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ring the last 1 week to death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고용량과 저용량의 몰핀을 쓰는 말기 암 환자에서 임종 1주일동안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High Dose and Low Dose Morphin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During the Last 1 Week to Death)

  • 조두연;차규진;윤방부;염창환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5권1호
    • /
    • pp.24-30
    • /
    • 2002
  • 배경 : 통증은 암 환자에서 가장 두려운 증상중의 하나이다. 암 환자의 $65{\sim}85%$가 통증을 경험하였고, 이들 환자에게 때에 따라서는 고용량의 몰핀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많은 의사들은 아직까지 몰핀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어, 고용량의 몰핀을 쓰는 데 주저하고 있다. 이에 저자 등은 말기 암 환자에서 몰핀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몰핀 용량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7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소재 일개 종합병원 가정의학과에 입원하여 1주일 이상 생존하였다가 임종한 암 환자 99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인구통계학적인 자료 임상 병리 검사, 몰핀 사용 용량 등을 조차하였다. 몰핀은 사용 용량에 따라 OME(oral morphine equivalent)로 계산하여 150 mg이하면 저용량으로 150 mg 초과면 고용량 군으로 나누어, 나이, 성별, 암의 종류, 전이 여부, 몰핀의 부작용 등의 측면에서 두 군간의 차이가 있는 지를 ch-square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평균 연령에서는 저용량군이 $65.0{\pm}13.1$세, 고용량군이 $59.9{\pm}11.6$세였고, 성별은 저용량군이 남자 32명(50.0%), 여자 32명(50.0%), 고용량군은 남자 15명(51.7%), 여자 14명(48.3%)이었다. 암의 종류를 보면 두 군 다 위암이 제일 많았고, 그 다음으로 폐암 순이었다. 전이 여부에서는 저용량군 중 58명(90.6%), 고용량군 중 28명(96.6%)에서 전이가 있었다. 기타 완화적 목적의 방사선 치료나 부작용 측면에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암 환자에서 임종 1주일 동안 몰핀 용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그러므로 말기 암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고용량 몰핀 사용을 주저할 필요는 없다.

  • PDF

항암화학요법 주기에 따른 폐암환자의 피로 양상과 관련요인 (Trajectories and related Factors of Fatigue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for Lung Cancer)

  • 이은옥;이명선;허대석;이경숙;엄애용
    • 종양간호연구
    • /
    • 제1권1호
    • /
    • pp.54-64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trajectory of fatigue and related factors on people with lung cancer during chemotherapy. A total of 23 patients with lung cancer participated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study. However, 11 dropped out because of death or discontinuity of the studys regimens. The data using the Pipers Fatigue Scale, were collected twice the first day of each treatment cycle and the last day of the completion of 6 cycles. Also, the scores of fatigue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were measured on the same day of each week during chemotherapy to explain the trajectory of fatigue.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s and Kendalls tau b correlation coefficient. The score of fatigue increased in the first two week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chemotherapy, while decreasing after the second week. During the 1st, 5th, and 6th cycles, the scores of fatigue were greater than 5.5 out of 10. Overall, except for the 6th cycle, the score of fatigue was the highest in the first week. This could be accounted for there only being a small number of patients included in the 6th cycle. In conclusion, fatigue was severe at the end of the first week of chemotherapy, and then increased to reach a plateau in the fifth and sixth s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oncology nurse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atigue during chemotherapy. It will be useful to create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to decrease fatigue in people with cancer especially in the first week of the chemotherapy.

  • PDF

정맥내 통증 자가조절법을 이용한 말기 암환자의 통증조절 (Intravenous PCA for Pain Management in Terminal Cancer Patients during the Last Days of Life)

  • 송선옥;여정은;김흥대;박대팔;구본업;이병용;허남석;이경숙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9권1호
    • /
    • pp.75-82
    • /
    • 1996
  • Background: Nerve blocks, including epidural analgesia, can be risky for terminal cancer pain patients in generally poor conditions.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of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PCA) to treat severe pain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during the last days of life. Methods: We explained the patient's poor general condition to relatives and received a written consent to administer PCA. The starting dose of opioid for PCA in cancer pain management was based on previous 24-hour dose. Previous 24-hour opioid dose was converted to intramuscular morphine equivalent. The concentration of opioid mixed into Basal Bolus $Infusor^{(R)}$ was controlled to allow for one half of the previous 24-hour equianalgesic dose to infuse continuously. Patients controlled their pain by pushing the PCA module themselves. Patients were observed by pain service team. Some discharged patients were treated at home until death. Results: Forty eight patients received PCA for last two years. The most common reason receiving a PCA was the patient's poor general condition(52.0%). The mean starting dose of PCA was $20.6{\pm}16.2$ mg of morphine. Over eighty percents of the patients were in good or tolerable state of analgesia. Half of the patients expired within one week. The mean duration of PCA was $8.7{\pm}7.0$ days. The problems during PCA were: difficulty in maintaining intravenous routes, early loss of mentality after starting PCA, hypotension and nausea.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PCA, if correctly, is an effective, relatively safe and readily controllable method of pain management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during the last days of life. For future considerations, terminal patients may expire at the comfort of their own homes after the resolution of legal problems regarding using opioid in home care.

  • PDF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 경부암에서 방사선과 항암화학요법 병행치료의 예비적 결과 (Preliminary Results of Concurrent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in Locally Advanced Cervical Carcinoma)

  • 양광모;안승도;최은경;장혜숙;김영탁;남주현;목정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55-361
    • /
    • 1993
  • 본 연구는 1991년 5월부터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 (FIGO stage IIB~IVA) 환자를 대상으로 5-FU와 Cis-platinum을 방사선 치료와 동시에 투여하여 치료 독성, 치료의 적합성과 국소관해율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사선 치료는 외부방사선 조사로 전골반부에 23회에 걸쳐 4140 cGy 시행후, 고선량 근접치료기로 강내조사를 6회 내지 7회 (A점에 $3000\~3500$ cGy) 시행하였으며, B점에 추가조사를 시행하여 IIB병기 환자는 6000 cGy까지 IIIB병기 환자는 6500 cGy가지 B점에 조사되도록 하였다. 첫 번째 항암화학요법은 외부방사선 치료 시행의 두번째 주에 5-FU는 $1000 mg/m^2/24hr$를 96시간 동안에 걸쳐 토여하고 Cis-platinum은 $20mg/m^2/day$를 3일 투여하였다. 두번째 항암화학요법은 처음과 동일한 방법으로 첫번째 고선량 근접 강내 치료가 시행될 때 투여 되었다. 1993년 8월까지 총 16명의 환자(10 IIB 병기, 4 IIIB병기, 2 IVA 병기)가 등록되었으며, 이중 2명은 외부방사선 2회 조사후 치료를 중단하였으며, 1명은 강내치료중 3등급의 비뇨기계독성으로 치료를 중단하였다. 2회의 항암화학 요법이 종료된 후 독성의 평가가 가능했던 14명의 환자중 5명이 3등급의 위장관독성이 발생하였으나, 4명은 치료종료후 평가에서 회복되었다. 1명은 병기 IIIB환자로 초기에 서혜부 임파절 전이가 있어 다량의 방사선이 조사되었는데, 치료종료 후에 위장관독성이 악화되었고, 1개월후 원격전이로 사망하였다. 치료후 치료전 체중의 $10\%$ 이상 감소된 환자는 2명이었고, 1명이 3등급의 백혈구 감소를 보였다. 환자의 평균 치료 기간은 75일(포준 치료 기간은 $70\pm7$일)이었고, 80일 이상인 환자는 3명 (84, 84, 89일)이었다. 추적관찰 가능했던 13명 환자중 8명이 완전관해를 보였고, 특히 IIB병기 환자의 경우 9명중 8명이 완전관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진전된 자궁 경부암에서 방사선과 항암화학요법 병행치료는 효과나 독성면에서 수용가능 하였으나 향후 근치적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시행된 경우와의 전향적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