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Search Result 36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Practical Approximate Sub-Sequence Search Method for DNA Sequence Databases (DNA 시퀀스 데이타베이스를 위한 실용적인 유사 서브 시퀀스 검색 기법)

  • Won, Jung-Im;Hong, Sang-Kyoon;Yoon, Jee-Hee;Park, Sang-Hyun;Kim, Sang-Wook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4 no.2
    • /
    • pp.119-132
    • /
    • 2007
  • In molecular biology, approximate subsequence sear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per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ccurate and efficient method for approximate subsequence search in large DNA databases. The proposed method basically adopts a binary trie as its primary structure and stores all the window subsequences extracted from a DNA sequence. For approximate subsequence search, it traverses the binary trie in a breadth-first fashion and retrieves all the matched subsequences from the traversed path within the trie by a dynamic programming technique. However, the proposed method stores only window subsequences of the pre-determined length, and thus suffers from large post-processing time in case of long query sequences. To overcome this problem, we divide a query sequence into shorter pieces, perform searching for those subsequences, and then merge their results. To verify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we conducted performance evaluation via a series of experiment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method, which requires smaller storage space, achieves 4 to 17 times improvement in performance over the suffix tree based method. Even when the length of a query sequence is large, our method is more than an order of magnitude faster than the suffix tree based method and the Smith-Waterman algorithm.

A Frame Unit Based Adaptive Pruning Algorithm for the East Speech Recognition (음성인식의 고속화를 위한 프레임 단위 적응 프루닝 알고리즘)

  • Hwang Cheol-Jun;Oh Se-Jin;Kim Bum-Koog;Jung Ho-Youl;Chung Hyun-Yeo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83-18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인식이 진행되는 동안 탐색 공간을 효과적으로 줄임으로써 음성인식의 고속화를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 단위 적응 프루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앞 프레임과 뒤 프레임 사이의 최대확률은 높은 상관성을 가지므로 프루닝 문턱치를 앞 프레임의 최대 확률로부터 효과적으로 구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있다. 이 방법에서는 앞 프레임의 최대 우도 확률과 후보 확률들의 조합으로 현재 프레임의 프루닝 문턱치를 갱신함으로써 현재 프레임의 문턱치를 인식 과정 중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인식 태스크가 바뀌어도 문턱치를 구하기 위한 사전 실험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프레임 단위로 적응적으로 얻어진 문턱치는 다른 환경 하에서도 인식 속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위하여 한국어 주소 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본 시스템은 48개의 유사음소단위(PLUs)를 인식의 기본단위로 하고, 적응알고리즘으로는 최대사후확률추정법((MAP: Maximum A Posteriori Probability Estimation)을, 인식 알고리즘으로는 OPDP(One Pass Dynamic Programming)법을 이용하였다 남성화자 3인이 25개의 연결 주소명을 대상으로 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된 프레임단위 적응프루닝 문턱치를 적용한 경우를 기존의 고정 프루닝 문턱치와 가변 프루닝 문턱치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인식률의 변화 없이 탐색공간이 상대적으로 각각 $14.4\%$9.14\%가 감소되어 제안된 프레임 단위 적응 프루닝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공간적 분포 특성이 구체적으로 규명되면 보다 정확한 음장변화 추정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내부파와 음파의 상대적인 진행 방향에 따라 음장변화가 크게 다를 것이 예상되므로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3차원적인 음장분포 연구가 필요하다. 음향센서를 해저면에 매설할 경우 수충의 수온변화와 센서 주변의 수온변화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지연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는 것도 센서의 성능예측을 위해서 필요하리라 사료된다.가지는 심부 가스의 개발 성공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심부 가스가 존재하는 지역의 지질학적 부존 환경 및 조성상의 특성과 생산시 소요되는 생산비용을 심도에 따라 분석하고 생산에 수반되는 기술적 문제점들을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향후 요구되는 연구 분야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참고로 현재 심부 가스의 경우 미국이 연구 개발 측면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그 결과 다수의 신뢰성 있는 자료들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본 논문은 USGS와 Gas Research Institute(GRI)에서 제시한 자료에 근거하였다.ऀĀ耀Ā삱?⨀؀Ā Ā?⨀ጀĀ耀Ā?돀ꢘ?⨀硩?⨀ႎ?⨀?⨀넆돐쁖잖⨀쁖잖⨀/ࠐ?⨀焆덐瀆倆Āⶇ퍟ⶇ퍟ĀĀĀĀ磀鲕좗?⨀肤?⨀⁅Ⴅ?⨀쀃잖⨀䣙熸ጁ↏?⨀

  • PDF

Fast Content-Aware Video Retargeting Algorithm (고속 컨텐츠 인식 동영상 리타겟팅 기법)

  • Park, Dae-Hyun;Kim, Y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11
    • /
    • pp.77-86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video retargeting method which preserves the contents of a video and converts the image size. Since the conventional Seam Carving which is the well-known content-aware image retargeting technique uses the dynamic programming method, the repetitive update procedure of the accumulation energy is absolutely needed to obtain seam. The energy update procedure cannot avoid the processing time delay because of many operations by the image full-searching.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frames which have similar features in video are classified into a scene, and the first frame of a scene is resized by the modified Seam Carving where multiple seams are extracted from candidate seams to reduce the repetitive update procedure. After resizing the first frame of a scene, all continuous frames of the same scene are resized with reference to the seam information stored in the previous frame without the calculation of the accumulation energy. Therefore, although the fast processing is possible with reducing complexity and without analyzing all frames of scene, the quality of an image can be analogously maintained with an existing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preserve the contents of an image and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retarget the image on real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