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st cleaning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4초

전자·반도체용 스프레이 세정제에 대한 분사력 및 세정성 평가 (Evaluation of Cleanliness and Jet Forces by Spray-Type Cleaning Agent for Electronic and Semiconductor Equipment)

  • 허효정;정용안;노경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401-40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PCB의 먼지 제거용 세정제로 사용되는 스프레이형 세정제를 선정하였다. 전자 반도체 부품의 세정에서 분무 세정의 원리를 적용시킨 제품의 분사력을 평가하기 위해 기판(IPC-A-36)을 사용하여 세정제를 분사하여 분사시간에 따라 그 이동거리를 비교하였다. 철가루와 먼지를 오염물, 기판(IPC-A-36)을 시편으로 하여 일반시험 평가법의 방법 중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중량법으로 오염물에 따른 세정성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기판의 이동거리는 분사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1회 세정 시(3초간 분사) 먼지와 철가루는 오염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세정효율이 감소하였고 특히 먼지 오염물은 매우 급격한 세정효율의 감소를 보였다.

ESD와 점착 롤 제진을 이용한 LGP 건식 세정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LGP Dry Cleaning Equipment using ESD and Adhesive Roll)

  • 구자일;전성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8호
    • /
    • pp.195-20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도광판(LGP, Light Guide Panel)의 미세먼지 세정을 위해 건식 점착롤 제진과 코로나 대전을 이용한 제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 방식을 적용한 건식 세정 장치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점착롤 제진과 제전 방식을 혼합 적용할 수 있는 세정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LGP를 자동으로 로딩/언로딩 및 이송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그리고 이물질 및 미세먼지 세정 실험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에어 블로어와 흡입기능을 가진 미세먼지 흡입시스템의 최적화 (Dust collection system optimization with air blowing and dust suction module)

  • 정우태;권순박;고상원;박덕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90-297
    • /
    • 2016
  • 도시철도 터널내에 축적된 미세먼지(PM10 and PM2.5)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분진흡입차량의 성능은 하부흡입시스템의 설계방법에 따라 성능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터널집진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먼지흡입시스템의 고효율화를 위하여 궤도의 바닥면에 쌓인 먼지를 비산시키는 압축공기 블로어와 먼지 흡입구를 동시에 가지는 모듈화된 먼지흡입구조를 제안하였다. 흡입과 블로어의 상반된 구조를 동시에 가진 흡입시스템의 먼지유동 최적화를 위해 난류유동에 기초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로 먼지흡입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공기 블로어의 설치각이 $6^{\circ}$ 내외에서 결정되고, 이를 적용하면 5 km/h의 청소속도를 가지는 분진흡입차량의 흡입효율을 10%이상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이클론 전처리부를 지닌 터널집진차량의 집진효율 최적화 (Dust collection optimization of tunnel cleaning vehicle with cyclone-based prefilter)

  • 정우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79-686
    • /
    • 2018
  • 지하철 터널 내에 축적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식의 분진흡입차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근 개발된 분진흡입차는 초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흡입시스템과 사이클론형식의 전처리부 및 전기집진기를 장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집진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먼지 흡입시스템이 다양한 크기의 먼지입자를 효과적으로 흡입하고 처리하기 위해 사이클론형식의 전처리부가 포함된 집진시스템을 설계하고 집진효율을 ANSYS FLUENT의 전산유체해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흡입구와 사이클론형 프리필터가 연결된 격자모델을 기반으로 공기유동과 상차분모델(Discrete Phase Model)을 이용하여 다양한 입자의 크기와 종류 및 흡입팬의 용량에 따른 입자의 거동을 해석하였다. 다양한 입자의 크기와 종류, 흡입팬의 용량에 대해서 해석결과 집진차량의 운영속도 5km/h에서 미세먼지처리를 위해서는 흡입팬의 용량 $1500m^3/min$에서 흡입구가 궤도면으로부터 약 100mm이내일 때 $100{\mu}m$ 이하 크기의 먼지를 모두 처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흡입구와 사이클론형식의 프리필터를 탑재한 터널집진차량은 후단에 설치된 전기집진기의 부하를 줄이고, 지하 터널내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제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무실의 실내 청소 과정에서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크기분포 (Size distributions of suspended fine particles during cleaning in an office)

  • 지준호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5-3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청소 과정에서 바닥에 먼지가 실내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특성을 공기 중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신발을 벗지 않고 생활하는 국내 사무실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내 청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측정하였다. 미세먼지($PM_{10}$)와 초미세먼지($PM_{2.5}$)와 $1{\mu}m$ 보다 작은 먼지의 무게농도($PM_{1.0}$)을 분석하였고, 청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0.3{\mu}m$ 이상의 먼지의 크기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빗자루질과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재비산 되는 미세먼지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입자의 크기에 따른 재비산 특성과 실내 농도 변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PM_{2.5}$$PM_{10}$은 청소 시작과 함께 농도가 증가하였고, 청소 이후에도 실내에 부유하여 장시간 인체에 노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PM_{1.0}$은 상대적으로 청소과정에서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특히, $2.5{\sim}10{\mu}m$ 크기의 먼지는 바닥에 먼지가 많은 조건에서 빗자루질로 청소하는 경우, 초기 농도의 약 60배까지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바닥에 먼지가 적은 조건에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2.5{\sim}10{\mu}m$ 크기의 먼지가 증가하였지만 초기 농도의 5배 이하였다. 중성능급 배기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가 가동하는 동안 CPC로 측정된 총 개수농도가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개수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먼지는 250 nm 보다 작은 크기였다. 실내 거주자의 미세먼지 노출은 외부에서 유입된 대기 미세먼지와 실내에서 발생된 실내 생성 미세먼지가 함께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국내 실내 활동 중 발생되는 미세먼지에 대한 체계적인 측정과 분석 연구가 많지 않았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대기 미세먼지 연구 뿐 아니라 앞으로는 실내의 다양한 활동에 기인한 미세먼지 생성 특성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카트리지 필터 여과집진기 충격기류시스템의 최적탈진조건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Optimum Pulse Jet Cleaning Conditions of a Cartridge Filter System)

  • 박승욱;하현철;김성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42-553
    • /
    • 2015
  • Objectives: Many types of dust collector are used for industrial ventilation, with the most common types being the cylinder bag filter system, rectangular bag filter system and cylinder type cartridge filter system. The cylinder type cartridge bag filter, which has more filtering area than other types of bag filter, can increase the pulse time and extend the useful life of the filter. This can save operational costs and installation area. Materials: This study used cylinder type cartridge bag filter equipment and tested the impact of vibration level and filter pressure with different pulse jet cleaning conditions. The final, cleaning efficiency was calculated through input dust mass and cleaning dust mass Conclusions: Two optimum cleaning condition groups were found. The first condition group was $3kgf/cm^2$ pulse pressure, 15 cm pulse distance, 0.2 s pulse time with an H-10 type nozzle. The second condition group was $3kgf/cm^2$ pulse pressure, 15 cm pulse distance, 0.3 s pulse time with an H-10 type nozzle.

전기역학적 스크린을 이용한 집진판 표면 위 입자 세정성능 연구 (A study on cleaning performance of particles on collection plates using an electrodynamic screen)

  • 조윤희;신동호;김영훈;박인용;김상복;이건희;한방우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3-76
    • /
    • 2023
  •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has a low pressure drop and a high collection efficiency but its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reduced due to dust accumulation on the collection plates during long-term operations. In order to maintain the initial dust collection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clean the collection plates. The common cleaning methods are using physical impacts or water sprays. These cleaning methods can lead to damage to the collection plate or generate wastewater. Herein, we implemented an electrodynamic screen (EDS) for ESP cleaning and evaluated its surface cleaning performance of particles. The EDS is an electrostatic system that can electrostatically repel particles on surfaces, allowing it to clean the ESP without causing damage and wastewater generation. Our evaluation include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AC voltage characteristics, electrode configura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cleaning performance of the EDS with the aim of achieving effective surface cleaning.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activating the EDS cleans up to 65% of the particles on the surface, which indicates about 94% of our target cleaning zone.

항공기 기내 청소노동자의 분진, 초미세먼지(PM2.5) 및 블랙카본 노출수준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Dust, Ultra Fine Dust(Particulate Matter 2.5, PM2.5) and Black Carbon among Aircraft Cabin Cleaners)

  • 박현희;김세동;김성호;박승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1-187
    • /
    • 2023
  • Objectives: Aircraft cabin cleaning work is characterized by being performed within a limited time in a narrow and enclosed spa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xposure levels to dust, ultra fine dust(PM2.5) and black carbon(BC) among aircraft cabin cleaners. Methods: Active personal air sampling for respirable dust(n=73) and BC(n=47) was conducted during quick transit cleaning(cabin general and vacuum-specific) and seat cover replacement and total dust and PM2.5 were area-air-sampled as well. Also, size distribution of particle was identified with the cleaning workers targeted. Dusts were collected with PVC filters using gravimetric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PM2.5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measured with real-time direct reading portable equipment using light scattering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BC was measured by aethalometer(filter-based real-time light absorption analysis instrument). Results: The geometric mean of respirable dust was the highest at vacuum cleaning as 74.4 ㎍/m3, following by replacing seat covers as 49.3 ㎍/m3 and cabin general cleaning as 47.8 ㎍/m3 . The arithmetic mean of PM2.5 was 4.83 ~ 9.89 ㎍/m3 inside the cabin, and 28.5~44.5 ㎍/m3 outside the cabin(from bus and outdoor waiting space). From size distribution, PM2.5/PM10 ratio was 0.54 at quick transit cleaning and 0.41 at replacing seat cover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BC was 2~7 ㎍/m3, showing a high correlation with the PM2.5 concentration. Conclusions: The hazards concentration levels of aircraft cabin cleaner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roadside outdoor workers. As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is estimated to be diesel vehicles operating at airports, and it is necessary to replace older vehicles, strengthen pollutant emission control regulations, and introduce electric vehicl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s part of airport-inftastructure a stable standby waiting space for aircraft cabin cleaners and introduce a systematic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all workers in the aviation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