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3초

조영제 자동주입기를 활용한 자기공명영상 동적검사 시 실린지 재사용의 문제 (Syringe Reuse Issues in Automated Contrast Injection System in Dynam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손순룡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45-450
    • /
    • 2019
  •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 동적검사 시 자동주입기의 사용에 따라 조영제 역류로 인한 생리식염수의 오염 현상을 실험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오염된 실린지 재사용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영제 주입 전 생리식염수와 주입 후 생리식염수를 각각 채취한 다음, T1 강조영상을 획득하여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생리식염수의 주입 후 신호강도가 주입 전에 비해 523.43%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는 조영제 주입에 따른 압력에 의해 조영제가 관을 통해 역류하여 압력이 낮은 반대쪽 생리식염수를 오염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조영제 주입 시 사용하는 실린지는 조영제 역류로 인해 교차오염이 발생하므로 정량적 분석을 위한 검사 시 동일한 환자의 검사라도 검사순서를 변경하거나 실린지를 교체하여 오류를 방지해야 한다.

점액암의 영상소견 (Imaging Features of Mucinous Breast Carcinoma)

  • 한혜정;김성헌;차은숙;김현숙;강봉주;최재정;이지혜;이아원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4권1호
    • /
    • pp.21-30
    • /
    • 2010
  • 목적: 점액암의 영상소견에 대해서 알아 보고, 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른 영상 소견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수술을 통해 점액암으로 확진된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유방촬영술과 초음파 검사, 그리고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BI-RADS에 따라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점액암의 조직학적 분화도를 고분화, 중증도분화, 미분화 등급으로 나눠서 이에 따른 영상소견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20예의 유방 촬영에서 17예 (85%)가 종괴로 보였고 3예는 정상소견이었다. 총 27예의 초음파 검사에서 점액암은 난원형 (59.2%)의 미세소엽성 변연 (55.5%)을 가지거나 불균일한 등에코 (74%)의 종괴로 보였다. 총 21예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점액암은 소엽상의 변연(76.2%), 매끄러운 변연(86%)의 종괴로 불균일한 조영증강(61.9%)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였다. 역동성 조영 증가 그래프에서 지연시 유실형 양상 (52.3%)을 보였다. 고분화 점액암이 갑자기 끝나는 종괴의 경계를 보이는 것 외에는 점액암의 분화도에 따른 영상소견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점액암의 분화도에 따른 차이는 중등도 분화 점액암과 비교하여 고분화 점액암이 갑자기 끝나는 종괴의 경계를 보이는 것이었다. 대부분의 점액암은 자기공명영상에서 불균일한 조영증강과 지연시 유실형 양상을 보였다.

Dynamic bivariate correlation methods comparison study in fMRI

  • Jaehee Kim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31권1호
    • /
    • pp.87-104
    • /
    • 2024
  • Most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studies in resting state have assumed that the functional connectivity (FC) between time series from distinct brain regions is constant. However, increased interest has recently been in quantifying possible dynamic changes in FC during fMRI experiments. FC study may provide insight into the fundamental workings of brain networks to brain activity. In this work, we focus on the specific problem of estimating the dynamic behavior of pairwise correlations between time courses extracted from two different brain regions. We compare the sliding-window techniques such as moving average (MA) and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EWMA), dynamic causality with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 dynamic conditional correlation (DCC) based on volatility, and the proposed alternative methods to use differencing and recursive residuals. We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those techniques in a series of simulation studies. We also provide an application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patient fMRI data to demonstrate studying dynamic correlations.

저항 Scaption 동적 초음파를 이용한 극상건 부분 파열의 진단 (Diagnosis of Partial Thickness Tear of Supraspinatus Tendon Using Dynamic Ultrasonography Under Resisted Scaption Position)

  • 송재황;고광표;차현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426-430
    • /
    • 2020
  • 극상건의 부분 파열(partial thickness tear)이 자기공명영상이나 Middleton, Crass position하의 정적초음파영상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견관절의 extension position에서 저항 scaption (resisted scaption 또는 scapular plane abduction)을 이용한 동적초음파 검사를 이용하면 다른 영상의학적 도구나 자세에서 진단을 놓칠 수 있는 극상건의 부분 파열도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음을 여러 증례를 통하여 경험하였다. 현재까지 극상건 부분 파열을 진단하기 위한 동적 검사 방법은 문헌으로 보고된 적이 없었던 바, 이에 두 증례를 통하여 저항 scaption을 이용한 동적 초음파에 대한 저자들의 술기를 보고하고자 한다.

The Determination of Take-Off Time in Iteration on Dynamic Susceptibility Contrast Agent MR Perfusion Imaging

  • 김대원;류완석;정성택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3년도 제8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79-80
    • /
    • 2003
  • In existing method, the threshold has determined the points to be used in extrapolation and only pre-peak points were used to find t0. However, to reduce error in using this fitting method, in this study, finding t0is considered the correlation between fitting result and each profile in using iteration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 PDF

Differentiation between Glioblastoma and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Using Dynamic Susceptibility Contrast-Enhanced Perfusion MR Imaging: Comparison Study of the Manual versus Semiautomatic Segmentation Method

  • Kim, Ye Eun;Choi, Seung Hong;Lee, Soon Tae;Kim, Tae Min;Park, Chul-Kee;Park, Sung-Hye;Kim, Il Ha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1권1호
    • /
    • pp.9-19
    • /
    • 2017
  • Background: Normalized cerebral blood volume (nCBV) can be measured using manual or semiautomatic segmentation method. However, the difference in diagnostic performance on brain tumor differentiation between differently measured nCBV has not been evaluated. Purpose: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manually obtained nCBV to that of semiautomatically obtained nCBV on glioblastoma (GBM) and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PCNSL) differentiation. Materials and Methods: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forty GBM and eleven PCNSL patients underwent 3T MR imaging with dynamic susceptibility contrast-enhanced perfusion MR imaging before any treatment or biopsy. Based on the contrast-enhanced T1-weighted imaging, the mean nCBV (mCBV) was measured using the manual method (manual mCBV), random regions of interest (ROIs) placement by the observer, or the semiautomatic segmentation method (semiautomatic mCBV). The volume of enhancing portion of the tumor was also measured during semiautomatic segmentation process. T-test, ROC curve analysis, Fisher's exact test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value and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each parameter. Results: GBM showed a higher enhancing volume (P = 0.0307), a higher manual mCBV (P = 0.018) and a higher semiautomatic mCBV (P = 0.0111) than that of the PCNSL. Semiautomatic mCBV had the highest value (0.815) for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however, the AUCs of the three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emiautomatic mCBV was the best independent predictor for the GBM and PCNSL differential diagnosis according to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semiautomatic mCBV could be a better predictor than the manual mCBV for the GBM and PCNSL differentiation. We believe that the semiautomatic segmentation method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perfusion based brain tumor evaluation.

악관절증의 진단을 위한 역동적 자기공명 영상의 이용 및 증례 (Diagnostic Reliability & Case Reports Of The Dynamic MRI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 박진호;진병로;변우목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141-148
    • /
    • 1995
  • 본 교실에서는 측두하악관절주위의 동통, 관절 잡음동의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에 있어서 역동적 자기공명영상의 촬영을 시행하여 관절원판의 전방변위와 형태적 이상 및 주위 구조물들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근육성 동통기능장애와의 감별뿐만 아니라 환자의 중상에 따른 관절 내부 장애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악기능시의 구조적 이상, 장애의 원인 등을 판독하여 치료의 방침을 세우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기에 보고 하는 바이다.

  • PDF

유방의 유두상 병변의 진단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역할 (Role of MRI in Diagnostic Evaluation of Papillary Lesions of the Breast)

  • 이소미;김혜정;곽연주;이희중;장윤진;신경민;박지영;정진향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4권1호
    • /
    • pp.41-46
    • /
    • 2010
  • 목적 : 유방의 유두상 병변의 진단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에서 양성 유두상 병변으로 진단된 45예 중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22명의 환자 2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시행 1-10일 후 절제 생검을 시행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형태학적 기준에서 불규칙하거나 환형 또는 선형 조영증강을 보이거나 조영증강 양상에서 지연기 조영유실을 보이는 경우를 의심스러운 병변으로 분류하였다. 확산강조영상에서 병변의 발견 여부도 알아보았다. 자기공명영상 소견이 절제 생검 결과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핵생검에서 비정형성이 없는 22예의 양성 유두상 병변 중 2예(9%), 비정형성이 있는 5예의 양성 유두상 병변 중 4예(80%)가 절제 생검에서 악성으로 진단되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발견된 18예 중 16예에서 암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였으며, 절제 생검에서 양성이 11예(69%), 악성이 5예(31%)였다. 확산강조영상에서 보이는 12예 중 10예가 양성, 2예가 악성으로 진단되었다.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절제 생검 결과와 상관이 없었다. 결론 : 핵생검에서 진단된 양성 유두상 병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대부분(88.9%, 16/18)에서 암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여 악성 예측에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자기공명영상에서 위양성 소견을 보이는 병변에 양성 유두상 병변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골전이암의 확산강조영상과 역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 겉보기 확산계수, $K^{trans}$$v_e$ 값들의 상관관계 (Diffusion-weighted and Dynamic Contrast-enhanced MRI of Metastatic Bone Tumors: Correlation of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K^{trans}$ and $v_e$ values)

  • 구지현;윤영철;김재훈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1호
    • /
    • pp.25-33
    • /
    • 2014
  • 목적: 확산강조영상 (DW-MRI)과 역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 (DCE-MRI)에서 도출한 정량적 매개변수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치료시작 전 DWI와 DCE-MRI를 시행한 조직학적으로 혹은 임상적으로 진단된 골전이암을 가진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주 병변의 겉보기 확산계수 (ADC) 그리고 관류지수 중 $K^{trans}$$V_e$ 값을 측정하여 Pearson 연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5개의 병변 중 11개는 ADC와 $K^{trans}$ 값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중 7개의 병변은 음의 연관성을, 그리고 4개는 양의 연관성을 보였다. 9개의 병변은 ADC와 $V_e$ 값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중 4개는 음의 연관성을, 그리고 5개는 양의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골전이암의 ADC 값과 $K^{trans}$ 값, 혹은 ADC 값과 $V_e$ 값은 일정한 연관성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