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matter yields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9초

간척지에서 주요 여름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 of Dry Matter and Feed Value of Major Summer Forage Crops in the Reclaimed Tidal Land)

  • 신재순;김원호;이승헌;윤세형;정의수;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5-340
    • /
    • 2004
  • 본 시험은 충청남도 당진군에 소재한 대호간 척지내 시험포장에서 전작물로 벼 재배된 곳을 밭으로 전환하여 공시 초종으로 옥수수 2품종 (수원19호, P3156), 수수$\cdot$수단그라스 2품종 (Jumbo, Speedfeed) 그리고 청예용 피 1품종(제주재래종)를 2002년에서 2003년까지 2년간 수행되었다. 각 작물재배구의 계절별 토양 염류토는 각 작물구 모두 생육초기에는 낮게 유지한 후 기온상승과 함께 약간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장마 후 수확기에는 다시 낮아졌다. 건물수량은 사료용 피가 가장 높았으며 수수x수단그라스 교잡종 그리고 옥수수 순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수수\cdot$수단그라스 교잡종이 가장 높았으며, NDF 함량과 ADF 함량은 사료용 피>수수$\cdot$수단그라스 교잡종>옥수수 순으로 높았으며, 식물체 중 나트륨(Na) 함량은 사료용 피가 옥수수나 수수$\cdot$수단그라스 교잡종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간척농지를 밭으로 전환하여 시험한 결과는 사료가치는 다소 낮지만 생육상황, 건물생산성면에서 사료용 피가 가장 적합한 여름철 사료작물이라 사료된다.

사료자원으로서 Chufa (Gyperus esculentus L.)의 생장특성과 사료가치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Chufa (Cyperus esculentus L.) for Forage Resource)

  • 이성규;황의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02
  • Chufa(Cyperus esculentus L.)는 고온성 사초과 식물의 일종으로 여름기간에 잘 자란다. 지상부는 주로 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부는 수염뿌리가 뭉쳐 나있고 끝에 괴경이 달린다. 파종 당년에는 출수가 되지 않고 괴경을 많이 생산한다. 번식은 괴경에서 분얼이 많이 나오는 영양번식을 하며 이 분얼이 다발모양(bunch type)의 포기를 형성한다. 성숙기의 초고는 73~75cm 전후이며 7월 중순에 거의 성장이 완료된다. 포기당 분얼의 수는 7월말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8월 이후는 서서히 증가하지만 생장이 빈약하였다. 지상부의 최종 생초수량은 40.3ton/ha, 건물수량은 12.2ton/ha이다. 재생력은 생장초기에는 강하지만 2회 예취후는 재생력이 급격히 떨어진다. 무예취구에서 최종 수확기의 포기당 괴경의 수는 722개, 1$m^2$ 당 생체량은 4.2kg, 건물량은 1.9kg이었다. 예취구의 경우 괴경의 생산량은 예취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8월 이후에는 이미 괴경생산이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보였다. chufa의 영양생장기 지상부 사료가치는 우수하였으나 생장이 진행될수록 낮아졌다. 최종 수확한 지상부의 조단백질, NDF, ADF, DMD, TDN 함량은 각각 6.1%, 81.5%, 39.8%, 33.2%39.40%, 괴경의 영양성분은 각각 6.0%, 68.3%, 15.5%, 50%, 51.8%였으며, 특히 지방 함량은 16.2%로 높았다.

우량품종 선발을 위한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 평가 (Evaluati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Forage Rye for High-Yielding)

  • 신정남;고기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1-206
    • /
    • 2004
  • 본 시험은 가을에 파종한 조, 만생품종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알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002년 10월 3일과 2003년 10월 8일에 조생품종인 Koolgrazer을 대조품종으로 조생품종 9909, Ol-homil 및 Jlee select와 중생품종인 Homil 22 그리고 만생품종인 Danko, Kior, Amilo 및 Spooner을 각각 파종하였으며, 2003년 4월 22일과 2004년 4월 23일에 각각 수확하였다. 내도 복성은 조중생품종이 만생품종보다 다소 낮았다. 초고는 조중생품종이 만생품종 보다 길었다. $50\%$ 출수일은 조생품종이 2년 평균 4월 14일이었던 반면에 만생품종이 4월 24일로서 조생품종이 10일이나 더 빨랐다. CP 함량은 만생품종이 조생품종보다 높았으며, ADF와 NDF 함량은 조생품종이 높았다. 건물수량은 1년차 시험에서 조생품종Jlee select가 가장 높았으며(p<0.05), 9909와 Koolgrazer는 유사하였고, 중만생품종 Homil 22, Danko, Kior, Amilo 및 Spooner는 조생품종 보다 낮았다. 2년차 시험에서는 조생품종인 9909가 가장 높았으며(p < 0.05), Koolgrazer와 Ol-homil은 비슷하였고 Jlee select는 낮았고, 만생품종 Danko, Kior, Amilo 및 Spooner는 조생품종 보다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2모작 작부체계에서 추파용 호밀은 조생품종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목초 단, 혼파군락에서의 초형구조와 광이용성 및 건물수량생산성 (Canopy Structure and Light Interception as Related to Forage Growth and Dry Matter Production in Pure and Mixture Stands.)

  • 이호진;윤진일;이광회;임근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72-279
    • /
    • 1983
  • 초지군락에서 광이용과 건물생산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오차드그라스, 라디노클로버의 각 단파초지와 오차드-라디노혼파초지, 화본료ㆍ두료의 다혼파초지에 동일한 예취관리를 하고 재생기 1-2주 간격으로 초지구조와 백사광의 투과, 초지의 생장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초지는 예취후 6주경에 최대의 초형을 이루었고, 오차드그라스 단파구는 직립형, 라디노클로버는 역삼각형, 오차드-라디노혼파구는 중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었으며, 다혼라구는 초고가 높고 상하에 고른 엽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2) 봄 재생기동안 엽면적지수(LAI)는 다혼파구에서 높았으나 엽면적밀도(L$_{v}$ )는 라디노클로버가 다혼파구보다 더 높아 엽의 밀집화가 심하였고, 가을재생기에는 LAI가 오차드그라스 단파구와 오차드-라디노혼파구에서 높았고, L$_{v}$ 역시 이들 구에서 높았다. 3) 각 초지의 광소멸계수는 오차드그라스단파구가 0.29-0.43으로 라디노클로버단파는 0.70-0.74, 그리고 오차드-라디노혼파구 및 다혼파구는 0.43-0.58을 나타내어 각각 직립엽형, 수평엽형 및 중간엽형으로 특징 지울 수 있었다. 4) 건물수량은 LAI와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고, 한계 LAI는 오차드그라스단파구가 가장 높았고, 라디노클로버단파구가 가장 낮았다. 한편, 적정 LAI는 오차드그라스단파구는 6이상, 라디노클로버 단파구는 3.8, 오차드-라디노혼파구는 5.0, 그리고 다혼파구는 8.0정도이었다. 5) 각 초지의 생장속도는 오차드그라스는 가을재생기에 높았으며, 다혼파구는 가을보다 봄에 현저히 높았으나 라디노클로버는 계절간 차이가 없었다. 6) 다혼파구 및 오차드-라디노혼파구가 초형구조가 양호하였고, 광이용이 향상되었다.

  • PDF

석회시용(石灰施用)이 Alfalfa(Medicago sativa L.)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Lime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Alfalfa(Medicago sativa L.))

  • 최원석;김무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5-153
    • /
    • 1995
  • 우리나라 기후풍토(氣候風土)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는 Al-falfa의 3개품종(個品種)(Dekalb brand 120, Pike, Pioneer brand 5929)에 석회(石灰)를 10a당(當) 무시비(無施肥), 10, 50, 100, 300kg 수준(水準)으로 시용(施用)한 실험(實驗)을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수원(水原)캠퍼스에서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여 보면 품종별(品種別) 초장생육(草長生育)은 Dekalb brand 120품종(品種)에 내한 석회시용(石灰施用)의 효과(效果)는 50kg>100kg>300kg>10kg>무시비구(無施肥區) 순(順)으로, Pike 품종(品種)은 50kg>100kg>10kg>300kg>무시비구(無施肥區) 순(順)으로 그리고, Pioneer brand 5929 품종(品種)은 10kg>50kg>300kg>무시비구(無施肥區)>100kg순(順)으로 초장생육(草長生育)이 좋았으며 건물수확량(乾物收穫量)은 Dekalb brand 120 품종(品種)은 50kg>300kg>100kg>10kg>무시비구(無施肥區) 순(順)으로, Pike 품종(品種)은 50kg>10kg>300kg>100kg>무시비구(無施肥區) 순(順)으로, 그리고 Pioneer brand 5929 품종(品種)은 50kg>100kg>10kg>무시비구(無施肥區)>300kg순(順)으로 수량(數量)이 많았다. 다수확(多收穫)은 석회(石灰)의 시용량(施用量)을 공시(共試) 품종(品種) 공히 10a당(當) 50kg 비율(比率)로 시용(施用)한 구(區)에서 나타났으며 수확(收穫)한 식물체내(植物體內)의 무기물(無機物) 성분함량(成分含量)은 석회시용(石灰施用)과 예취시기(刈取時期)와는 일정(一定)한 양상(樣相) 및 유의성(有意性)의 변화(變化)는 없었다. 작물(作物)을 수확(收穫)한 후사용(後使用)한 토양(土壤)의 특성(特性) 및 성분함량(成分含量)에 있어서도 일정(一定)한 양상(樣相)의 변화(變化)는 없었으며, 토양(土壤) pH는 석회(石灰)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비례적(比例的)으로 토양(土壤)이 중성(中性) 및 알카리성화 하였다.

  • PDF

경북지역에서 여름 파종 수수류 교잡종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Summer Sowing Sorghum Hybrids in Gyeongbuk)

  • 신정남;고기환;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9-104
    • /
    • 2015
  • 본 시험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여름 파종 수수류 교잡종의 생육특성, 품질 및 수량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로 품종을 처리로 한 6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파종기는 2013년과 2014년 7월 31일에 조파하였고 수확은 2013년 11월 3일과 2014년 11월 5일에 하였다. 출수기는 2년 평균이 sordan79 10월 5일 sprint 10월 8일 SX17 10월 9일 순으로 조사되었고, 2013년 수수류 교잡종의 DM수량은 SX17, Sordan79 및 Sprint 가 각각 24.2, 23.9 및 23.4톤/ha으로 SS405, PACF8350 및 Sugar grazer 21.5, 20.6 및 20.5톤/ha 보다 높았으며 (p<0.05), DDM수량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014년 DM수량은 SX17, Sordan79 및 Sprint가 20.8, 19.3 및 20.0톤/ha로 다른 3품종 보다 높았으며(p<0.05), DDM수량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ADF와 NDF의 함량은 비교적 낮았으며 반면에 DDM 함량은 높아 사료가치가 우수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여름 파종 시 전통형(출수형)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SX17, Sordan79와 수단그라스-수단그라스 교잡종 Sprint가 늦은 개화형(비출수형)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PACF8350이나 수수-수수교잡종 SS405와 Sugar grazer 보다 수량측면에서 남부지방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Reed Canarygrass 초지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연구 III. 수확시기가 주요 Reed Canarygrass 목초의 수량과 사료가치 및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ed Canarygrass III.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dry matter yeild, nutritive value, and weed development in four cultivars of reed canarygrass pasture)

  • 서성;이종경;신동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2-117
    • /
    • 1995
  • A field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arvest time (grazing, soiling and hay stage) on the grass growth, dry matter (DM) yield, nutritive value, and weed development in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pasture. The cultivars of reed canarygrass used in this study were Palaton, Venture, Castor, and Frontier (control). The grass was harvested 3 times at hay stage, 4 times at soiling stage, and 6 times at grazing stage in 1992. The average plant height was 31-41cm at grazing, 47-59cm at soiling, and 76-86cm at hay stage. Similar DM yield was observed in Palaton(12,567 kglha), Venture(l2,435kg), and Frontier(12,762kg), and the yields of 3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astor(ll,025kg) (P<0.05). Total yields affected by harvest time were lO,O6 1, 1 1,832, and 14,699 kg/ha at grazing, soiling, and hay stage, respectively(P<0.05).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C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ultivars. CP contents by harvest time were 21.6% at grazing, 19.3% at soiling, and 18.8% at hay stage, regardless of cultivm(P<0.05). The contents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were similar among cultivars and harvest time. However, slightly higher NDF and ADF contents were found in Frontier. The contents of Ca, P, K, and Mg were not affected by cultivars and harvest time. The appearance of weeds was high in Castor, and low in Frontier. The weeds at grazing stage(33.3-60.0%)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at soiling and hay astage (ca 10%).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3-4 times (soiling and hay stage) of harvest was recommended for grass production, nutritive value, and weed control in reed canarygrass pasture, regradless of cultivars of Palation, Venture and Frontier, except Castor.

  • PDF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in the nutritive value of pasture vegetation and supplement feedstuffs for domestic ruminants in Western Kenya

  • Onyango, Alice Anyango;Dickhoefer, Uta;Rufino, Mariana Cristina;Butterbach-Bahl, Klaus;Goopy, John Patric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5호
    • /
    • pp.637-647
    • /
    • 2019
  • Objective: The study aimed at quantifying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in availability and nutritive value of herbaceous vegetation on native pastures and supplement feedstuffs for domestic ruminants in Western Kenya. Methods: Samples of herbaceous pasture vegetation (n = 75) and local supplement feedstuffs (n = 46) for cattle, sheep, and goats were collected in 20 villages of three geographic zones (Highlands, Mid-slopes, Lowlands) in Lower Nyando, Western Kenya, over four seasons of one year. Concentrations of dry matter (DM), crude ash (CA), ether extract (EE), crude protein (CP), neutral detergent fibre (NDF), gross energy (GE), and minerals were determined. Apparent total tract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dOM) was estimated from in vitro gas production and proximate nutrient concentrations or chemical composition alone using published prediction equations. Results: Nutrient, energy, and mineral concentrations were 52 to 168 g CA, 367 to 741 g NDF, 32 to 140 g CP, 6 to 45 g EE, 14.5 to 18.8 MJ GE, 7.0 to 54.2 g potassium, 0.01 to 0.47 g sodium, 136 to 1825 mg iron, and 0.07 to 0.52 mg selenium/kg DM. The dOM was 416 to 650 g/kg organic matter but differed depending on the estimation method. Nutritive value of pasture herbage was superior to most supplement feedstuffs, but its value strongly declined in the driest season. Biomass yields and concentrations of CP and potassium in pasture herbage were highest in the Highlands amongst the three zones. Conclusion: Availability and nutritive value of pasture herbage and supplement feedstuffs greatly vary between seasons and geographical zones, suggesting need for season- and region-specific feeding strategies. Local supplement feedstuffs partly compensate for nutritional deficiencies. However, equations to accurately predict dOM and improved knowledge on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tropical ruminant feedstuffs are needed to enhance livestock production in this and similar environments.

버뮤다그라스 초지에 보파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시기가 목초생산성과 식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ates of Italian Ryegrass Interseeded into Bermudagrass Sod on the Forage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Italian Ryegrass and Bermudagrass)

  • 박남건;황경준;이종언;김남영;박형수;고문석;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3-388
    • /
    • 2011
  • 본 시험은 버뮤다초지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시기가 목초생산성 및 식생변화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 9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해발 200 m에 위치한 제주도 제주시 오등동에 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방목초지(해발 200 m)에서 수행되었다.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초지에서 시험구를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파종전 버뮤다그라스 목초를 초장이 2~3 cm 정도 높이로 예취를 한 후 파종을 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은 9월 15일, 9월 30일 및 10월 15일에 조파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수량은 9월 15일 파종구가 가장 수량이 높았으며, 10월 15일 및 9월 30일 파종구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파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버뮤다그라스의 건물수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버뮤다그라스는 8월에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식생변화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발아 후 초기 생육기에 경합이 이루어져 초기생육이 부진하게 나타났으나, 이듬해 봄에 기온이 상승하면서 6월까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위주의 식생을 보이다가 고온기에 들어서면서 버뮤다그라스 위주의 식생구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버뮤다그라스 목초지에 동계 사료작물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은 양질의 조사료를 생산하고 목초지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호밀의 사초특성,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파종량 및 파종기의 영향 (Seeding Rate and Planting Date Effects on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Winter Rye)

  • 박형수;김동암;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5-114
    • /
    • 1999
  • 본 시험은 파종량 및 파종시기가 추파 호밀(Secale cereale L.)의 사초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7년에서 1998년 4월 20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실험목장 사초 시험 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파종량으로서 ha 당 100, 150 및 200kg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로서 9월 5일, 9월 20일, 10월 5일 및 10월 20일 파종을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호밀의 출수 시작일은 파종기에 따라서 뚜렷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일 기준으로, 파종시기가 15일 지연됨에 따라 출수 시작일이 1일 지연되어짐으로서 호밀의 출수시작일과 파종시기간에는 1:15 비율이 나타났다. 호밀의 건물 함량은 파종량간에는 200 kg/ha 파종구에서 13.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파종시기간에는 각각 15.2, 14.2, 14.3 및 13.8%로 파종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건물 함량이 낮아졌으며 (P<0.05), 호밀의 건물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고도의 교호작용(P<0.01)이 인정되었다. 호밀의 ADF 함량은 파종량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간에는 각각 32.2, 31.6, 31.6 및 29.3%로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함량이 낮아졌으며,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다. 또한 NDF 함량도 ADF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조단백질(CP) 함량은 파종량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각각 17.3, 17.7, 18.2 및 18.9%로 증가하였다. In vitro 건물소화율(IVDMD)도 파종량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각각 77.5, 80.6, 80.9 및 80.9%로 증가하였다. 호밀의 건물수량은 100 kg/ha 파종구가 9,059 kg/ha로 가장 높았고 200kg/ha 파종구가 7,647 kg/ha로 가장 낮았다(P<0.01). 파종시기간에는 10월 5일 파종구(8,945 kg/h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월 20일 파종구(7,249 kg/ha)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또한 호밀의 건물 수량에 대하여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다(P<0.01). CP 및 IVDDM 수량도 건물 수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 나라 중부지방에서 사초용 호밀을 재배시 건물 수량의 증수를 위해서 파종은 9월 20일에서부터 10월 5일 사이에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며 조기 파종할 경우 100~150kg/ha, 만기 파종할 경우는 200 kg/ha로 파종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