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river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23초

낙동강(洛東江) 하류수계(下流水系) 관개수질(灌漑水質)이 벼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rrigation Water Quality on the Growth of Paddy Rice along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 이춘희;하호성;이한생;전성건;장순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2-77
    • /
    • 1985
  • 낙동강(洛東江) 하류수계(下流水系)의 관개수질(灌漑水質)이 벼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기 위하여 경남지방(慶南地方)의 주요(主要) 관개수원(灌漑水源)인 6개 양수장(揚水場)을 대상(對象)으로 각(各) 지점별 수질(水質), 토양(土壤) 및 벼의 근활력(根活力)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COD는 지류(支流)<본류(本流)<하류(下流)의 순(順)으로 낙동강(洛東江) 하류(下流)인 김해(金海)에서 오염도(汚染度)가 가장 높았다. (2) 수질(水質)의 화학성분(化學成分) 중(中) electric conductivity, SAR, Cl, $NH_4-N$는 낙동강(洛東江) 하류(下流)인 김해(金海), $PO_4{^{-3}}$는 본류(本流)인 창녕(昌寧), $SiO_2$는 지류(支流)인 산청(山淸)에서 각각(各各) 가장 높았다. (3) 관개수중(灌漑水中)의 electric Conductivity 및 SAR는 논토양(土壤)의 electric Conductivity 및 SAR의 농도(濃度)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r=0.98^{**}$, $r=0.91^*$) (4) 근활력(根活力)은 하류(下流)<본류(本流)<지류(支流)의 순(順)으로 높았으며 건물중(乾物重)($r=0.62^{**}$)과는 정상관(正相關), 토양(土壤)의 SAR($r=-0.67^{**}$) 및 electric conductivity($r=-0.62^{**}$)와는 부상관(負相關) 관계(關係)였다.

  • PDF

만경강 유역내 하천의 특성별 영향 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n Tributaries of Mankyeong River Watershed)

  • 윤순강;이종식;정구복;김민경;김선종;고문환;엄기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7-242
    • /
    • 2002
  • 본 연구는 만경강 유역의 수질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만경강 본류와 이에 유입되는 지천을 선정하여 2001년 5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만경강 유역내 본류 및 지천의 유기물과 영양염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본류의 T-N은 3.78$\sim$12.68 mg/L였으며, 지천중 축산폐수가 유입되는 익산천의 농도가 가장 높았다. 본류의 T-P와 BOD는 각각 0.043$\sim$0.864 mg/L와 2.59$\sim$13.29 mg/L였으며, 지천중 익산천이 가장 높았다. 본류의 COD는 12.9$\sim$l19.5 mg/L였으며, 지천중 도시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추천이 가장 높았다. 만경강 유역 수질저하의 주 원인은 축산폐수였으며, 도시생활하수가 그 다음으로 중요한 원인으로 평가되었다. 만경강 본류의 T-N과 T-P는 하천의 유량이 증가하는 홍수기인 7$\sim$8월보다 장마전 갈수기인 5$\sim$6월에 높았고, COD는 장마전 갈수기보다 홍수기에 높았으며 장마가 완전히 끝난 영농후 갈수기인 9$\sim$11월에도 수질저하가 지속되었다. 만경강에 유입되는 지천중 전반적으로 수질오염이 심각한 익산천과 추천은 영농후 갈수기에 수질이 가장 저하되었고 상대적으로 홍수기에는 양호하였다.

광양만 및 섬진강 하구에서의 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Phthalate Compounds in Gwangyang Bay and Seomjin River Estuary)

  • 김민선;이동호;심원준;오재룡
    • 환경생물
    • /
    • 제22권
    • /
    • pp.47-53
    • /
    • 2004
  • 광양만과 섬진강 하구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일종인 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분포 특성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연구하였다. Di-butyl phthalate (DBP)와 di-2-ethylhexyl phthalate(DBHP)를 비롯한 9종의 프탈레이트 및 adipate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DBP와 DEHP가 가장 높은 빈도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다른 화합물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거나 검출한계 이하였다 광양만 표층퇴적물에서 DBP와 DEHP의 평균 농도는 각각 33.8 ng g$^{-1}$와 67.4 ng g$^{-1}$이었다. 섬진강 하구에서는 표층수에서 DBP가 62.7∼333.8 ng L$^{-1}$농도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DEHP는 25.6∼l16.1 ng L$^{-1}$ 범위로 검출되었다. 섬진강 및 하구 표층 퇴적물 시료 중의 DBP의 농도는 9.1∼149.3 ng g$^{-1}$, DEHP는 46.3∼156.3 ng g$^{-1}$으로 검출되었다. 광양만에서 DBP와 DEHP는 공단 일대와 생활 하수가 배출되는 하천 주변부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광양만 외해로 갈수록 농도가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섬진강에서는 안쪽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다가 서서히 감소하지만 일부 정점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분포 경향은 하천을 통해 광양만으로 DBP와 DEHP가 유입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도시화에 수반되는 광주천 유역의 물수지 변화 (The Change of Water Balance due to Urbanization in Gwangju River Basin)

  • 양해근;김종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2-205
    • /
    • 2004
  • 수문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도시화에 수반되는 물수지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먼저, 광주천 유역의 하천유출 특성은 6월$\sim$9월 사이에 함양된 저유량에 의해 하천의 기저유출량이 유지되고, 8월에 첨두유량이, 5월에 최저 유량이 나타난다. 도시화 초기단계의 지하수 함양은 강수량대비 46.1%였으나, 1900년대에는 26.5%로 감소하고, 1990년대에는 29.9% 그리고 2010년대에는 27.8%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직접 유출량은 1960년대에 강수량대비 9.6%였던 것이 1990년대에는 16.2% 그리고 2010년대에는 18.3%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경우, 물수지의 왜곡은 더욱 심화되어 도시형 홍수의 빈발과 광주천의 기저유출량의 감소로 인한 건천화가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와 같은 도시수분 현상에 대한 시계열적인 연구는 도시의 재개발 또는 환경정비에 있어서 과거 수문환경을 인식하고, 왜곡된 현상을 파악함으로서 자연친화적 토지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인간활동과 자연환경 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지리학적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하천범람과 내수침수의 개별적·복합적 고려에 따른 흐름 특성의 수치적 비교 (Numerical Comparisons of Flow Properties Between Indivisual and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River Inundation and Inland Flooding)

  • 최상도;엄태수;신은택;송창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15-122
    • /
    • 2020
  • 기후변화에 의해 전례없는 폭우가 빈번하게 내려 도심지에서는 인명 및 재산 손실 등의 침수피해를 반복적으로 겪고 있다. 도심지 침수의 두가지 주요 인자는 하천범람과 내수침수이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침수의 두가지 주요 인자에 의한 복합적인 기작을 무시하고 각 결과를 단순 선형합으로 침수 영향을 산정하여 부정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수침수와 하천범람을 동시에 모의하여 분석하였다. 하천범람 해석을 위해 Petrov 안정화 기법을 적용하여 충격파의 전달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Flux-blocking 알고리즘을 탑재하여 마름/젖음을 안정적으로 모의하였다. 또한 EGR 기법에 의한 생성/소멸항을 천수방정식에 추가하여 내수침수 해석 모듈을 반영하였다. 내수침수와 하천범람을 동시에 모의하는 경우 침수와 범람에 의한 흐름의 상쇄효과와 중첩효과를 보다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개별합으로 산정한 결과에 비해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두만강 하구 녹둔도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 (Geographical Study on the Location of Nokdun-do in Lower Tuman River)

  • 이옥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44-359
    • /
    • 2004
  • 본 연구는 과거 우리 선조들의 거주지였으나 현재는 러시아의 실효적 지배 하에 있는 녹둔도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한 지리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각종 역사자료의 해석과 지도 분석, 위성영상분석(Landsat 7 영상)과 그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한 현장답사를 병행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조선조까지 녹둔도는 두만강 하구에 있는 섬으로 북방방어의 전초기지였으며 경흥지방의 주민들이 개척한 경작지가 넓어 선조 때 일시 둔전도 설치되었던 우리의 영토였다. 조선 후기 러시아로의 연육과 북경조약으로 인해 부당하게 러시아 영토로 귀속되었지만. 스탈린에 의한 강제이주가 있기까지 녹둔도 일대는 여전히 우리 선조들의 삶의 터전이었고 실질적인 우리의 영역이었다. 지금은 두만강의 범람과 퇴적작용으로 하구의 지형이 크게 바뀌어 녹둔도 본래의 모습을 알 수 없으나, 고기록을 근거로 한 현장탐구 결과, 논밭의 이랑, 집터, 연자방아 등 우리 선조들의 자취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 초기에 구축된 토축(토성)으로 추정되는 구조물을 확인함으로써 초기 녹둔도의 정확한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금강 하구의 장기 관측 자료 분석 (Analysis of Long-Term Monitoring Data From the Geum River Estuary)

  • 정용훈;김영태;채윤주;이충원;고경란;김소영;정주영;양재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3호
    • /
    • pp.139-144
    • /
    • 2005
  • 금강 하구 해수의 장기적 수질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의 일부로서, 하구 내 고정점에서 1996년 6월부터 2004년 4월까지 매일 관측한 수질 변화 자료를 다양한 통계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금강 하구 내 수질은 금강 담수의 유입에 의한 요인(요인 $1: 28.3\%$), 퇴적물의 재부유나 도시 하수의 유입에 따른 질산화과정 등을 포함하는 화학적인 요인(요인 $2: 18.6\%$),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으로 대표되는 생물학적인 요인(요인 $3; 13.5\%$)에 의하여 $60\%$이상이 결정되었다. 조사 기간을 평균할 때 담수의 유입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량이 평균치거나 혹은 보다 적을 때 금강 유량이 더욱 효과적으로 금강 하구 내 환경 인자에 영향을 주었다. 반면 요인 2와 요인 3은 계절적으로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원인은 생물 활동의 시기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04년 금강 하구 내 엽록소-a의 대증식 기간에는 요인 3인 생물학적인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학적 요인의 대표적인 인자인 엽록소-a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금강 하구 내에서 엽록소-a의 농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 인자는 인산염과 N/P 비율로 나타났다. 파라서 갈수기(특히, 봄철) 동안 인산염은 금강 하구 내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는 인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Landsat 시계열 영상을 이용한 한강 수계 호수 수온과 계절적 성충 현상 분석 (Analysis of Lake Water Temperature and Seasonal Stratification in the Han River System from Time-Series of Landsat Images)

  • 한향선;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3-271
    • /
    • 2005
  • Landsat 시계열 영상과 실측수온자료를 이용하여 한강 수계 댐호들의 표면수온과 계절적 성층현상을 분석하였다. 1994년에서 2004년까지 29회에 걸쳐 얻어진 Landsat-5, 7 열적외선 영상으로부터 NASA 경험식을 이용하여 호수의 표면수온을 추출하였고, 이를 하천형 댐호인 파로호, 춘천호, 의암호, 청평호, 팔당호의 표층수온, 그리고 호소형 댐호인 소양호의 상층수온(수심 10m) 자료와 비교하였다. 십 수 년간 매월 1회 측정된 수온자료를 위성관측 날짜에 보간하여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하천형 댐호들에서는 수온오차(위성관측수온-실측보간수온)의 표준 편차가 $2^{\circ}C$ 이하인 영상이 94개로서, 새로운 통계적 대기보정을 적용할 수 있었다. 실측보간수온과 위성관측수온의 상관계수는 소양호가 0.915 (대기보정 후 0.950), 다른 호수는 0.951-0.980 (대기보정 후 0.979-0.997)로서,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수심이 얕고 인위적인 물의 유입과 유출이 연중 계속되는 하천형 댐호의 표층에는 혼합층이 상시 존재하고 수온의 일변화 및 월변화가 비교적 연속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소양호에서는 4-7월에 위성관측수온이 실측보간수온보다 $3-5^{\circ}C$ 더 높게 나타나는 이상 수온오차가 관찰되었다. 한강 수계의 최상류에 위치하며 수심이 깊고 자연적인 유입량만이 존재하는 소양호에서 이 시기는 상층수의 물리적 혼합현상이 없이 매우 안정적이고, 일조량 증가에 따라 호수 상층부에 수온약층이 발달하기 때문에, 수심 10m에서 측정된 실측수온보다 위성으로 관측된 표면수온이 연중 비교적 건조한 이 시기에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베인 형태에 따른 하상세굴 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Reduction Effect of Riverbed Scour due to Shape of Vanes)

  • 노해민;이호진;김성덕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57-63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집중호우와 슈퍼태풍은 우리나라에서 많은 피해를 야기한다. 이러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하천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홍수기와 갈수기가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하천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특히, 하천정비 사업으로 설치된 하천구조물은 홍수기에 구조물 및 그 기초의 세굴이 발생되고 하상 변화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하상세굴을 저감하기 위하여 하천의 만곡부에 다양한 베인이 많이 설치되며, 베인의 배치와 크기, 모양에 따라서 다양한 하상세굴 저감 효과가 나타난다. 베인은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2차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2차 흐름을 다시 생성함으로써 외측 하상 주변의 세굴이 감소하고 퇴적이 촉진된다. 본 연구의 이론은 질량보존법칙을 만족하는 연속방정식과 운동량 보존을 만족하는 운동량방정식을 적용한 지배방정식을 이용하고, 다양한 조건 하에서 베인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설계 요인에 따라 전체 평균 유속 변화율을 측정한다. 사다리꼴 베인과 사각형 베인 모두에서 평균유속과 횡단면 유속이 모두 감소하였고, 이는 베인 설치로 인해서 원심력을 갖고 유하하는 하천유속이 방해를 받아 유속이 저감되기 때문이다. 또한, 하천흐름 방향에 수직으로 또는 경사적으로 설치된 베인은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2차흐름의 역방향으로 2차흐름을 발생시켜 원심력 2차흐름의 상쇄를 나타내기 때문에 베인의 효과가 나타난다.

팔당호에서 겨울철새 분변에 의한 질소와 인 오염부하량 산정 (Estimating the Nitrogen and Phosphorus Loads of Wintering Waterfowl Feces in Lake Paldang)

  • 이장호;박혜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1-316
    • /
    • 2010
  • We estimated the nitrogen and phosphorus loads of wintering waterfowl feces in Lake Paldang.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 birds that belonged to Anatidae species was 2,852.5 from 2005 to 2008 in Lake Paldang. The number of Anatidae reached 97.4%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 birds. For evaluating the loading amounts of N and P by waterfowl to Lake Paldang, the feces dry weight (g/day) of each Anatidae species was estimated by multiplying the body weight of the each bird by 2.25% and assumed that N and P in feces contain 1.46% and 0.33%, respectively. We assigned probability 1/3 to the nutrient decomposition of the bird feces in water. The nitrogen loading by wintering waterfowl feces was 0.06 ton/year and the phosphorus loading was 0.001 ton/year. These amounts were 0.0002% of all N loadings and 0.0001% of all P loadings. Therefore the wintering waterfowl might have little impact on the water quality in terms of eutrophication in Lake Pald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