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ty to Disclos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1초

중재인의 고지의무에 관한 고찰 - 한국 대법원판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uty of Arbitrator's Disclosure - Laying stress on the precedent of Korean supreme court -)

  • 신한동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1권3호
    • /
    • pp.3-20
    • /
    • 2011
  • An arbitrator is an impartial person chosen to decide the issue between parties engaged in a dispute. But the arbitrator appointed by a party or arbitration institution shall be impartial or independent and should disclose to the administrator any circumstances likely to give rise to justifiable doubts as to his impartiality or independence. If, at any stage during the arbitration, new circumstances arise that may give rise to such doubts, the arbitrator shall promptly disclose such circumstances to the parties and to the administrator. Upon receipt of such information from an arbitrator or a party, an party must challenge any arbitrator whenever circumstances exist that give rise to justifiable doubts as to arbitrator's impartiality or independence. Under these circumstance, there were two cases declared by the Korean Supreme Court in relation to the cancellation of the arbitration award. One arbitral case was cancelled for the reason of the having been arbitral procedure without disclosure arbitrator's impartiality, and the other case was refused to cancel the ward for the reason of the having been arbitral procedure without challenge an arbitrator. There are not, however, the standard to decide what is definitely the arbitrator's impartiality or independence and the difference on qualification between arbitrator chosen by an party and neutral arbitrator in korean arbitration law and rules. Nevertheless, korean court require arbitrator to be impartial and independent and the arbitration parties to challenge arbitrator' impartiality or independence.

  • PDF

영국 보험계약법 상 최대선의의무에 관한 주요 개혁동향 (Main Trends for Reforming the Duty of Utmost Good Faith in English Insurance Contracts Law - Focused on the Policyholder's Pre-Contractual Duty in Insurance Contracts for Business)

  • 신건훈
    • 무역상무연구
    • /
    • 제49권
    • /
    • pp.257-281
    • /
    • 2011
  • The duty of utmost good faith is found in sections 17-20 of MIA 1906. Critics of the current legal regime on the pre-contractual duty from the viewpoint of the assured, have been concentrated on two points in particular. First, the scope of the duty is so wide that it imposes too high burden on the assured. The second criticism is directed at the remedy, prescribed by the MIA 1906, s.17, against breach of the duty. This article intends to analyse the legal implications of proposals in CP 2007 for reforming pre-contractual duty of utmost good faith of business assured in English insurance contracts law and the problems of proposals. The Law Commissions are proposing four fundamental changes to meet the long-standing criticism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ing. First, the Law Commissions are proposing a change in the test of constructive knowledge in relation to the duty of disclosure so that a business assured will be obliged to disclose facts which he knows or a reasonable ought to know in the circumstances. Secondly, deviating from the current legal position, the Law Commissions are proposing that if a business assured has made a misrepresentation, but the assured honestly and reasonably believe what it said to be true, the insurer should not have any remedy due to the misrepresentation. The proposal is designed to protect the reasonable expectations of business assured at the pre-contractual stage. Thirdly, the Law Commissions are proposing to change the test for materiality by replacing the "prudent insurer" test by a "reasonable assured" test. The proposed test would focus on the question of what a reasonable assured in the circumstances would think what is relevant to the judgment of the insurer. Finally, the Law Commissions are proposing flexible remedies in case of the breach of the duty. The Law Commissions are proposing no remedy when an assured is acting honestly and reasonably, while avoidance in case of dishonesty. On the other hand, The Law Commissions seem to have an intention to introduce a compensatory remedy in case of negligent breach of the duty.

  • PDF

영국 해상보험법에서 고지의무 위반에 대한 구제의 대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eking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Remedy for Breach of the Duty of Disclosure in English Marine Insurance Law)

  • 신건훈
    • 무역상무연구
    • /
    • 제24권
    • /
    • pp.25-49
    • /
    • 2004
  • English contract law has traditionally taken the view that it is not the duty of the parties to a contract to give information voluntarily to each other. In English law, one of the principal distinctions between insurance contract law and general contract law is the existence of the duty of disclosure in insurance law. This article is, therefore, designed to analyse the scope or extent of the duty of disclosure and the remedy for breach of the duty in English marine insurance law.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also to seek the alternative remedy for the breach.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ing : First, the scope of the duty of disclos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test of materiality and the concept of a hypothetical prudent insurer. The assured is required to disclose only material circumstances subject to MIA 1906, s. 18(1). The test of materiality, which had caused a great deal of debate in English courts over 30 years, was finally settled by the House of Lords in Pan Atlantic and the House of Lords rejected the 'decisive influence' test and the 'increased risk' test, and the decision of the House of Lords is thought to accept the 'mere influence' test in subsequent case by the Court of Appeal. Secondly, an actual insurer is, in order to avoid contract, required to provide proof that he is induced to enter into the contract by reason of the non-disclosure of the assured. But this subjective test of actual inducement is somewhat meaningless in sense that English court takes the test of materiality as a starting point and assumes the presumption of inducement even in case of no clear proof on the inducement. Finally, MIA 1906, s. 18 provides expressly for the remedy of avoidance of the contract for breach of the duty of disclosure. This means rescission or retrospective avoidance of the entire contract, and the remedy is based upon a fairly crude 'all-or-nothing' approach. The remedy of rescission is too draconia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assured, because he can be deprived of all cover despite he is innocent perfectly. An inadvertent breach from an innocent mistake is as fatal as wilful concealment. What is, therefore, needed in English marine insurance law with respect to remedy for the breach is to introduce a more sophisticated or proportionate remedy ascertaining degrees of fault.

  • PDF

의사의 위험설명의무 - 법적 기능, 요건 및 위반에 대한 제재 - (Physician's Duty to Inform Treatment Risk: Function, Requirements and Sanctions)

  • 이동진
    • 의료법학
    • /
    • 제21권1호
    • /
    • pp.3-32
    • /
    • 2020
  • 판례는 의사의 위험설명의무 위반에 대하여 그것과 환자의 동의 사이의 인과관계가 불분명한 때에는 위자료를 지급할 의무를 지우고, 인과관계가 증명되는 경우에는 민사상 전손해배상, 형사상 업무상과실치사상의 책임을 묻는다. 그러나 어느 경우든 설명하지 아니한 위험이 실현될 것을 요구한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사안에서 위자료책임이 인정되었는데, 이는 위험설명의 대상이 되는 위험을 매우 넓게 인정하는 또 다른 판례와 결합하여 의료과오가 증명되지 아니할 때 우회적·간접적으로 일정 부분 배상을 확보하는 사실상의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의사의 설명의무가 의료문화로 정착해가면 갈수록 설명의무 위반이 줄어들고 그 결과 어쩌다 우연적으로 약간의 배상을 제공하는 외에는 오히려 설명대화를 위험의 형식적 나열로 변질시키는 부작용이 두드러지게 된다. 본래 설명의무는 환자의 자기결정을 돕기 위한 것이므로 발생한 악결과가 설명의무 위반에 귀속되는지 여부도 환자의 구체적 자기결정과정을 고려하여 가려야 한다. 즉, 환자가 특정 위험에 대하여 특별한 선호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그 위험이 제대로 설명되었는지, 그리고 제대로 설명되지 아니한 바로 그 위험이 실현되었는지를 보아 그것이 인정되는 경우 전손해배상을 인정함이 옳고, 그 이외의 경우, 특히 환자가 전체적으로 자신이 감수하는 수준의 위험과 기대효과에 노출된 것인지에만 관심을 갖는 경우에는 개개의 위험의 설명 여부나 그 실현 여부를 문제 삼지 아니하는 것이 옳다. 뒤의 경우 세부사항을 설명하지 아니하였는데 그 위험이 실현되었다 하여 인과관계와 귀속관련을 고려하지 아니한 채위자료 상당의 책임을 인정하는 것은 정당화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은 형사법에서 피해자 승낙에 의한 위법성조각에도 타당하다. 이 경우 이른바 가정적 승낙은 위법성조각사유로서 동의의 요건 자체에 흡수되고 독자적인 항변이 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중국 중재조정의 적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gality of Arb-Med in China)

  • 이경화;서경
    • 무역상무연구
    • /
    • 제69권
    • /
    • pp.523-541
    • /
    • 2016
  • According to Chinese Arbitration Law, combination of mediation with arbitration means that in the process of arbitration, arbitrator may conduct mediation proceedings for the case they are handling, provided both parties agree to do so. If mediation succeeds and the parties reach a settlement agreement, the arbitrators may render a consent award or a written mediation statem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of the settlement agreement. If mediation fails, the arbitration proceedings will be resumed until the case is concluded by making of an arbitral award. There is no formal name of this system in China, it is called "combination of mediation with arbitration", "mediation in arbitration process" or "arbitration-mediation", the author of this thesis select "arbitration-mediation" and make it simply as "Arb-Med". This thesis concentrates on three issues that arbitrators and the parties have to clarify and pay attention to once they choose to use Arb-Med. The first part is about the 'waivable problems', include waive the right to challenge a arbitrator who act as a mediator at the same time with parties' approval, as well as the question about the waiver of the arbitrator's duty to disclose confidential information obtained during mediation. The second part is 'public policy in Arb-Med', introduces the concept of public policy, the bias may arise the complaint about public policy, and the due procedure problem. And the last part is about the award deals with a difference not contemplated by or not falling within the terms of the submission to arbitration, or it contains decisions on matters beyond the scope of the submission to arbitration, especially about the award including some contents which has relation to third party's interests.

  • PDF

2017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 (Review of 2017 Major Medical Decisions)

  • 이정선;이동필;유현정;정혜승;박태신
    • 의료법학
    • /
    • 제19권1호
    • /
    • pp.207-254
    • /
    • 2018
  • 2017년 주요 판결 중에는, 진료계약과 함께 체결되는 틀니제작계약의 법적성질을 분리하여 후자의 경우 도급적 성질이 있다는 판결과 태아보험은 계약체결 후 1회 보험료를 받은 후부터 그 효력이 발생한다는 보험법리를 활용하여 민법에서 논의되는 전부노출설의 한계를 극복한 판결이 선고되었다. 약화사고와 관련하여 의료인의 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이 증가하면서 직접 약을 제조 교부하는 약사의 복약지도 등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고, 감염관리와 관련하여 법원이 과실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사실관계를 해석하거나 적용한 데 대한 비판과 함께 병원감염사건의 특수성에 비추어 병원감염 관리 및 그 피해 구제를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 소송법상 증명책임 전환 등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설명의무 관련 판결에서는 이미 설명이 되었던 부분이나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해당 진료행위를 수행하였을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판례 등 설명의무의 대상과 관련한 판결들이 다수 선고되었고, 손해배상의 범위와 관련하여 유방을 흉부 장기로 보아 다발성 반흔 구축 및 변형을 장해로 인정한 사건이 선고되어 많은 논의를 불러 일으켰다. 진단서와 관련한 의료법 해석에 대한 대법원 판결은 법률 규정이 가진 해석범위를 넘은 유추해석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사례분석을 통한 경호 전문성 제고 (Professionalism raising of the escort which leads an instance analysis)

  • 유형창
    • 시큐리티연구
    • /
    • 제18호
    • /
    • pp.73-99
    • /
    • 2009
  • 본 논문에 분석자료로 소개되는 요인암살 및 위해사건은 3가지인 바 미국의 레이건대통령 저격사건, 한국의 박정희대통령 저격사건, 이스라엘의 라빈수상 암살사건이다. 1981년 레이건대통령이 워싱턴의 힐튼호텔 앞에서 연설을 마치고 백악관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승하기 직전, 범인 힝클리가 33구경 리볼버 권총으로 대통령의 가슴과 공보비서 및 경호원 등을 실탄6발로 저격한 사건이 발생하였으며, 한국에서는 제일동포 2세 문세광이 1974년 서울 장충동 소재 국립극장에서 거행된 29주년 8. 15광복절 기념식 행사장에서 박정희대통령을 시해하려다 실패하고 육영수여사를 저격하여, 우측두부에 총상을 입혀 사망케 한 사건이 발생하였고, 이스라엘 라빈수상은 1995년 이스라엘 텔아비브 시청 앞에서 중동평화정착 계획지지 군중대회를 마치고 차량에 탑승하려는 순간 범인 이갈 아미르가 쏜 총탄에 피격되어 사망하였다. 이러한 사건들은 경호분석 측면에서 큰 교훈을 남겼으며, 경호기관에서 교육훈련시 활용되고 있는 소재들이다. 한국에서도 대통령실 경호처는 물론이고, 전국 경호관련학과에서 '경호분석학', '경호실무', '경호방법론' 등의 교과목에 주요한 위해사건 모델로 다루어지고 있다. 경호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경호기법은 가장 중요한 사안이다. 더불어 정치 사회 문화와의 제반관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호분석적 측면에서 주요 모델로 다루어지고 있는 이 사건들을 소개 수준을 넘어, 경호기법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재평가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특히 미국 레이건대통령 암살미수사건은 현장의 근접경호원들이 총성 이후 10초 만에 경호 대상자인 레이건 대통령을 사건 현장에서 즉시 대피시키는 신속성을 발휘한 부분에 있어서 1963년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과 비교해 볼 때 경호원들의 행동이 상당히 전문화 되었다는 긍정적 성공사례로 평가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제기된 행사장 외곽 취재구역 근무요원의 방심, 수시사용 행사장에 대한 안일한 자세, 무선교신 혼란과 무선보안 누설위험, 의무기록철 비치 미비, 위해 인물 프로파일링 미비, 병원 및 응급실 사전 미확보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켰음을 부인할 수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