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plicate Tex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구문 의미 이해 기반의 VOC 요약 및 분류 (VOC Summarization and Classification based on Sentence Understanding)

  • 김문종;이재안;한규열;안영민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0-55
    • /
    • 2016
  • VOC(Voice of Customer)는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의견이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데이터이다. 그러나 VOC 데이터는 대화체의 특징으로 인해 내용의 분절이나 중복이 다수 존재할 뿐 아니라 다양한 내용의 대화가 포함되어 유형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키워드와 품사, 형태소 등을 언어 자원으로 선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문장의 구조 및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LSP(Lexico-Semantic-Pattern, 어휘 의미 패턴)를 정의하여 구문 의미 이해 기반의 주요 문장을 요약문으로 추출하였다. 요약문을 생성함에 있어 분절된 문장을 연결하고 중복된 의미를 갖는 문장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카테고리 별로 어휘 의미 패턴을 정의하고 어휘 의미 패턴에 매칭된 주요 문장이 속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문서를 분류하였다. 실험에서는 VOC 데이터를 대상으로 문서를 분류하고 요약문을 생성하여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였다.

편측 안면경련의 한의치료에 대한 연구분석 (Review of Studie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Hemifacial Spasm )

  • 박정현;정수현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8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hemifacial spasm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 Methods We used seven electronic databases to find article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of hemifacial spasm and by analyzing the title, abstract, and main text, articles elucidating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hemifacial spasms were included. Results A total of 68 articles were searched from seven electronic databases. Excluding duplicate articles and articles that satisfied the exclusion criteria, nine articl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cupuncture was used in nine cases, herbal medicine in five cases, physical therapy in three cases, and cupping therapy in one case. In acupuncture, general acupuncture was used in five cases, pharmacopuncture in three cases, and Meridian tendino-musculature acupuncture and thread-embedding therapy in two cases each. Gamigwibi-tang used in two case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herbal medicine. In physical therapy, carbone, hot pack,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and silver spike point were used in two cases each.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hemifacial spasm was attempted in varying methods and nearly all cases included in this study showed improvement. However, because of the low level of evidence due to the nature of these case reports,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for an objective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compared to existing treatments.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를 위한 국내 프로그램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Program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atients in South Korea)

  • Ik-Sung KIM;Eun-Sol JU
    • 융합경영연구
    • /
    • 제12권1호
    • /
    • pp.97-104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programs of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decade, identify specific methods and effects, and present program guidance guidelines through the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studies registered in the RISS, NDSL, DBpia, and KmBASE search databases from January 1, 2013 to August 31, 2023 were targeted. Keywords wer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rogram' or 'treatment'. A total of 2,324 documents were searched, and 237 duplicate papers were excluded. After that, the title and abstract were viewed, and 2,058 papers that did not me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were excluded. In addition, the full text was checked and the final 11 documents were analyzed excluding 18 documents. Results: Among the 11 literatures, 45.45% of randomized control studies and 54.54% of non-randomized control studies were found. As for gender, 41.18% of women, 28.64% of 30-39 years old, and 34.27% of trauma causes were industrial accidents. Programs for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ere classified into art therapy,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mindfulness programs, and art therapy was the most used at 45.45%. The sessions of the program were widely applied at 45.45% for 10 sessions and 36.36% for 60 minutes per session. Conclusion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only analyzed domestic intervention programs within 10 years.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intended to present program guidance guidelines through reviewing domestic programs for post-traumatic stress patien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such as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ture review at home and abroad.

Trends in Research on Patients With COVID-19 in Korean Medical Journals

  • Heejeong Choi;Seunggwan Song;Heesang Ahn;Hyobean Yang;Hyeonseong Lim;Yohan Park;Juhyun Kim;Hongju Yong;Minseok Yoon;Mi Ah H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7권1호
    • /
    • pp.47-54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ystematically summarize trends in research concerning patients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as reported in Korean medical journals. Methods: We performed a literature search of KoreaMed from January 2020 to September 2022. We included only primary studies of patients with COVID-19. Two reviewers screened titles and abstracts, then performed full-text screening, both independently and in duplicate. We first identified the 5 journals with the greatest numbers of eligible publications, then extracted data pertain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tudy population attributes, and research features of papers published in these journals. Results: Our analysis encompassed 142 primary studies. Of these, approximately 41.0% reported a funding source, while 3.5% disclosed a conflict of interest. In 2020, 42.9% of studies included fewer than 10 participants; however, by 2022, the proportion of studies with over 200 participants had increased to 40.6%. The most common design was the cohort study (48.6%), followed by case reports/series (35.2%). Only 3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dentified. Studies most frequently focused on prognosis (58.5%), followed by therapy/intervention (20.4%). Regarding the type of intervention/exposure, therapeutic clinical interventions comprised 26.1%, while studies of morbidity accounted for 13.4%. As for the outcomes measured, 50.7% of studies assessed symptoms/clinical status/improvement, and 14.1% evaluated mortality. Conclusions: Employing a systematic approach,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volving patients with COVID-19 that was published in Korean medical journals from 2020 onward. Subsequent research should assess not only publication trends over a longer timeframe but also the quality of evidence provided.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단위과제 운영 지원도구 개발 연구 (Research on Development of Support Tools for Local Government Business Transaction Operation Using Big Data Analysis Methodology)

  • 김다빈;이은정;류한조
    • 기록학연구
    • /
    • 제70호
    • /
    • pp.85-11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위과제 현황, 단위과제 운영 및 기록관리 관점의 문제점을 조사 및 분석하여 그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들을 기반으로 텍스트 기반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는 단위과제의 오분류로 인한 보존기간 책정 오류, 과공통사무와 기관공통사무의 유형식별 불가, 단위과제의 과대·과소·중복생성의 오류, 단위과제 명칭의 오류, 참고 가능한 표준의 부재, 통제 가능한 시스템 또는 도구의 부재 등으로 인해 기록관리 운영상 심각한 상태에 놓여 있다. 그러나 단위과제의 수가 약 72만개로 지나치게 많은 수량 때문에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실정이며, 따라서 엄밀하고 통제할 수 있는 도구 및 표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술 중 텍스트기반 분석 도구인 코퍼스와 토큰화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기록관리기준표를 구성하고 있는 명칭 및 구성용어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단위과제 운영 지원도구는 통일성 있는 보존 기간 책정, 위임사무 기록물 식별, 중복·유사단위과제 생성 통제, 공통 과제의 표준적인 운영 등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어 기록관리 업무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지원도구가 BRM 및 RMS 등과 연계할 수 있다면 기록관리기준표 관리 업무의 품질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소설과 영화 『희망 L'Espoir』의 서사담론 (The Narrative Discourse of the Novel and the Film L'Espoir)

  • 오세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48권
    • /
    • pp.289-323
    • /
    • 2017
  • 앙드레 말로의 소설 "희망 L'Espoir"은 스페인 내란전쟁에 직접 참전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사건의 전말을 논픽션으로 제시하는 르포타주문학의 특성을 보유하며, 영화 "희망 L'Espoir"은 이 소설을 각색하여 르포타주문학에 상응하는 세미다큐멘터리로 제작된다. 세미다큐멘터리 영화는 사회적 현상이나 사건에 대한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영화장르이다. 이처럼 소설과 영화 "희망 L'Espoir"은 각각 서로 다른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창작활동이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으며 서사적 연계성도 상당하다. 그러므로 소설과 영화 "희망 L'Espoir"에 대하여 주네트의 서사이론에 의거한 서사담론의 숙고는 연구의 당위성을 보유한다. 모든 종류의 이야기는 서사물 속에서 스토리시간과 담화시간이 서로 다른 이중적 시간을 보유한다. 왜냐하면 서사물 속에서 하나의 사건은 다른 것들보다 먼저 제시되거나 나중에 나타낼 수도 있고, 사건을 길게 혹은 짧게 이야기 할 수 있으며, 사건을 한 번 또는 여러 번 되풀이해 환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사건이 발생하는 시간과 이 사건을 기록하는 시간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시간성을 분석한 것이 순서, 지속, 빈도이다. 이러한 순서, 지속, 빈도의 시간성은 이야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극적 템포를 의미하기 때문에 편집적인 개념으로써 소설과 영화 "희망 L'Espoir"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것은 이야기를 배열하고 요약하며, 삭제하는 시간의 대응으로 호기심과 충격을 야기하는 미학적 담론이다. 또한 화법과 서술태는 텍스트에서 화자 또는 서술자의 위치와 시점의 문제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주네트가 제기한 개념이다. '누가 이야기하느냐'와 '누가 보느냐'하는 문제를 구분하는 것은 텍스트의 서술자와 텍스트의 시점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누가 이야기하느냐'의 문제는 누가 이야기의 서술을 담당하고 있는가를 말한다. 그러나 '누가 보느냐'하는 문제는 이야기에서 누구의 시각에 의해 서술되고 있는 것인가의 문제와 관련된다. 소설 "희망 L'Espoir"에서는 제로초점과 내적 초점화를 통한 시점의 변화가 등장하며, 이것은 영화 "희망 L'Espoir"에서 다중촬영이 연계되고 있다. 또한 이야기의 메타적 서술로서 이야기의 액자구조가 소설과 영화 "희망 L'Espoir"에서 모두 서술태의 형태로 동일하게 재현된다. 그러므로 소설과 영화 "희망 L'Espoir"에서 서사담론의 의미는 텍스트와 화자, 수용자 사이에 이야기를 소통하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