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odenal perforation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초

자석 이물에 의한 위-십이지장 누공 1예 (A Case of Gastroduodenal Fistula Caused by Ingested Magnetic Foreign Bodies)

  • 이원희;민영돈;문경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1호
    • /
    • pp.84-88
    • /
    • 2008
  • 여러 개의 자석을 삼킨 경우 자석들이 서로 잡아당겨 압력 괴사로 인한 장폐쇄, 장천공, 누공 형성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영 유아나 정신과적인 문제가 있는 큰 아이의 경우 자석이나 자석이 포함된 장난감과 같은 물건들을 멀리하고, 자석을 삼킨 경우에는 즉시 확인해 보아야 한다. 저자들은 1년 전부터 주기성 구토를 호소했던 중등도 정신지체를 가진 12세 남아에서 삼킨 장난감 자석 4개로 인해 위-십이지장 누공을 형성하였고 수술 후 호전된 1예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개에서 비만세포종과 관련된 기복증의 초음파학적 진단례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Pneumoperitoneum Associated with a Mast Cell Tumor in a Dog)

  • 왕지환;박기태;이경우;연성찬;이효종;이희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83-487
    • /
    • 2010
  • A 7-year-old female maltese dog with anorexia and vomiting for a week, and left axillary and perineal mass was admitted to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CBC revealed mild leukocytosis and severe anemia. Abdominal radiography revealed multiple gas opacities in upper abdomen. On ultrasonography, large amount of echogenic free abdominal fluid were detected. In addition, There are enhanced peritoneal strip sign (EPSS) indicating peumoperitoneum in the upper abdomen. Fine needle aspiration of the mass was performed and the result was mast cell tumor. Duodenal perforation caused by mast cell tumor was identified on laparotomy.

A Case Series of Ingested Open Safety Pin Removal Using a Proposed Endoscopic Removal Technique Algorithm

  • Demiroren, Ka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5호
    • /
    • pp.441-446
    • /
    • 2019
  • Purpose: Safety pin ingestion is common in some regions of the world and may lead to severe morbidity and mortal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ingested safety pins using an accompanying algorithm,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literatur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Methods: Twenty children with ingested safety pins during a 4-year period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Median age of patients was 9.5 months (interquartile range, 6.3-14 months), and 70% were girls. On endoscopic examination, safety pins were observed in the stomach (25%), duodenal bulb (20%), upper esophagus (15%), middle esophagus (10%), and second part of the duodenum (10%) but were not observed in 20% of the cases. Safety pins were removed using endoscopy in 15 cases (75%). In four cases (20%), no safety pin was observed on endoscopic examination. In one case (5%) involving a 6-month-old infant, the safety pin could not be removed although it was observed using endoscopy. No surgical intervention was needed for any patient. No complications such as perforation or deaths developed, except for erosions, due to the foreign body removal procedure. Conclusion: Safety pins are easily removed endoscopically. The best option is to remove the safety pin using endoscopy while it is still in the esophagus and stomach. For this reason, endoscopic procedures should be performed as soon as possible in children who have ingested safety pins.

Complications of endoscopic resection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 Takeshi Uozumi;Seiichiro Abe;Mai Ego Makiguchi;Satoru Nonaka;Haruhisa Suzuki;Shigetaka Yoshinaga;Yutaka Saito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4호
    • /
    • pp.409-422
    • /
    • 2023
  • Endoscopic resection (ER) is widely utilized as a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upper gastrointestinal tumors; however, complications could occur during and after the procedure. Post-ER mucosal defect leads to delayed perforation and bleeding; therefore, endoscopic closure methods (endoscopic hand-suturing, the endoloop and endoclip closure method, and over-the-scope clip method) and tissue shielding methods (polyglycolic acid sheets and fibrin glue) are developed to prevent these complications. During duodenal ER, complete closure of the mucosal defect significantly reduces delayed bleeding and should be performed. An extensive mucosal defect that comprises three-quarters of the circumference in the esophagus, gastric antrum, or cardia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post-ER stricture. Steroid therapy is considered the first-line option for the prevention of esophageal stricture, but its efficacy for gastric stricture remains unclear.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ER-related complications in the esophagus, stomach, and duodenum differ according to the organ; therefore, endoscopists should be familiar with ways of preventing and managing organ-specific complications.

관상동맥우회술 후 재수술의 단기 및 증기 성적 (Early & Midterm Results after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김준성;김홍관;장우익;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46-153
    • /
    • 2004
  • 관상동맥우회술의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관상동맥우회술의 재수술은 증가하는 추세이나 아직까지 국내 보고는 미흡한 수준이다. 저자들은 관상동맥 재수술의 사망률, 유병률 등의 임상경험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의 재수술을 시행 받은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초 수술 후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66$\pm$56 (3∼157)개월이었고 재수술 시 평균연령은 62.8$\pm$8.7 (51∼78)세였다. 2003년 6월 30일을 추적관찰 종료시점으로 하여 평균추적관찰 기간은 43$\pm$29 (8∼105)개월이었다. 재수술의 적응증은 이식편의 협착 또는 완전폐쇄가 11예(78.6%), 관상동맥질환의 진행이 1예, 그리고 두 가지 병리가 혼재한 경우가 2예였다. 결과: 입원기간 중 사망은 2예(14.3%)가 발생하였고 사망원인은 저심박출증이었다. 술 후 합병증은 총 7명(50.0%)의 환자에서 8예가 발생하였는데, 수술 전후 심근경색이 2예(14.3%), 종격동염이 1예(7.2%), 십이지장 궤양천공 1예, 허혈성 하지괴사 1예, 장간막경색에 따른 위장관 천공 1예, 지연 뇌경색 1예, 비장출혈 1예 등이었다. 조기사망 2예를 제외한 12명의 환자를 추적 관찰한 결과 만기사망은 1예가 발생하였고 추적관찰 종료시점에서 협심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없었으며 모든 환자가 Canadian협심증분류 1급 또는 2급의 양호한 경과를 보였다. 결론: 관상동맥 재수술은 비교적 높은 유병률과 사망률을 보였으나 퇴원 후 환자상태는 양호하였으며 향후 경험의 축적과 노력이 요망된다.

총상으로 인한 경추부 및 척수손상: 증례 보고 (A Gunshot Wounds to the Cervical Spine and the Cervical Spinal Cord: A Case Report)

  • 팽성화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2호
    • /
    • pp.57-62
    • /
    • 2012
  • Gunshot wounds are rare in Korea, but they have tended to increase recently. We experienced an interesting case of penetrating gunshot injuries to the cervical spine with migration the fragments of the bullet within the dural sac of the cervical spine, so discuss the pathomechanics, treatment and complications of gunshot wounds to the spine and pres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A 38-year-old man who had tried to commit suicide with a gun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a penetrating injury to the anterior neck. the patient had quadriplegia. A Computed tomography (CT) scan and 3-dimensional CT of the spine showed destruction of the left lateral mass and lamina of the 5th cervical vertebra; the bullet and fragments were found at the level of the 5th cervical vertebra. The posterior approach was done. A total laminectomy and removal of the lateral mass of the 5th cervical vertebrae were performed, and bone fragments and pellets were removed from the spinal canal, but an intradurally retained pellets were not totally removed. A dural laceration was noted intraoperatively, and CSF leakage was observed, so dura repair was done watertightly with prolene 6-0. The dura repair site was covered with fibrin glue and Tachocomb$^{(R)}$. Immediately, a lumbar drain was done. Radiographs included a postoperative CT scan and X-rays. The postoperative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 was improved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neurological status. however, the patients developed symptoms of menigitis. He received lumbar drainage(200~250 cc/day) and ventilator care. After two weeks, panperitonitis due to duodenal ulcer perforation was identified. Finally, the patient died because of sepsis.

비후성 유문 협착증에서 수술 후 무제한 임의 식이법 (Ad Lib feeding)의 유용성 (Usefulness of Ad Lib Feeding for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 전학훈;손석우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27-33
    • /
    • 2005
  • Infantile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HPS) is a relatively common entity. A number of studies for the postoperative feeding schedule has been studied to allow for earlier hospital discharge and improve cost-effectiveness in the treatment of HP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3 feeding-methods an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d lib feeding for HPS.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116 patients who underwent pyloromyotomy for HPS from 1995 to 2004. Three cases were excluded because of the duodenal perforation during pyloromyotomy. Three feeding-methods were defined as: Conventional feeding (>10 hours nothing by mouth and incremental feeding every 2 hours, C), Early feeding(for 4 to 8 hours nothing by mouth and incremental feeding every 2 hours, E), and Ad lib feeding (for 4 hours nothing by mouth and ad lib feeding, A). Time to normal feeing in C, E and A were $51{\pm}24$, $34{\pm}12$ and $24{\pm}6$ hours, respectively. Hospital-stay in C, E and A were $72{\pm}17$, $55{\pm}13$ and $43{\pm}12$ hours,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feeding. Frequency of postoperative emesis in C, E and A were 38 %, 47 % and 53 %, bu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Ad lib feeding decreased time to normal feeding and hospital stay, and did not increase postoperative emesis. We conclude that ad lib feeding is recommended for patient with pyloromyotomy in HPS.

  • PDF

Safety and feasibility of opening window fistulotomy as a new precutting technique for primary biliary access in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 Yasuhiro Kuraishi;Kazuo Hara;Shin Haba;Takamichi Kuwahara;Nozomi Okuno;Takafumi Yanaidani;Sho Ishikawa;Tsukasa Yasuda;Masanori Yamada;Nobumasa Mizuno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4호
    • /
    • pp.490-498
    • /
    • 2023
  • Background/Aims: Post-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pancreatitis (PEP) is the most common and serious complication of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To prevent this event, a unique precutting method, termed opening window fistulotomy, was performed in patients with a large infundibulum as the primary procedure for biliary cannulation, whereby a suprapapillary laid-down H-shaped incision was made without touching the orific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this novel technique. Methods: One hundred and ten patients were prospectively enrolled in this study. Patients with a papillary roof size ≥10 mm underwent opening window fistulotomy for primary biliary access. In addition,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and success rate of biliary cannulation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dian size of the papillary roof was 6 mm (range, 3-20 mm). Opening window fistulotomy was performed in 30 patients (27.3%), none of whom displayed PEP. Duodenal perforation was recorded in one patient (3.3%), which was resolved by conservative treatment. The cannulation rate was high (96.7%, 29/30 patients). The median duration of biliary access was 8 minutes (range, 3-15 minutes). Conclusions: Opening window fistulotomy demonstrated its feasibility for primary biliary access by achieving great safety with no PEP complications and a high success rate for biliary cannulation.

선천성 장폐쇄증 - 대한소아외과학회 정회원을 대상으로 한 전국조사 - (Intestinal Atresia - A Survey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김인구;김상윤;김신곤;김우기;김재억;김재천;김현학;박귀원;박영식;박우현;송영택;양정우;오수명;유수영;이두선;이명덕;이석구;이성철;장수일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5권1호
    • /
    • pp.75-81
    • /
    • 1999
  • 대한소아외과학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조사결과이기 때문에 별도의 고안이 필요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다만 한두가지를 언급하고자 한다. 통상 성서(textbook)에서는 선천성 장폐쇄증을 십이지장폐쇄증과 공회장폐쇄증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다. 본 조사에서는 십이지장, 공장, 회장을 각각 나누어 분석하여 보았다. 재태기간의 조사에서 공장폐쇄증에서 미숙아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48.6%), 장운동의 회복기간을 비교분석한 자료에서는 상부 공장폐쇄증 환아에서 나머지 공회장폐쇄증 환아보다 유의하게 길게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상부 공장폐쇄증이 있을 때 이차적으로 확장된 십이지장이 그 직경이 정상으로 돌아와 정상적인 장운동을 회복할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이 폐쇄증에는 다발성 폐쇄증이 빈발하는것도 긴 회복시간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상부 공장폐쇄증의 또 한가지 특성은 소위 크리스마스 나무 (Christmas tree)기형이라고 하는, 전상부 장간막동맥의 결손을 동반하는 기형이 이 폐쇄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그 하부의 공회장폐쇄증과는 다른 특이한 소견을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이에 Donnellan등은 "high jejunal obstruction" 에 대하여 "Abdominal Surgery of Infancy and Childhood" 에서 따로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추후 조사에서는 이점은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상부 공장페쇄증 환아에서의 주름형성술 또는 장의 직경을 줄이는 수술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상기 술식을 시행한 예수가 적기 때문에(9례) 이 점에 대하여서도 추후 조사에서 재검토하여야 할 사항으로 생각되었다. 주제 토의(topic discussion)시간에 가정 큰 쟁점이 되었던 점은 임신 기간과 출생시 체중이 우리의 예상과 다른 결과를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공장폐쇄증(jejunal atresia)에서 72례의 환아 중 35례(48.6%)가 37주 미만의 조산아이었는데 출생시 체중에서는 24례(33.3 %)만이 2.5 kg 미만의 저체중아로 분석되었다. 등록된 환아들의 분석과정에 잘못이 있었는지 재조사하여 보았으나, 분석과정에는 오류가 없었음이 확인되었다. 또 한가지 큰 쟁점 되었던 사항은 십이지장폐쇄증의 화타씨유두부와의 위치가 문제이었다. 등록된 환아의 기록에서 정확하게 기술이 안된 예가 상당수있어 이점은 공회장폐쇄증의 정확한 형(type)과 같이 재조사 하였으며, 대부분의 회원들이 재조사에 성실히 협조하여 좀더 명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외에도 병인론에 입각한 분류법인 십이지장폐쇄증과 공회장폐쇄 증으로 나누지 않고 십이지장, 공장, 회장을 따로 분석하였느냐는 지적도 많았다. 장폐쇄증의 분석에서는 협착증은 제외하고 폐쇄증 만을 분석하여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회원들이 근무하고 있는 병원의 사정이 다르기는 하지만 조사 기간동안 각 회원들이 치험한 환아의 숫자는 큰 차이가 없었던 점은 본 질환의 발생율이 지역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치료방법은 수술술식과 사용 기술에 굉장한 다양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대한소아외과학회 회원들의 다양한 소아외과 연수배경이 한가지 원인으로 생각되었다. 이번 주제토의를 통하여 우리소아외과회원 각자들도 많은 것을 느끼고 생각하게 되었으리라고 생각한다.

  • PDF

소아에서 발생한 허혈성 소장결장염 (Ischemic Enterocolitis in Children)

  • 이병기;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0권2호
    • /
    • pp.138-146
    • /
    • 2007
  • 목 적: 허혈성 소장결장염은 소장과 대장의 장벽에 육안적으로 괴사 반 또는 분절 괴사를 보이고 현미경적으로는 점막 및 점막하층에 허혈성 변화를 일으키는 급성 질환이다.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이며 대증 치료로 호전되기도 하지만 장괴저, 독소혈증, 사망 등 중증 경과를 밟기도 한다. 원인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장 미세순환의 장애나 과민반응이 주된 병리 기전으로 설명되고 있다. 방 법: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복통, 혈변, 토혈, 구토 또는 복부팽만 등의 급성 복증으로 내원한 환자중 방사선 검사 소견, 수술 소견, 내시경 소견, 조직병리 소견 등이 괴사 반 또는 분절 괴사의 소견을 보이고 장간막 동맥의 폐쇄의 소견이 없으며 장의 허혈이나 괴사의 다른 기계적 또는 전신적 요인이 없는 허혈성 소장결장염에 합당한 6명의 임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1) 남아가 4명, 여아가 2명이었다. 2) 연령 분포는 생후 6주에서 6세까지였다. 3) 만삭에 가까운 1명을 제외하고 모두 만삭아였고 부당경량아 1명을 제외하고는 정상 출생 체중아였다. 4) 증상으로는 선혈변 또는 토혈 5예, 구토, 설사, 복통 또는 보챔이 각각 4예, 복부팽만과 발열 3예였다. 5) 침범 부위는 하행 결장 2예, 하행 결장 및 S상 결장 1예, S상 결장 1예, 전 대장1예, 십이지장 구부 및 위 유문부가 1예였다. 6) 병변의 형태는 궤양 3예, 천공 2예, 괴사 반이 2예, 협착 1예, 심한 막성 상피 탈락 1예였다. 7) 치료로는 천공 부위의 일차 봉합 2예, 보존적 치료(수액 요법, 총 정맥 영양, 항생제 투여, 히스타민 길항제 투여 등) 4예였다. 8) 1예에서 급성 신부전이 동반되었고 사망자는 없었다. 결 론: 허혈설 소장 결장염은 사망에 이를 수 있는 급성 복증 질환으로 소아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임상적으로 의심되면 적극적인 검사를 통하여 조기 진단과 적절한 집중치료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