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ing efficiency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8초

식물성 지방산 비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건조시간과 첨가물의 효과 (Effect of Drying Time and Additives regard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Vegetable Fatty Acid Soap)

  • 이성희;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032-4038
    • /
    • 2014
  • 식물성지방산 고형비누는 검화법 제조 후 수분증발 및 경도를 위한 건조과정이 필요하며, 주로 천연성분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있으나 그동안의 연구는 식물성고형비누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천연성분이 혼합된 식물성 지방산 고형비누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형비누가 건조되는 기간과 첨가물(tea tree E.O, $TiO_2$)에 따른 비누의 물성 변화(pH, 표면장력, 임계미셀농도, 세정력)를 pH paper, Du Nouy 측정법, 침전법과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하여 비교 관찰하고자 하였다. 식물성지방산 고형비누는 첨가물의 혼합여부와 상관없이 pH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건조 2주~12주까지 pH8로 변화가 없었다. 또한, 표면장력과 CMC 측정결과 $TiO_2$가 첨가된 비누만 건조기간과 상관없이 62.5mg/L로 일정한 값을 보였으며, 다른 비누시료는 건조 4주째만 CMC가 25mg/L로 낮아졌다. 세정력 측정 결과 4주간 건조한 Tea tree E.O, $TiO_2$를 혼합한 식물성지방산 고형비누의 제거효율은 4.50~4.65%로 첨가물이 없는 식물성지방산 고형비누의 제거효율 3.62~3.92%보다 세정력이 높게 나타났다.

건조된 저등급석탄과 첨가제 및 입자크기에 대한 석탄-물 혼합연료(CWF)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oal Water Fuel by Various Drying Coals, Surfactants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Using Low Rank Coal)

  • 김태주;김상도;임정환;이영우;이시훈
    • 청정기술
    • /
    • 제19권4호
    • /
    • pp.464-46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석탄 종류, 저등급석탄으로부터 첨가제의 종류, 입도분포 및 건조 방법에 따른 석탄-물 혼합연료(coal water fuel, CWF)의 고체함유량을 높이고자 하였다. 건조 방법에는 열풍 건조 방법(flash drying, FD), 유동층 건조 방법(fluidized bed, FB), 유중 건조 방법(oil deposit stabilized, ODS)을 사용하였다. 석탄 종류에 의해서 고체함유량 차이는 최대 20% 이상 보였다. 또한, CWF을 제조할 때 넣어주는 첨가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실험한 결과 첨가제에 의해서 5%까지 효율을 더 높일 수 있었다. 석탄의 입도분포는 $75{\mu}m$ 이하의 미분탄이 80% 함유되어야 CWF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3가지 건조 방법을 활용하여 CWF를 제조해본 결과, 안정화시킨 유중 건조 석탄이 원탄에 비하여 12% 정도 더 높은 고체함유량을 갖는 CWF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벌집형구조 집열기의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Honeycomb Structure Collector)

  • 이종호
    • 태양에너지
    • /
    • 제7권2호
    • /
    • pp.54-64
    • /
    • 1987
  • Experiments on honeycomb structure collectors (HSC with/without cover) were performed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preceding analytical results. The tendency of the efficiency of HSC was same with that of conventional air-type solar collector, even though there were some seasonal differences. Therefore, HSC, which can be itself utilized as a part of building structure, is applicable to space heating as well as preheating of industrial process and drying.

  • PDF

농산물(農産物) 건조(乾燥) 및 저장(貯藏)을 위(爲)한 태양열(太陽熱) 저장고(貯藏庫)의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Solar Warehouse for Drying and Stor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 김만수;장규섭;김성래;전병선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357-370
    • /
    • 1982
  •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곡물(穀物)의 건조(乾燥)와 저장(貯藏)을 겸할 수 있는 농가용(農家用) 태양열(太陽熱) 저장고(貯藏庫)의 개발(開發)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爲)하여 구조(構造)가 간단(簡單)하고 가격(價格)이 저렴한 콘크리트 벽체의 저장고(貯藏庫)와 그 지붕을 대신(代身)한 태양열집열기(太陽熱集熱器)를 설계(設計) 제작(製作)하여 집열기(集熱器)의 성능(性能)을 실험(實驗)에 의(依)하여 구(求)하였으며 집열기(集熱器)에서 가열(加熱)된 공기(空氣)와 상온통풍(常溫通風)에 의(依)한 벼의 건조특성(乾操特性)을 비교(比較) 분석(分析)하였다. 건조(乾操)된 곡물(穀物)의 저장시(貯藏時)에 그 온도(溫度)를 예측(豫測)할 수 있는 simulation model을 개발(開發)하여 그 적합성(適合性)을 검정(檢定)하고 저장곡물(貯藏殺物)의 각(各) 부위(部位)에 대(對)한 온도(溫度)의 변화(變化)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들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본(本) 실험(實驗)에 설계(設計) 제작(製作)된 태양열집열기(太陽熱集熱器)의 효율(效率)은 평균(平均) 26%였으며 총열전달계수(總熱傳達係數)는 약(約) $25kJ/hr.m^2\;^{\circ}K$였다. 2.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건조(乾燥)에서는 공시(供試)벼의 함수율(含水率) 23.5%에서 15.0%까지 건조(乾燥)시키는데 7일(日)이 소요(所要)되었으며 상온통풍건조(常溫通風乾燥)에서는 함수율(含水率) 20.0%에서 15.5%까지 건조(乾燥)시키는데 12일(日)이 소요(所要)되었다. 3. 건조소요시간(乾燥所要時間)은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건조(乾燥)가 배(倍) 정도(程度) 빠르나 하층부(下層部)의 곡물(穀物)의 과건현상(過乾現象)의 방지책(防止策)이 철저히 구명(究明)되어야 할 것이다. 4. 저장곡물(貯藏殺物)의 온도(溫度)를 예측(豫測)할 수 있는 simulation model을 finite difference method에 의(依)해 개발(開發)하였으며 검정(檢定) 결과(結果) 실측치(實測値)와 잘 일치(一致)되었다. 5. 저장곡물(貯藏殺物)의 온도(溫度) 변화(變化)는 벽체와 접촉(接觸)하고 있는 부위(部位)에서 컸으며 곡물(穀物)의 손상(損傷)도 이곳에서 심(甚)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Classification Index and Grade Levels for Energy Efficiency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Dryers in Korea

  • Shin, Chang Seop;Park, Jin Geun;Kim, Kyeong Uk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2호
    • /
    • pp.96-100
    • /
    • 2014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index and the grade levels for a five-grade energy efficiency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dryers in Korea. Methods: The classification index and the grade levels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performance test data published by the FACT over the last eight years to reflect a state of the art technology for agricultural dryers in Korea. The five grades were designed to have the classified dryers distributed normally over the grades with 15% for the $1^{st}$ grade, 20% for the $2^{nd}$ grade, 30% for the $3^{rd}$ grade, 20% for the $4^{th}$ grade and 15% for the $5^{th}$ grade. Results: The classification index was defined as the total amount of fuel and electrical energy consumed per 1% of the wet basis moisture content evaporated from a unit mass of grain or agricultural crops during the drying process: 1 MT of paddy rice for grain dryers and 1 kg of red pepper for agricultural crop dryers as the standard mass. Conclusions: The grade levels for the five-grade energy efficiency classification of grain dryers, kerosene dryers, and electric dryers were proposed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index value.

냉매와 습공기가 교차하는 2중관에서 전열계수 예측을 위한 연구 (The study on the estimation of heat transfer coefficient through the counterflow concentric tube using refrigerant and moisture air)

  • 조권희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3권5호
    • /
    • pp.687-694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ew drying process for automatic control and marine engi-neering system. Air-water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dryer performance. The dispersed flow in he dryer test apparatuses was also simulated by using a numerical code which solves the Dittus-Boelter equation for continuous liquid phase and the Reynolds equation of droplet motion for continuous liquid phase and the Reynolds equation of droplet motion for dispersed phase to predict droplet removal efficiency. Proper conditions for dehumidification were optimized by response ambient conditions. When the selected indexes were constrained in the range of 85-98% moisture content above $15^{\circ}$ and more than mass flow rates of moist air 750kg/h. The numeric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pertaining to the removal effi-ciency at chamber stage and overall pressure drop along concentric tubes Good agreement was obtained as for the efficiency while relatively poor agreement was obtained for the relative humidity.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efficiency depended strongly on the relative humidity at the inlet condition which indicated the importance of estimating the heat exchanger length. Effects of some design parameters in both removal efficiency and breakthrough onset condition are discussed.

  • PDF

콩 수확 효율 증진을 위한 건조제로서 비선택성 제초제의 활용 가능성 (Possibility of Using Non-selective Herbicides as Desiccants for Improving Soybean Harvest Efficiency)

  • 원옥재;홍서연;서은지;박재성;이홍석;박진기;류종수;한원영;한길수;송득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58-36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콩 수확 효율 증진을 위한 건조제를 선발하기 위해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년간 4종의 비선택성 제초제를 활용하여 건조제의 선발시험 및 지상부 건조와 약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콩 수확기 건조제로 사용한 4종의 비선택성 제초제 모두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건조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년차 실험에서도 처리시기에 따른 건조효과를 확인하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지역간 차이를 보였다. 이는 건조제가 콩 성숙기 전후에 처리하여 수확을 하였는데, 보통 성숙기 약 1~2주후면 예취 수확이 가능한 상태로 콩 잎이 대부분 떨어져 있으며, 줄기도 일정 부분 건조되어 있기 때문으로 무처리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2. 건조제 처리에 따른 수확량의 감소는 보이지 않았으며, 100립중, 종실의 모양과 색변화, 수확된 종자의 발아율의 저하가 확인 되지 않아 약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건조제 처리에 따른 종실 내 잔류농약은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검출량이 증가하였으며, 시험약제 중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의 검출량이 높았으며, 티아페나실이 보다 안전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콩 잔류농약허용치 이하의 값을 나타내 적용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본 연구는 콩 건조제 처리로 기계수확을 1~2주 정도 단축시킬 것으로 보여 작부체계의 선택 폭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축분(家畜糞) 건조(乾燥) , 발효(醱酵) 복합시설(複合施設) 개발(開發) 연구(硏究);I. 건조방법별(乾燥方法別) 함수율(含水率) 변화(變化)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rying and Fermentation Process of Domestic Animal Manure;I. Change in Water Content of Pig Manure under Different Drying Condition)

  • 윤순강;정광용;우기대;유순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6-222
    • /
    • 1994
  • 고형(固形) 가축분(家畜糞)의 효율적(效率的)인 건조(乾燥)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천일(天日) 건조조건(乾燥條件)에서 돈분(豚糞)의 두께, 교반회수(攪伴回數), 수분조절제(水分調節劑) 첨가 및 건조상(乾燥床) 바닥의 형태별 건조효률(乾燥效率)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돈분(豚糞) 두께가 얇을수록 건조(乾燥)가 빨랐으며 10cm 처리에서 건조효율(乾燥效率)이 높았고 처리 간에 수분증발률(水分蒸發率)은 큰 차이가 없었다. 교반회수별(攪伴回數別) 수분증발률(水分蒸發率)은 1일(日) 2회(回) 조건(條件)에서 가장 높았다. 건조(乾燥)된 돈분(豚糞)을 수분조절제(水分調節劑)로 사용하였을 때 수분증발률(水分蒸發率)이 크게 증가하였다. 교반회수(攪伴回數)를 1일(日) 2회(回)로 하고 돈분(豚糞) 두께를 10cm로 하였을 때 1일 수분증발양(水分蒸發量)은 봄, 여름, 가을, 겨울철에 각각 $1.2m^2$당 75.6, 73.3, 54.6, 32.6kg이였다.

  • PDF

하수슬러지의 에너지 자원화를 위한 마이크로파 건조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Drying Characteristic of Wastewater Sludge by Microwave to Make Energy Resources)

  • 이성민;이윤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7호
    • /
    • pp.125-133
    • /
    • 2009
  • 하수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는 과거 주로 매립되어 왔으나, 2003년 유기성 슬러지의 매립금지라는 폐기물 관리법이 개정됨에 따라 최근에는 주로 해양투기 되어왔다. 그러나 '런던협약 96의정서'에 의해 2011년부터 해양투기도 금지될 예정이어서, 세계 각국은 슬러지의 다양한 처리방법에 대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 없이, 하수슬러지의 합리적인 처리방법을 찾기 위해 현재 많은 전문가들이 노력하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재생 에너지화이다. 슬러지의 재생 에너지화의 성패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건조방법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동군에서 발생하고 있는 하수슬러지를 재생에너지화하기 위해, 슬러지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에너지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마이크로파를 물과 슬러지에 각각 조사하여 슬러지의 건조 특성과 효율성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동군하수 슬러지는 중금속 성분이 매우 적고 열량이 3,370kcal/kg 이상으로 재생에너지화하기에 적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크로파에 의한 슬러지 건조 특성을 분석한 결과, 슬러지 중량 대비 시간의 곡선은 투입 슬러지 량에 관계없이 늘어진 S자 형태의 거동특성을 보임은 물론 그 기울기가 일정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S 곡선을 변곡점 기준으로 세 영역으로 나눌 경우 두 번째 영역에서 건조가 가장 많이 일정하게 발생하며, 전체 건조량의 약 80% 이상임도 확인하였다. 본 결과는 향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full-scale 건조공정에서 투입 슬러지 대비 슬러지 건조량을 예측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마이크로파에 의한 건조능력이 약1.0kg/kW 이상을 보이고 있어 경제성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