가 출현하는 제주도 서방, 수온 $14^{\circ}$ 이상인 해역이 쿠로시오 난류 수괴로, 수온 $10^{\circ}$이하이며,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해역이 황해 냉수괴로 나타났다. E. plana와 E. russelli가 소량 출현하며, 혼합성 종인 S. bedoti가 출현하는 수온 $12-14^{\circ}$인 제주도-진도간 해역은 혼합 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8월의 경우, 수온 약층을 경계로 하여 0-20m층과 20m- 저층으로 분리하여 수괴를 분석하였다. 0-20m 층의 경우, E. plana와 E. russelli가 출현하는 대흑산도까지 난류가 미치며, 집괴 분석 및 수괴지표성 종의 분포로써 볼 때 수괴는 연안에서 외양으로 가면서 크게 대별되어졌다. 20m-저층의 경우, 난류성 종인 E. russelli와 E. plana가 출현하며 수온이 $12^{\circ}C$이상인 제주도 서북방 해역이 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나타났으며, 저온성 종인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 해역이 황해 냉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계 0-20m층의 진도부관 해역 및 20m- 저층의 진도 이북 해역에서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냉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pin-coating에 의한 $Ge_{20}As_{20}Se_{60}$ 비정질 chalcogenide 박막의 제조 및 광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_{20}As_{20}Se_{60}$ Amorphous Chalcogenide Thin Film by Spin Coating)

  • 이강구;최세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9-226
    • /
    • 2000
  • Amorphous Ge20As20Se60 chalcogenide thin films were prepared by spin coating technique from mixed solutions of As40Se60 and Ge40Se60 dissolved in ethylenediamine. Films were prepared at a roating speed of 3500 rpm and spinning time was 10 second and heat-treateed at 27$0^{\circ}C$ for 1 hour. The resulting film thickness and RMS roughness were approximately 340 nm and 15$\AA$. Photostructure changes were investigated with 514.5nm Ar+ laser irradiation and heat-treatment. After Ar+ laser irradiation, transmittance and transmission efficiency decreased respectively up to 24.9% at 2.43 eV and 67.5% at 3.27 eV, and absorption edge shifted toward long wavelength. Optical bandgap changed from 2.03 to 1.83 eV, and absoprtion coefficient and absorption efficiency increased up to 0.33$\times$105cm-1 at 3.37eV and 88.3% at 1.31 eV, respectively. These photodarkening state were recovered reversibly by heat-treatment at 27$0^{\circ}C$ for 1 hour. Photodarkening and thermal bleaching effects by laser irradiation and heat-treatment revealed reversible amorphous-to-amorphous transition varying only coordination numb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