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matter yields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6초

Growth of Rice Plant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s Affected by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in Milk Vetch(Astragalus sinicus L.) Cultivation in Paddy Field

  • Lee, Yeen;Shin, Hae-Ryong;Kim, Suk-Wean;Kwon, Oh-Do;Park, Heung-Gyu;Kim, Yong-Ja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n rice growth, yields and soil improvement under the different nitrogen levels in machine-transplanted rice after plowing at the fruiting stage of milk vetch. The fresh weight of milk vetch at plowing time was 20.95 ton/ha. In dry weight, T-N and C/N were 1.58%, 21.8%, respectively.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exchangeable calcium of soil after the experiment in the plot of milk vetch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experiment. Leaf area and dry weight of rice plants at heading date increased as nitrogen level increased. The number of panicle and spikelets per $\textrm{m}^2$were not different except for the 110 kg/ha nitrogen level plot with milk vetch. Brown rice yield ranged from 5.45 to 6.08 ton/ha, in creasing with increased nitrogen level. So the yield increased by 1% at 77 kg/ha nitrogen level, 7% at 110 kg/ha nitrogen level plot with milk vetch compared with conventional level (rice straw 5.4 ton/ha and nitrogen 110 kg/ha).

  • PDF

가축분뇨시용이 하계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Livestock Manure on Productivity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Summer Forage Crops)

  • 조익환;황보순;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21-434
    • /
    • 2008
  • 본 실험은 가축분뇨에 의한 유기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옥수수와 수수교잡종을 재배 시 가축분뇨의 종료와 시용수준을 달리하여 적절한 사료작물의 선발, 가축분뇨의 적정시용 수준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옥수수와 수수$\times$수수교잡종의 건물수량, 조단백질(CP) 수량 및 가소화양분(TDN) 수량은 무비구가 ha 당 각각 8.4, 0.33 및 5.1 톤 그리고 8.6, 0.46 및 4.7 톤/ha으로 모든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낮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고(p<0.05), 질소, 인산 및 칼리를 시용한 처리구가 ha 당 15.9, 0.77 및 10.6 톤 그리고 14.6, 0.78 및 8.0톤으로 가장 높았다. 한편 옥수수의 경우, 발효우분과 액상 우분뇨를 $100{\sim}150%$ 시용한 구는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이 ha당 각각 $9.8{\sim}11.0$, $0.5{\sim}0.6$$7.0{\sim}7.4$톤 그리고 $10.2{\sim}12.3$, $0.53{\sim}0.67$$6.9{\sim}8.8$톤으로 무비구및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10.7, 0.44 및 6.8톤/ha) 보다 높았다. 수수 교잡종은 액상우분뇨 $100{\sim}150%$ 시용구가 ha 당 각각 $12.6{\sim}13.3$ $0.65{\sim}0.74$$6.8{\sim}7.1$톤으로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다음으로 발효우분 150% 시용수준에서 ha 당 각각 12.4, 0.66 및 6.5톤을 나타내었고 발효우분 100% 시용구(11.1, 0.62 및 5.8톤/ha)와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11.0, 0.54 및 5.3톤/ha) 순으로 낮아졌다(p>0.05). 유기 한우 암소 육성우 약 450kg을 일일 증체 400g 목표로 하여 옥수수를 유기 사료 자원으로 70% 급여할 시에 필요로 하는 조단백질과 TDN 함�c을 감안할 때, 질소, 인산 및 칼리를 시용한 처리구는 ha 당 각각 연간 4.9와 8.4두(평균 6.7두)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다음으로 액상우분뇨 150% 시용구(평균 5.6두) > 발효우분 150% 시용구(평균 4.8두) > 액상우분뇨 100% 시용구(평균 4.4두) > 발효우분 100% 시용구(평균 4.3두) >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평균 4.1두) >무비구(평균 3.1두) 순으로 낮아졌다. 한편 수수교잡종의 경우에는 질소, 인산 및 칼리를 시용한 처리구가 ha 당 각각 연간 5.0과 6.3두(평균 5.7두)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지만 액상우분뇨 $100{\sim}150%$ 시용구의 ha 당 각각 연간 평균 $4.8{\sim}5.2$두와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다음으로는 발효우분 150% 시용구(평균 4.7두) > 발효우분 100% 시용구(평균 4.3두)>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평균 3.8두) > 무비구(평균 3.4두) 순으로 유기가축 사육능력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료작물 재배토양에 인산과 칼리 등 화학비료 대신 가축분뇨의 시용은 사초의 건물 및 가소화양분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간 유기가축 사육능력도 증대하여, 가축분뇨재활용을 통한 유기조사료의 생산은 환경오염 감소와 자원순환형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호맥.Sorghum-sudangrass 및 연맥 사료작물의 젖소 방목이용에 관한 연구 (Grazing Utilization of Winter Rye , Sorghum-sudangrass and Oat for Dairy Cattle)

  • 김정갑;한민수;김건엽;진현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2-197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azing performance of dairy cattle for winter rye, sorghum-sudangrass hybrid and oat including of rape in Hwa seong-gun, Kyeonggido, from 1993 to 1994. Each crops were utilized from the stage of 8-leaves to late blooming for sorghum-sudangrass, and from final leaves to soft dough for winter rye and oat plant. Under three different cropping system of winter rye-sorghum x sudangrass, spring oat-sorghum X sudangrass-autumn oat, and silage corn-autumn oat, a succeshl hehage production was available for grazing performance from April 26 to December 15, continuously. Annual dry matter yields for grazing allowance were 26.1 tontha in average of all cropping system. Autumn oat rnixtured with rape showed the highest herbage utilization with 91.6% grazing intensity and the lowest in sorghum-sudangrass with a value of 60.6- 69.1 %. Labor investment for herbage production were 805 hour in the cutting management and 339 hour per hectar in the grazing utilization.

  • PDF

우분뇨 시용이 하계사료작물의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Cattle Manure on Carrying Capacity of Organic Livestock per Unit Area of Summer Forage Crops)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5-198
    • /
    • 2011
  • 본 실험은 가축분뇨에 의한 유기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옥수수와 사초용 수수를 재배 시 가축분뇨의 종료와 시용수준을 달리하여 적절한 사료작물의 선발, 가축분뇨의 적정 시용 수준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는데, 옥수수와 사초용 수수의 건물수량, 조단백질(CP) 수량 및 가소화양분(TDN) 수량은 무비구가 ha 당 각각 8.5, 0.30 및 4.6톤 그리고 8.1, 0.34 및 4.3톤/ha으로 모든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낮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고(p<0.05), 질소, 인산 및 칼리를 시용한 처리구가 ha 당 18.7, 1.02 및 14.3톤 그리고 22.8, 1.02 및 12.2톤으로 가장 높았다. 한편 옥수수의 경우, 액상 우분뇨와 발효 우분을 100~150% 시용한 구는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이 ha 당 각각 11.4~13.2, 0.63~0.73 및 8.3~9.2톤 그리고 11.1~11.8, 0.45~0.48 및 7.6~8.0톤으로 무비구 및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8.8, 0.48 및 6.9톤/ha) 보다 높았다. 사초용 수수도 액상 우분뇨 100~150% 시용구가 ha 당 각각 13.7~18.1, 0.50~0.81 및 7.1~9.7톤으로 다른 처리구 보다 높았으며 다음으로 발효우분 100~150% 시용수준에서 ha 당 각각 12.0~14.7, 0.46~0.53 및 6.6~7.7톤을 나타내어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9.5, 0.38 및 5.1톤/ha)와 무비구 보다 높았다. 유기 한우 암소 육성우 약 450kg을 일일 증체 400g 목표로 하여 옥수수를 유기 사료 자원으로 70% 급여할 시에 필요로 하는 조단백질과 TDN 함�c을 감안할 때, 액상 우분뇨 150% 시용구(각각 4.7과 7.3 및 평균 6.0두)>액상 우분뇨 100% 시용구(각각 4.1과 6.6 및 평균 5.3두)>발효우분 150% 시용구(각각 3.1과 6.3 및 평균 4.7두)>발효우분 100% 시용구(각각 2.9와 6.0 및 평균 4.4두)>무비구(각각 1.9와 3.6 및 평균 2.8두) 순으로 낮아졌다. 한편 사초용 수수의 경우에는 액상 우분뇨 150% 시용구(ha 당 각각 연간 5.2와 7.7 및 6.4두)>발효우분 150% 시용구(각각 3.4와 6.1 및 평균 4.8두)>액상 우분뇨 100% 시용구(각각 3.2와 5.6 및 평균 4.4두)>발효우분 100% 시용구(각각 2.9와 5.2 및 평균 4.1두)>무비구(각각 2.2와 3.4 및 평균 2.8두) 순으로 유기가축 사육능력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료작물 재배토양에 인산과 칼리 등 화학비료 대신 가축분뇨의 시용은 사초의 건물 및 가소화양분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간 유기가축 사육능력도 증대하여, 가축분뇨재활용을 통한 유기조사료의 생산은 환경오염 감소와 자원순환형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지초지개발을 위한 다량요소의 적정 시비비율 및 시비량 결정에 관한 연구 I. 혼파초지에서 음이온 N:S:P 및 양이온 K:Ca:Mg 적정시비비율 (The Optimal Combination and Amount of Major Nutrients Computed by the Homes Systematic Variation Technique for the Hilly Pasture Development I.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combinations of anions N:S:P and cations K:Ca:Mg in fertilation on a grass-clover mixed sward)

  • 정연규;김성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6-33
    • /
    • 1989
  • 산지초지개발과 聯關된 草地士壞개랑 및 施肥法改攻善을 馬하여 Homes의 Systematic variations 方法으로 多量要素 anions N : S : P 및 Cations K : Ca Ca:Mg 적정비료비율J인比率 (當量基準) 을 決定코자 山地 土爆을 공시한 Pot試驗으로 Orchardgrass-Ladino clover混播條件에서 수행한 결과는 1. 混播條件에서 各構成훌種別 最高收量을 얻기 위한 적정비료比率을 求하였다(Table 4), 大略的으로 未本科목초는 N: S : P=3: 1 : I, K: Ca: Mg= 1 1 : 1, 두과목초는 N : S : P= 1 : 6 : 43, K: Ca : :Mg=I:3: 1을 보였고, 그리고 混슴收草에서는 未本科목초의 境遇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 混播條件에서 건물收量은 未本科 및 혼합목초에서는 N> P> S-group 및 $K\geq$Ca$\geq$Mg-group 순으로; 두과목초는 P> S> N-group과 Ca > $Mg\geq$K-group 순으로 높았다. 特히 未本科救草는 N-group에서 荳科목초는 P~및 Ca-group에서 수량이 매우 높았다. 3. 士壞의 pH는 S-group 에서 낮아졌고 (5.9->5.3). Ca, Mg-group에서는 높아졌다(5.9->6.7). 그리고 Ca-group에서 유효$P_2O_5$,含量, CEC 및 염기포화도가 상대적으로 제일 높았다. 4. 未本科 및 혼합목초는 N-group에서 높은 N 含量과 낮은 P함량을 보였고, 낮은 P함량으로 Ca/P 比가 anion-group 中 第一 높은 2.15를 보였다. 두과목초에서는 Ca - group 에 서 第一 높은 9.20을 보였다. 두과목초에서는 未本科목초보다 相對的으로 Ca Mg함량이 높아 Ca/P 比가 높고, K/(Ca+Mg) 當量 比가 낮은 特性을 보였다. 5.. 無機養分收量과 건물收量間에는 各處理別 증수효과의 差異를 보였다. 목초중 各無機養分의 收量提高를 위한 多量要素의 적정시비比率을 求하였고. 이는 건물收量의 境遇와는 差異가 있었다 .. K-와 Mg-group間에는 길항적인 Mg 및 K收量 減少을 보였다.

  • PDF

Production responses of Holstein dairy cows when fed supplemental fat containing saturated free fatty acids: a meta-analysis

  • Hu, Wenping;Boerman, Jacquelyn P.;Aldrich, James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105-1116
    • /
    • 2017
  • Objective: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l fat containing saturated free fatty acids (FA) on milk performance of Holstein dairy cows. Methods: A database was developed from 21 studies published between 1991 and 2016 that included 502 dairy cows and a total of 29 to 30 comparisons between dietary treatment and control without fat supplementation. Only saturated free FA (>80% of total FA) was considered as the supplemental fat. Concentration of the supplemental fat was not higher than 3.5% of diet dry matter (DM). Dairy cows were offered total mixed ration, and fed individuall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andom- or mixed-effects models with Metafor package in R. Results: Sub-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tudies between randomized block design and Latin square/crossover design for dry matter intake (DMI) and milk production responses to the supplemental fat (all response variables, $p{\geq}0.344$). The supplemental fat across all studies improved milk yield, milk fat concentration and yield, and milk protein yield by 1.684 kg/d (p<0.001), 0.095 percent unit (p = 0.003), 0.072 kg/d (p<0.001), and 0.036 kg/d (p<0.001), respectively, but tended to decrease milk protein concentration (mean difference = -0.022 percent unit; p = 0.063) while DMI (mean difference = 0.061 kg/d; p = 0.768) remained unchanged. The assessment of heterogeneity suggested that no substantial heterogeneity occurred among all studies for DMI and milk production responses to the supplemental fat (all response variables, $I^2{\leq}24.1%$; $p{\geq}0.166$). Conclusion: The effects of saturated free FA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Higher milk production and yields of milk fat and protein, with DMI remaining unchanged, indicated that saturated free FA, supplemented at ${\leq}3.5%$ dietary DM from commercially available fat sources, likely improved the efficiency of milk production. Nevertheless, more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the variation of production responses to different saturated free FA, either C16:0 or C18:0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potentially optimal ratio, when supplemented in dairy cow diets.

사초용유채 (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 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IV. 파종기가 사초용 유채의 생육특성 , 수량 및 영양가치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oductivity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Rape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IV. Influence of sowing time on growth, yield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rape.)

  • 안계수;권병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3-107
    • /
    • 1989
  • 남부지방에 적합한 사초용유채의 파종적기를 구명코자 다수성 품종으로 선별된 Velox를 공시하여 실험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분기수, 엽수등의 수량구성 형질은 9월중 하순에 파종한 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2. 생초수량과 건물수량도 역시 9월 중하순에 파종한 구가 증수되었다. 3. 조필자질 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높았고 NDF, ADF, cellulose 및 lignin 등의 조직유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저하되었다. 4. IVDMD은 일정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고 가소화건물수량은 9월 중하순에 파종한 구가 높았다.

  • PDF

육성연대가 다른 보리 품종의 형태와 생리적 특성 및 수량성 비교 (Comparison of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Traits of Barley Varieties Bred Different Year)

  • 남윤일;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2-418
    • /
    • 1985
  • 육성연대가 다른 보리품종의 생리, 형태적 특성변화와 수량성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육종 및 재배법개선의 기초자료로 삼고져 보리 9품종을 2시비수준에서 재배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년에 육성된 품종들은 과거에 육성된 품종들에 비하여 엽록소함량, 엽신질소함량, 근활력, 근중, 비엽중(SLW) 및 순동화율이 높은 반면 엽면적지수는 낮았다. 2. 근년에 육성된 품종의 건물생산은 NAR보다 LAI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나 과거에 육성된 품종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3. 엽층의 분포가 신품종들은 상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과거에 육성된 품종은 중상부에 집중되어 있었다. 4. 수량과 상관이 높았던 요인들은 엽록소함량, 근활력, 순동화율, 엽신질소함량 등이었으며,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분석에서 엽록소함량, 근활력, 지상부건물중이 회귀식에 들어갔을 때 분산의 90% 정도가 되었다.

  • PDF

Forage Yield and Quality of Summer Grain Legumes and Forage Grasses in Cheju Island

  • Kang, Young-Kil;Cho, Nam-Ki;Yook, Wan-Bang;Kang, Min-S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45-249
    • /
    • 1998
  • Soybean [Glycine max (L.) Merr.),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 cowpea [V. unguiculata (L.) Walp.], adzuki bean [V.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maize [Zea mays L.],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times$ sudangrass [So bicolor intraspecific hybrid], and Japanese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Link) W.F. Wight] were grown at two planting dates (18 June and 15 July) at Cheju in 1997 to select the best forage legumes adapted to Cheju Island for grass-legume forage rotation. Averaged across planting dates and cultivars,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s were 5,646, 1,056, and 3,637 kg/ha for soybean, 4,458, 676, and 2,661 kg/ha for mungbean, 3,289, 553, and 2,055 kg/ha for cowpea, 3,931, 674, and 2,489 kg/ha for adzuki bean, 12,695, 969, and 7,642 kg/ha for maize, 17,071, 1,260, and 8,857 kg/ha for sorghum, 16,355, 1,163, and 8,543 kg/ha for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and 8,288, 929, and 4,091 kg/ha for Japanese millet. Soybean was higher in CP, ether extract (EE), and TON content but was lower in nitrogen free extract content compared with the three other legumes. The legumes had much higher CP (13.7 to 21.9%), EE (2.42 to 6.23%), and TDN (58.7 to 69.9%) content but lower in crude fiber (CF) content (17.3 to 25.3%) than did the grasses tested except maize which had relatively lower CF content but higher TDN cont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ybean could be the best forage legume for grass-legume forage rotation in the Cheju region.

  • PDF

Alfalfa-Grass 혼파초지에 대한 3요소 시비 연구 II. 인산질비료의 시용수준이 alfalfa-grass 혼파초지의 건물 및 양분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N , $P_2O_5$ and $K_2O$-Application in the Mixed Sward of Alfalfa-Grass II. Effect of Phosphate fertilization levels on dry matter and nutrition yeild of forage in the mixed sward alfalfa-grasses)

  • 박근제;김영진;최기준;이필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7-52
    • /
    • 1996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osphate($P_2O_5$) fertilization levels on the dry matter(DM) yield, nutrition yield, and $P_2O_5$ efficiency of forages in mixed sward of alfalfa-grasses, a field experiment arranged by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five treatments(0, 50, 100, 150 and 200kg $P_2O_5$/ha) was conducted at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on, September, 1990 to Feb~ary, 1993. During two years, average DM yields of forages increased as $P_2O_5$ fertilization level was increas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M 10,754kg of $P_2O_5$ 150kg/ha and DM 10,845kg of $P_2O_5$ 200kg/ha. Cmde protein and energy productivity of forages increased as $P_2O_5$ fertilization level was increased, and the increasing degree was highest between $P_2O_5$ l00kg and 150kg/ha feriilization. With increasing $P_2O_5$ fertilization, mineral contents tended to increase in P, K and WCa+ Mg equivalent ratio, but not to be regular in the other elements. Efficiency of $P_2O_5$ was highest at $P_2O_5$ 150kg/ha fertilization, which produced DM 12.8kg. net energy lactation 75.4MJ. starch equivalent 6.lkStE,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8.6kg per Ikg $P_2O_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