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mmy variables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초

Impact of Network Formation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nd Growth: A Study of Selected Small Enterprises in Bangladesh

  • Bhuiyan, Bashir Ahmed;Imam, Mahmood Osma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3권1호
    • /
    • pp.29-38
    • /
    • 2012
  •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impact of network formation variables and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 on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growth of the enterprises. The calucation of the weighted scores of networking statements brought some affirmative results to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it is identified that network formation variables like service receiving status, consultation of the family, other business dummy and attendance in fair have som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both on the growth and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s. In addition to above variables, from the set of enterprise characteristics natural logarithm of the market value of total assets and from the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set of variables, schooling year and squared value of the experience have been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Finally, it is concluded in the study that to enhance the performance and growth of the enterprises, government and policy rlated organizations need to consider important variables that have positive impact in supplying the entrepreneurial resources especially, developing the net-working relationship.

  • PDF

Development of the Roundwood Demand Prediction Model

  • Kim, Dong-Ju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2호
    • /
    • pp.203-208
    • /
    • 2006
  • This study compared the roundwood demand prediction accuracy of econometric and time-series models using Korean data. The roundwood was divided into softwood and hardwood by species. The econometric model of roundwood demand was specified with four explanatory variables; own price, substitute price, gross domestic product, dummy. The time-series model was specified with lagged endogenous variable. The dummy variable reflected the abrupt decrease in roundwood demand in the late 1990's in the case of softwood roundwood, and the boom of plywood export in the late 1970's in the case of hardwood roundwood. On the other hand, the prediction accuracy was estimated on the basis of Residual Mean Square Errors(RM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ftwood roundwood demand prediction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by econometric model than by time-series model. However, the hardwood roundwood demand prediction accuracy was similar in the case of using econometric and time-series model.

업무특성에 따른 블로그 사용의도와 업무만족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BLOG and Job Satisfaction)

  • 양희동;김혜정;강소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24-383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과연 근무시간에 '블로그' 사용하는 것이 업무의 성과에 도움을 주는 것일까? 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을 분석하였다. 첫째, 블로그 사용의도 즉, 상호작용성, 정보추구성, 오락 추구성 등을 독립변수로, 업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블로그 사용요인과 업무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근무시간에 블로그를 사용하는 이유는 업무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업무특성 요인을 정형/비정형업무, 개인업무/집단업무, 재석업무/이석업무로 구분지었으며, 각각의 종사자들의 응답을 그룹화지어 더미변수화 하여 독립변수(블로그 사용요인)와 종속변수(업무만족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블로그 사용요인과 업무만족도의 회귀분석 결과 블로그 사용요인 중 상호작용성과 정보추구성은 업무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오락추구성은 업무만족도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업무특성에 따라 블로그 사용 의도는 다를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업무특성 요인이 블로그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결과는 응답자의 결과 값을 정형/비정형업무, 개인업무/집단업무, 재석업무/이석업무로 구분 지었으며, 회귀분석을 돌렸지만 이러한 업무특성요인에 따른 블로그 사용의도는 업무만족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목재수요(木材需要)에 관한 연구(硏究) - 장기수요전망(長期需要展望)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mand for Timber in South Korea - with an Emphasis on the Long-term Forecasts -)

  • 윤여창;김의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24-138
    • /
    • 1992
  • 본 논문은 한국(韓國)의 장기목재수요함수(長期木材需要函數)를 추정(推定)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 21년간의 시계열자료(時系列資料)가 분석자료로서 이용되었으며, 수요전망은 2030년까지의 예측치를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침엽수와 활엽수를 구분하여 용도별로 수요함수를 추정하였으며, 더미변수(變數)의 확정방법(確定方法)에 관하여도 자세한 검토가 이루어졌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분석결과(分析結果)를 살펴보면 현재 활엽수에 대한 침엽수의 대체효과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인 바, 주로 건축 토목 등에 소요되는 일반 용재를 중심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을 불문하고 대부분의 용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갱목용재의 경우는 오히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별 용도별 목재수요함수(木材需要函數)에 대한 파라메타 추정결과(推定結果)를 보면 GDP에 대한 수요탄력성이 다른 설명변수의 탄력성보다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인구 및 대체재의 영향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관의 선호도에 미치는 소리의 영향 (The Impact of Soundscape in Landscape Preference)

  • 서주환;성미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0-1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soundscape in the preference of landscape. Specifically, Standards types of communications are applied to the landscape such as artificial waterscapes and natural valley. The spatial image was analyzed by the variables of Kaplan´s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The level of visual preferences was measured by a type of acoustic information in landscape and media of communication,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value of landscape preference was not different from all fluent of coherence, complexity, legibility ,mystery and preference utilized the communication media, but it was different by the type of acoustic information in landscape. These results clearly show the influence of sound affecting decisions of landscape preference. The factors determining the level of landscape preference were found to be coherence, complexity, legibility, mystery and dummy variables of acoustic information in landscape and media od communication. These variables amy be the major factors which must be considered on planning and designing as the functional basi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 PDF

온도와 부하의 관계를 이용한 단기부하예측 (Short-Term Load Forecasting using Relationship of Temperature and Load)

  • 이경훈;이윤호;김진오;이효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272-274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model for short-term load forecasting using relationship of temperature and load. We made one-day ahead load forecasting model using hourly normalized load and 11 dummy variables that were classified by day characteristics such as day of the week, holiday, and special holiday.

  • PDF

남녀 청소년 소비자의 온라인 문제행동 차이에 대한 종단 분석 (Gender Differences in Problematic Online Behavior of Adolescent Users over Time)

  • 김정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641-654
    • /
    • 2015
  • This study identifies and tracks changes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 users' problematic online behavior. This study used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which has tracked respondents over 7 years, with self-control theory and social learning theory appli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model included individual-level variables such as self-control and respondent's experience of problematic behavior (offline), as well as socialization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close friends who engaged in problematic offline behavior,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parental monitoring.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problematic online behavior, unauthorized ID use (ID theft) and cyberbullying (cursing/insulting someone in a chat room or on a bulletin board). Control variables consisted of academic performance, time spent on a computer,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Random and fixed effects models were performed by gender. Results supported self-control theory even for the within-level analysis (fixed effects models) regardless of gender, while social learning theory was partially supported. Only peer effects were found significant (except for unauthorized ID use) among girls. Year dummy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however, academic performance and time spent using computers were significant in some models.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found insignificant, even in the random effects models. We also discus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makers.

혼합모형을 이용한 특성화고 졸업생의 임금결정요인 분석 (The wage determinant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using mixed effects mode)

  • 류장수;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935-94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13 고졸자 취업진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특성화고 졸업자의 임금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런데 임금은 개인수준의 인적특성 (1-수준)과 취업지역 수준의 산업특성 (2-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층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층구조 자료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분석단위 구조가 되면, 전통적인 회귀분석과 같이 개인수준의 임금이 독립이라는 가정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개인수준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다층구조의 특성을 가진 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타당한 방법으로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전통적인 회귀분석과 위계적 선형모형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첫째, 다층구조를 갖는 위계적 선형모형이 전통적인 회귀모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2-수준의 총근로시간과 상용직의 평균임금이 개인수준의 임금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이스터고 졸업생이 그렇지 않은 졸업생에 비해서, 부모의 소득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인수준의 임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학점이 높을수록, 학교 만족도가 높고 자격증 수가 많을수록 임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2-수준의 산업특성을 고려한 랜덤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임분(林分) 생장(生長) 모델의 모수(母數) 추정(推定) 능력(能力) 향상(向上)을 위(爲)한 생장(生長) 측정간격(測定間隔)의 선택(選擇) (Selection of Growth projection Intervals for Improving Parameter Estimation of Stand Growth Model)

  • 이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1호
    • /
    • pp.40-49
    • /
    • 1998
  • 본 연구는 보다 정확한 모수(母數) 추정을 통한 생장(生長)모델의 현실성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되는 생장 측정간격(임목의 측정 초기 연령 $T_1$과 재측정 연령 $T_2$의 기간)의 적합한 조합을 선택하기 위한 계획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생장식을 데이터에 적용한 후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정된 생장식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여러 생장식을 분석한 결과 최적의 생장식으로 판명된 더미 변수를 포함하는 변형 Schumacher 방정식을 임분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생장식과 평균수고(平均樹高) 생장식을 얻기 위하여 이용하였다. 그리고 사용된 자료는 뉴질랜드 남섬 전역에서 측정된 업송(業松)(Pseudotsuga menziesii Mirb.Franco)의 생장 측정기간이 변형되지 않은 데이터와 모든 가능한 생장 측정기간을 포함하는 변형된 2종류의 데이터이었다. 단기의 측정기간에서부터 장기의 측정기간의 범위를 포함하는 데이터(모든 가능한 생장 측정기간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할 때 흉고단면적 생장식과 임분 평균수고 생장식에서 모수 추정의 정확성이 증가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 PDF

지역무역협정(RTA)과 국가 간 무역량 결정요인 분석 (The Relation between Trade Volume and Regional Trade Agreements)

  • 안소영;배연호
    • 무역상무연구
    • /
    • 제72권
    • /
    • pp.139-160
    • /
    • 2016
  • Using the gravity model,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ly how the world trade in goods is affected by regional trade agreements(RTAs) which have been spreading rapidly since the mid-1990s. This paper attempt to do the panel data analysis about 174 countries during the period of 1994-2008. These panel data include 157 RTAs. It is meaningful that this paper uses comprehensive data to analyze the net effect of regional trade agreements on the global trade volume. This provides a clue as to the answer to the stumbling block debate raised early in the regional trade agreement. Also, confirming how the participation of the WTO affected the trade volume among the member countries, the WTO-related dummy variables are additionally introduced to this gravity model. And as far as we know, the state system-related variables is first considered in this model. This variable reflects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of countries as the proxy variable representing the sociocultural homogeneity. In all regressions, joining to the WTO and consistency of the state system have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trade volumes between countr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TA trade effects, RTAs, on average, increase the volume of trade within the RTA region by 27%~37%, and decrease the volume of trade between the regional and the non-regional nation by 1.2%~3.4%.Therefore, the net effect of regional trade agreements on the promotion of global welfare is positive. For robustness check, we also introduce the interaction term of the dummy variable which reflects the RTA tightening and the continuous variable which reflects the distance effect. As a result, the RTAs alleviate the trade-decreasing effect which is caus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count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