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ration of Sunshine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6초

각종 수문기상인자의 경년별 특성변화 분석(I) - 기본통계량, 경향성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emporal Characteristic Change for Various Hydrologic Weather Parameters (I) - On the Basic Statistic, Trend -)

  • 이재준;장주영;곽창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4호
    • /
    • pp.409-41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관측소 중 관측년수가 30년 이상인 관측소 63개 지점을 대상으로 9개의 수문기상수문인자 즉, 연강수량, 연강수일수, 연평균기온, 연평균상대습도, 연일조시간, 연증발량, 연강수계속시간, 연적설일수, 연신적설일수 자료를 각 지점별로 수집하고, 수문기상인자에 대한 기본통계량, 선형회귀분석, 이동평균법을 통해 수문기상인자의 기본적인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통계학적기법인 Hotelling-Pabst 검정과 Mann-Kendall 검정을 통해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기본통계량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기후특성상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며, 계절별 강수량의 편차가 큰 전형적인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형회귀 분석과 5년 이동평균법을 통해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강수량과 연평균기온은 증가, 연평균상대습도와 연일조시간은 감소, 연강수일수는 지점별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Hotelling-Pabst 검정과 Mann-Kendall 검정을 통한 경향성분석에서는 연평균상대습도, 연평균기온에서 공통적으로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연강수량, 연강수일수, 연일조시간은 지역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Relationship between Yield and Weather Elements of Barley in Sunchon Area, Korea

  • Kwon, Byung-Sun
    • Plant Resources
    • /
    • 제7권1호
    • /
    • pp.54-59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yearly variations of weather elements and productivity in rice. In addition, coefficients of correlation among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weather elements and productivity. Coefficients of variance (C.V.) of air temperature mean was considerable with 25%, but the variation by duration of sunshine was small in May. Culm length and number of spikes were great with c.v. of 21.5, 16.4%, respectively. Coefficients of correlation between temperatures of cultivation in May and yield were positive correlations. Coefficients of correlation between precipitation and sunshine of cultivation period from Oct. to May and yield were negative correlations. Coefficients of correlation amount the culm length, number of spikes, 1,000 grains wt. of seed, and yield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1 %, respectively.

  • PDF

일조시간을 이용한 기준 증발산량 추정 (Estimation of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using Daily Sunshine Hour)

  • 이길하;조홍연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627-640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일사량과 일조시간에 관한 통상적인 선형관계식보다 정확한 비선형 관계식에 대한 적용검토를 수행한다. 일조시간을 이용한 일사량 추정에 이어서 Penman-Monteith 방정식을 이용하여 기준 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우리나라 20개 지점의 1997년부터 2006년까지의 일사량 및 일조시간 자료를 포함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선형 그리고 수정 비선형 Angstrom 방정식을 보정하고 기준 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일조시간과 일사량 사이의 선형과 비선형 관계식을 이용한 기준 증발산량의 상대비교를 수행하였다. 선형 및 비선형 관계식을 이용한 방법 모두 RMS 오차는 5.96, NSC(Nash-Sutcliffe Coefficient)는 0.95로 추정되었고, 그 차이는 매우 미미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일사량이 기준 증발산량에 크게 기여하는 하계에는 그 차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개선된 비선형 관계식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엄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시설 입지 정확성 향상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Photovoltaic Facility Location Using the Geostatistical Analysis)

  • 김호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6-15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 태양광발전시설의 입지를 위하여 가장 큰 변수인 일사량 및 일조시간의 계산 및 추정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하여 태양에너지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태양광발전시설의 입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S환경에서 태양에너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지리적 요인을 대상으로 일조시간 및 일조량을 계산하였으며, 이 때 산란 일사량을 이용하여 분석 결과를 보정하였다. 또한 입력 데이터가 제공하는 공간해상력을 벗어나는 부분에 대한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공간통계분석방법인 정규 크리깅을 수행하였으며, 정확한 값을 추정하기 위해 데이터들의 공간적 상호관계와 연속성을 파악할 수 있는 베리오그램을 이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베리오그램 인자 값 및 적용 가능한 베리오그램 모델의 추정치 비교를 통하여, 오차율이 가장 작은 모델을 선정하였다. 이는 정확한 태양광발전시설의 입지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동촌유원지의 이용실태 및 변동분석 (Analysis on the Use Behavioral Patterns and Use Fluctuation over the Tong-Ch′on Amusement Park)

  • 김용수;임원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37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more rational and practical planning theory for amusement park. It analyze and consider the fluctuation of people who come and use the Tong-Ch'on amusement park. The results drawn from this reserch work are as follows; 1. The main visitors of the Tong-Ch'on amusement park are student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and people whose incomes are below 300,000 Won a month. The purpose of visit is for a rest rather than for amusement and user prefer summer, while the user is so rare in wintertime. Those phenomena observed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real purpose of a amusement park which is on purpose to make profits by offering entertainments to the users. So planner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hree points. They are varieties, seasonable diversification and fantastic character of facilties, in the amusement park. 2. The access time of the Tong-Ch'on amusement park was 41 minutes, the use frequency was 4 times a year and resident time was 164 minutes. The relationship of the three factors are as follows; log Y(F) =1.7832-0.0277(A.T) R$^2$=0.75 Y(R. F)=31.8885+3.3217(A.T) R$^2$=0.53 Y(R. T)=224.8959-87.8309 1og(F) R$^2$=0.38 F;Use frequency(time/year) A.T;Access Time(minute) R.T;Resident Time(minute) 3. In the choice of space, there were much differences according to tole user's age, job, degree of education, companion type and purpose of use. 4. There are considerable correlation between use fluctuation and some factors. The factors are season(summer, winter) as a time, temperature, cloud amount, duration of sunshine, weather(rainy-day) as a climate and a day of the week(weekday, holiday) as a social system. The important variables are temperature, cloud amount, duration of sunshine and a day of the week(weekday, holiday) to estimate the user of amusementpark. 5. 1 can reduce the following two types of regression models. 1) log$\sub$e/ Y1 = 6.9114 + 0.l135 TEM + 0.00002 SUN -0.4068W1 + 0.4316 W3 (R$^2$= 0.94) 2) log$\sub$e/ Y2 = 7.2069 + 0.l177 TEM - 0.0990 CLO + 0.4880 W3 (R$^2$=0.95) Y; Number of User TEM; Temperature CLO; Amount of cloud SUN; Duration of Sunshine W1; Weekday W3; Holiday Those model is in order to estimate the user for management of Tong-Ch'on amusement park and use on the computation of facility sloe for reconstruction. Besides the amusement park, city park and outdoor recreation area could estimate of user through this method. But, I am not sure about the regression models because I did not apply the regression models to the other amusement park, city Park or outdoor recreation area. Therefore, I think that this problem needs to be studied on in the future.

  • PDF

한국 연안의 적조형성과 기상인자간의 관계에 대한 통계적 해석 (Statistical Analy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d Tide Formation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 윤홍주;서영상;정종철;남광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926-932
    • /
    • 2004
  • 1981년부터 2002년까지의 적조 발생에 대한 변화를 보면, 1995년 이후로 매년 적조가 발생했으며 특히 강우량이 많은 7∼8월에 집중하였다. 다중회기분석에서 적조발생건수와 기상인자 (수온, 강우량, 일조시수 그리고 풍속) 간의 상관성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R = 0.856). 단, 수온은 15∼$30^{\circ}c$의 범위 내에서 적조 성장에 제한 인자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온이 $15^{\circ}c$되는 날로부터 적조가 발생하는 날까지 걸리는 일수는 78∼104일 정도이며, 해역에 따라 다소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남해중부 및 남해동부해역이 남해서부 및 동해남부해역에 비해서 적조 발생 빈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주로 적조경보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때 대체로 두 해역은 24.$5^{\circ}c$$25^{\circ}c$의 높은 수온과 1000 Cells/ml 이상의 높은 밀도를 보였다.

시간규모가 다른 Angstrom-Prescott 계수가 남한의 일별 일사량 추정에 미치는 영향 (Performance of Angstrom-Prescott Coefficients under Different Time Scales in Estimating Daily Solar Radiation in South Korea)

  • 최미희;윤진일;정유란;문경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2-237
    • /
    • 2010
  • 작물모형의 필수 입력자료인 일간 누적일사량은 다른 기상요소들에 비해 관측밀도가 낮아 대안으로서 일조 시간을 기반으로 한 Angstrom-Prescott 모형 추정값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추정의 간편성 때문에 월 단위 일사량 및 일조시간 자료가 모형의 계수(Angstrom-Prescott coefficients, 이하 A-P 계수) 도출에 사용되고 있지만 작물생육모형에서 요구하는 일간 일사량을 추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A-P 계수 도출에 월 단위 자료 대신 일 단위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기대되는 개선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일사량과 일조시간을 동시에 관측하는 국내 18개 기상대의 25년 간(1983~2007) 일 단위 및 월 단위 자료로부터 A-P 계수를 각각 도출하였다. 이 계수들의 공간분포로부터 일사 미관측 기상대 8곳의 A-P 계수를 추출하고 지점별 일 단위 및 월 단위 계수를 실측 일조시간자료에 적용하여 2008년 9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일사량을 일별로 추정하였다. 같은 기간 중 이들 일사 미관측기상대에 검증용 일사계를 설치하여 얻은 실측 일사량자료와 비교한 결과 일 단위자료 기반의 추정오차가 월 단위자료 기반 오차에 비해 평균 9.3% 적었다.

기상자료를 이용한 논의 일 잠재증발산량 추정 (Estimation of Daily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 Paddy Field Using Meteorological Data)

  • 노재경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5-8
    • /
    • 2002
  • Daily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as estimated using meteorological data which are observing regularly such as rainfall,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duration of sunshine. Penman method is used practically in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at present, and its regional coefficients were derived at 19 st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r. Because meteorological data are observing at 77 stations under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methodology of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 will be able to be applied in more regions than Penman method.

  • PDF

Cascade-Correlation Algorithm을 이용한 증발접시 증발량의 모형화 (Pan Evaporation Modeling using Cascade-Correlation Algorithm)

  • 김성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66-770
    • /
    • 2005
  • Cascade-Correlation Neural Networks Model(CCNNM) is used to estimate daily evaporation using limited climatical variables such as atmospheric temperature, dewpoint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sunshine duration and radiation. DeBruln equation is applied to estimate daily free-surface evaporation. It is converted into pan evaporation using pan coefficient. The results of CCNNM shows better than those of Debruin equation. This research represents that the strong nonlinear relationship such as evaporation modeling can be generalized by the CCNNM ; a special type of Backpropagation algorithm Neural Networks Model.

  • PDF

자동차 양지주차가 기온상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측적 연구 (An Observational Study of Parked Cars' Effect in the Sunshine on the Increase of Air Temperature)

  • 안지숙;구현숙;박명희;김해동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5-53
    • /
    • 2007
  • 고온의 맑은 날 양지에 자가용을 주차시키는 것이 기온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양지와 음지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대상으로 차의 상판과 차 내부의 온도를 27시간에 걸쳐서 측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양지와 음지를 대상으로 아스팔트와 토양의 표면온도 및 몇 가지 기상요소를 동시에 관측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낮 동안에 아스팔트, 나대지 그리고 차의 상판에서 대기로 공급되는 현열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나대지, 아스팔트 그리고 차의 상판온도는 낮 동안에 각각 $30{\sim}37^{\circ}C,\;37{\sim}46^{\circ}C$$42{\sim}49^{\circ}C$까지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양지에 주차된 차량의 상판에서 대기 중으로 수송되는 현열의 양은 아스팔트와 나대지 표면에 비하여 훨씬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차량 상판과 지표면간의 현열플럭스 차이는 낮 동안에 최대 약 60(아스팔트표면), 85(나대지 표면) $W/m^2$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