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Matter Ratio

검색결과 739건 처리시간 0.026초

광환경이 잔디(Zoysia japonica)의 물질생산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 II. 차광율이 잔디의 물질생산과 성장해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Growth of Zoysia japonica under the Light Environment II. Effect of Dry Matter Production and Growth Construction of Zoysia japonica on a Shade Rate)

  • 도봉현;김광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3-81
    • /
    • 1992
  • 잔디(Zoysia japonica)의 1차 생산성과 광조건과 상호작용을 평가하고 생리생태학적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차광을 조절한 상태에서 인공군락의 물질생산과 성장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1. RGR은 각 시험구 공히 이식후 20일경까지의 생장과정에서 높게 나타나고 이후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율이 높고 광조사 시간이 짧을수록 이식후 초기생장부터 현저히 낮은 치를 보였다. 2. NAR은 이식후 초기생장과정에서 높은치를 보였고 이후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낮은 치를 나타내었으며 차광율이 높고 광조사 시간이 짧을수록 현저히 낮은 치를 보였다. 3. LAR은 Control구와 30% 차광구에서 이식후 초기생장과정에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50% 및 70% 차광에서는 이식후 40일 이후부터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LAR은 RGR에 대하여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CGR은 각 공히 이식후 50일까지는 생장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LAI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최적엽면적 지수는 Control구와 30%, 50% 및 70% 차광구에서 각각 2.10, 1.75, 1.25, 0.90으로 나타났다.

  • PDF

Characteristics of Wet and Dried Distillers Grain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Effects of Dietary Wet Distillers Grains on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 Kim, Ill Young;Ahn, Gyu Chul;Kwak, Hyung Jun;Lee, Yoo Kyung;Oh, Young Kyoon;Lee, Sang Suk;Kim, Jeong Hoon;Park, Keun 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5호
    • /
    • pp.632-638
    • /
    • 2015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ent composition, in vitro dry matter disappearance (IVDMD) and organic matter disappearance (IVOMD) of three kinds of distillers grains (DG); i) wet distillers grains (WDG, KRW 25/kg), ii) dried distillers grains (DDG, KRW 280/kg), iii) 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DDGS, KRW 270/kg) produced from tapioca 70% and rice 30%, and to evaluate dietary effects of WDG on the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In Exp. 1, twelve-WDG, four-DDG and one-DDGS were collected from seven ethanol plants. Average crude protein, crude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of WDG, DDG, and DDGS were: 32.6%, 17.8%, 57.5%, and 30.2% for WDG, 36.7%, 13.9%, 51.4%, and 30.5% for DDG, and 31.0%, 11.9%, 40.3%, and 21.2% for DDGS (DM basis), respectively. The DDGS had a higher quantity of water-soluble fraction than WDG and DDG and showed the highest IVDMD (p<0.05) in comparison to other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time. The IVDMD at 0 to 12 h incubation were higher (p<0.05) in DDG than WDG,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24 to 72 h. The same tendency was observed in IVOMD, showing that DG made from tapioca and rice (7:3) can be used as a feed ingredient for ruminants. Considering the price, WDG is a more useful feed ingredient than DDG and DDGS. In Exp. 2, 36 Hanwoo steers of 21 months ($495.1{\pm}91k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for 85 days; i) Control (total mixed ration, TMR), ii) WDG 10% (TMR containing 10% of WDG, as fed basis), and iii) WDG 20% (TMR containing 20% of WDG, as fed basis). With respect to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WDG treatment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Dry matter intake of control (9.34 kg), WDG 10% (9.21 kg) and 20% (8.86 kg) and feed conversion ratio of control (13.0), WDG 10% (13.2) and 20% (12.1) did not show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WDG treatments. Thus, the use of WDG up to 20% in TMR did not show any nega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Digestibility, ruminal fermentation, and nitrogen balance with various feeding levels of oil palm fronds treated with Lentinus sajor-caju in goats

  • Hamchara, Puwadon;Chanjula, Pin;Cherdthong, Anusorn;Wanapat, Meth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0호
    • /
    • pp.1619-1626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vels of fungal (Lentinus sajor-caju) treated oil palm fronds (FTOPF) on digestibility, rumen fermentation, and nitrogen balance in goats. Methods: Four 16 month old male crossbred (Thai Native${\times}$Anglo Nubian) goats with initial body weights of $33.5{\pm}1.7kg$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Four levels of FTOPF were assigned for feed intake. The experimental treatments consisted of 0%, 33%, 67%, and 100% of oil palm fronds (OPF) being replaced by FTOPF.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otal dry matter intake and nutrient intake were not influenced (p>0.05) by the inclusion of FTOPF. However, the efficiency values of the digestibility of the dry matter,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lignin on FTOPF were higher (p<0.05) in treatments with 33%, 67%, and 100% of FTOPF compared with 0% of FTOPF. FTOPF feeding did not change the rumen pH, temperature, and $NH_3-N$. However, the FTOPF levels did affect the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molar proportion of acetate, propionate, butyrate, ratio of acetic (propionic acid and acetic) plus butyric (propionic acid), and production of $CH_4$. The totals of VFA and propionate was lower in goat fed with 0% of FTOPF than in those of the other groups (p<0.05). The amount of nitrogen retention based on g/d/animal or the percentage of nitrogen retained was the lowest the goat fed with 0% of FTOPF (p<0.05), whereas nitrogen intake, excretion, and absorption were not changed among treatments.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FTOPF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an alternative roughage source in total mixed ration diets, constituting at least up to 100% of OPF.

Effect of Elemental Sulfur Supplementation on Rumen Environment Parameters and Utilization Efficiency of Fresh Cassava Foliage and Cassava Hay in Dairy Cattle

  • Promkot, C.;Wanapat, Meth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0호
    • /
    • pp.1366-1376
    • /
    • 2009
  • Effect of sulfur (S) on utilization efficiency of fresh cassava foliage and cassava hay in dairy cows was evaluated using thirty-two $1^{st}-2^{nd}$ lactation Holstein-Friesian crossbred dairy cow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RCBD) using two roughages (rice straw+fresh cassava foliage (FCF) and rice straw+cassava hay (CH)) and two elemental sulfur (S) levels (0.15 and 0.4% S of dry matter (DM)), respectively. Four dietary treatments (FCF+0.15, FCF+0.4, CH+0.15 and CH+0.4) were offered ad libitum in the form of a total mixed ration (TMR) with concentrate to roughage (chopped rice straw+chopped cassava foliage) ratio at 60:40. Fresh cassava foliage or cassava hay resulted in similar dry mater intake, rumen ecology parameters, total tract digestibility, blood chemistry, milk production and composition. However, HCN intake, blood and milk thiocyanat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1) in cows fed fresh cassava foliage with no sign of potential toxicity. Dry matter intake, body weight changes, molar percentage of propionate in rumen, neutral detergent fiber (NDF) digestibility and nitrogen (N) retention of cows tended to be increased while DM digestibility (65.6, 72.7, 68.6 and 72.1% of total DM intake for the respective treatments), rumen bacteria population (1.4, 1.7, 1.6 and $1.7{\times}10^{11}$ cell/ml for respective treatments), fungal zoospore population (0.4, 0.6, 0.4 and $0.5{\times}10^{6}$ cell/ml for respective treatments), urinary allantoin (25.3, 28.0, 26.3 and 27.6 g/d for respective treatments), microbial N yield (136.0, 154.6, 142.8 and 151.3 g N/d for respective treatments) and milk protein content (3.4, 3.5, 3.2 and 3.5% for respective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ows fed on supplemented sulfur at 0.4% of DM in comparison with 0.15% S-supplemented diet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cassava foliage could be used as a portion of roughage for dairy cows and supplementation of S would be nutritionally beneficial.

Meadow fescue의 건물생산량에 관한 연구 V. 엽면적의 수직적 분포와 건물생산 (Studies on Productivity in Meadow Fescue ( Festuce pratensis Huds. ) V. Vertical distribution of leaf area and dry matter production)

  • 이주삼;정충섭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87-193
    • /
    • 1984
  • Meadow fescue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엽면적(葉面積)의 수직적분포(垂直的分布)와 건물수량(乾物收量)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하였다. 1. 엽면적(葉面積)의 수직적분포(垂直的分布)로서 품종(品種)을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최대엽면적(最大葉面積)이 하층부(下層部)에 분포(分布)되어 상층부(上層部)로 갈수록 엽량(葉量)이 적어지는 품종(品種)(M), 중간층(中間層)에 최대엽면적(最大葉面積)이 분포(分布)되어 상(上) 하층부(下層部)로 갈수록 엽량(葉量)이 감소(減少)되는 품종(品種)(Leto First, Bundy), 최대엽면적(最大葉面積)이 중간층(中間層)에 분포(分布)되어 있으나 상층부(上層部)에 엽량(葉量)이 대부분(大部分)이 집중분포(集中分布)된 품종(品種)(Tammisto) 및 하층부(下層部)에서 최대엽면적(最大葉面積)을 나타내나 전층(全層)에 엽량(葉量)이 비교적(比較的) 균등(均等)히 분포(分布)된 품종(品種)(Trader)의 4 가지 형(型)으로 분류(分類)되었다. 2. 유효엽면적지수는 건물수량(乾物收量),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 경중(莖重) 및 경면적지수(莖面積指數)와 유의(有意)한 정상관(正相關)을 나타 내었다. 3. 출수경(出穗莖)이 많은 품종(品種)의 유효엽면적은 상층부(上層部)에 분포(分布)되었으나 영양경(榮養莖)이 많은 품종(品種)은 유효엽면적지수의 비율(比率)이 높았다. 4. 최대엽면적(最大葉面積)을 나타내는 층(層) 이상(以上)에 분포(分布)된 엽면적(葉面積)과 엽면적중(葉面積重)의 관계(關係)는 M과 Trader가 유의(有意)한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으나 그 외의 품종(品種)에서는 유의(有意)한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올챙고랭이(Scirpus juncoides Roxb.)의 종내(種內) 및 종간경합(種間競合)에 관한 연구(硏究) (Intra-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Bulrush(Scirpus juncoides Roxb.))

  • 구자옥;허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8-173
    • /
    • 1989
  • 올챙고랭이의 종내(種內) 및 벼와의 종간경합특성(種間競合特性)을 밝히기 위하여 1/2,000a 규격의 폿트와 포장(團場)에서 일연(一連)의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1. 올챙고랭이 밀도별(密度別) 종내경합(種內競合) 특성(特性) 단식구(單植區)보다 벼 입묘하(立苗下)에서 올챙고랭이 종내경합(種內競合) 시발밀도(始發密度)가 낮아졌으며, 올챙고랭이의 경수증가(莖數增加)에 의한 종내경합(種內競合)은 벼 입묘유무조건(立苗有無條件) 모두에서 폿트당(當) 5주(株)부터 시작(始作)되었다. 건물중(乾物重)은 단식(單植)의 경우 폿트당(當) 10주(株)부터, 그리고 벼 입묘하(立苗下)에서는 15주(株)부터 종내경합(種內競合)이 시작(始作)되었다. 2. 벼 밀도변화(密度變化)에 따른 올챙고랭이의 종간경합(種間競合) 특성(特性) 벼의 초장(草長)은 폿트당(當) 벼 2.6주(株), 분얼수는 2.5주(株) 밀도(密度)부터 감소현상(減少現象)이, 건물중(乾物重)은 2주(株)의 밀도(密度)부터 증가율(增加率)의 순화현상(純化現象)이 초래(招來)되었고, 올챙고랭이의 치명적(致命的)인 종간경합(種間競合)은 폿트당(當) 벼 2.5~3주(株)의 밀도(密度)까지에서 나타났으며, 초장(草長)보다는 경수분화(莖數分化)나 건물생산면(乾物生産面)에서 유의적(有意的)이었다. 3. 벼의 작기간변화(作期間變化)에 따른 올챙고랭이의 종간경합(種間競合) 특성(特性) 초장(草長)은 배와 올챙고랭이 모두 단식(單植)보다는 혼식(混植)에서 증가(增加)되었고 작기(作期)가 늦어질수록 올챙고랭이의 초장(草長)은 짧아졌으나 벼는 길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벼의 분얼수와 올챙고랭이 경수(莖數)의 비율(比率)은 모든 처리(處理)에서 1 : 3 정도(程度)의 일율성(一律性)을 보였고, 작기(作期)가 늦어질수록 감소경향(減少傾向)이 심(甚)하였으며, 지상부(地上部) 거물중(乾物重)역시 만기조건(晩期條件)에서 떨어졌으며 변동폭(變動幅)은 벼보다 올챙고랭이에서 현저하였다. 4. 올챙고랭이 밀도변동(密度變動)에 의한 벼와의 종간경합(種間競合) 특성(特性) 올챙고랭이의 밀도증가(密度增加)로 올챙고랭이에 대한 벼의 초장우위성(草長優位性)(차광기능(遮光機能))은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올챙고랭이의 면적당(面積當) 경수(莖數)와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증가(增加)하는 대신 벼의 분얼수와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옥수수 가공방법 및 두께가 in situ 건물 분해율과 in vitro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ing Methods of Corn and their Thickness on in situ Dry Matter Degradability and in vitro Methane Production)

  • 김도형;이창현;우양원;;김종남;조광현;장선식;김경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8-3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의 가공방법 및 옥수수의 두께의 차이가 반추위 in situ 소화율 및 in vitro 반추위 발효와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Micronized corn(2.5 mm thickness)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in situ 48시간 건물 분해율이 모든 배양시간대에서 높게(P<0.05) 나타났다. 반면, steam flaked corn(3.3 mm thickness) 처리구는 모든 배양시간대에서 가장 낮은(P<0.05) in situ 건물 분해율을 보였다. 반추위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b fraction은 이와 상반되는 결과인 steam flaked corn(3.1 mm thickness)과 steam flaked corn(3.3 mm thickness) 처리구에서 높게(P<0.05) 나타났다. b fraction이 반추위를 통과하는 속도인 건물 분해상수 k값은 micronized corn(2.5 mm thickness)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P<0.05) 나타났고 steam flaked corn(3.3 mm thickness)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P<0.05) 나타났다. 반추위내 시간당 통과속도를 0.05로 적용한 유효 건물 분해도는 건물 분해상수와 유사하게 micronized corn(2.5 mm thickness)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P<0.05), steam flaked corn(3.3 mm thickness)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P<0.05) 나타났다. In vitro 반추위 48시간 건물 소실율은 micronized corn(2.5 mm thickness)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P=0.088) 보인 반면 steam flaked corn 처리구들 사이에서는 두께에 따른 건물 소실율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가스발생량 및 메탄 발생량에 있어서도 건물 소실율과 같은 결과인 micronized corn(2.5 mm thickness)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01), 총 휘발성지방산은 steam flaked corn(2.9 mm thickness)의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P=0.015) 나머지 처리구들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ectate: propionate의 비율 또한 steam flaked corn(2.9 mm thickness)의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micronized corn(2.5 mm thickness)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08).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steam flaked corn 처리구들에서 in vitro 휘발성지방산 농도에 있어 in situ 반추위내 건물 분해상수와 유효 건물 분해도의 결과와 비교하여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결과로 유추해 보면 옥수수 가공방법에 의한 두께의 차이는 반추위 메탄 발생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사료 내 조농비율에 따른 생균제의 첨가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on Feed Intakes,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in Korean Black Goats Fed Two Diets Differing in Forage to Concentrate Ratios)

  • 황보순;조익환;송기준;이성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5-205
    • /
    • 2007
  • 본 연구는 흑염소의 보다 효율적인 사양관리 체계의 확립에 기여하기 위하여,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을 각각 70:30과 30:70으로 달리 하여,이들 배합비율에 생균제를 첨가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생균제는 Lactobacillus case,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Aspergillus oryzae 및 Streptomyces griseus의 균종을 함유하는 혼합된 형태였고, 사료 내 첨가비율은 0.2%이었다. 12두의 흑염소(male)를 네 처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완전 임의 배치하여 개별 대사케이지에 수용하였고, 실험기간은 21일간 지속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1일 두당 건물 섭취량은 조농비율 및 생균제의 첨가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가소화 건물 섭취량은 사료 내 조사료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생균제 첨가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사체중당 건물 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 섭취비율은 건물 섭취량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어 조농비율 및 생균제 첨가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소 소화율은 조사료 비율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은 소화율을 나타내었고(p<0.05), 생균제 첨가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뇨를 통한 질소 배설은 조사료 비율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생균제 첨가 효과는 두 사료에서 공히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 축적은 조사료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두 사료 내 생균제의 첨가는 질소 축적을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료 내 조농비율이 다른 두 사료에 생균제의 급여는 사료 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흑염소에 대한 이들 변수는 생균제에 의한 결과라기보다는 조농비율에 의하여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fluence of Wheat Straw Pelletizing and Inclusion Rate in Dry Rolled or Steam-flaked Corn-based Finishing Diets on Characteristics of Digestion for Feedlot Cattle

  • Manriquez, O.M.;Montano, M.F.;Calderon, J.F.;Valdez, J.A.;Chirino, J.O.;Gonzalez, V.M.;Salinas-Chavira, J.;Mendoza, G.D.;Soto, S.;Zinn, 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6호
    • /
    • pp.823-829
    • /
    • 2016
  • Eight Holstein steers ($216{\pm}48kg$ body weight) fitted with ruminal and duodenal cannulas were used to evaluate effects of wheat straw processing (ground vs pelleted) at two straw inclusion rates (7% and 14%; dry matter basis) in dry rolled or steam-flaked corn-based finishing diets on characteristics of diges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split plot consisting of two simultaneous $4{\times}4$ Latin squares. Increasing straw level reduced ruminal (p<0.01) and total tract (p = 0.03) organic matter (OM) digestion. As expected, increasing wheat straw level from 7% to 14% decreased (p<0.05) ruminal and total tract digestion of OM. Digestion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starch, per se, were not affected (p>0.10) by wheat straw level. Likewise, straw level did not influence ruminal acetate and propionate molar proportions or estimated methane production (p>0.10). Pelleting straw did not affect ($p{\geq}0.48$) ruminal digestion of OM, NDF, and starch, or microbial efficiency. Ruminal feed N digestion was greater (7.4%; p = 0.02) for ground than for pelleted wheat straw diets. Although ruminal starch digestion was not affected by straw processing, post-ruminal (p<0.01), and total-tract starch (p = 0.05) digestion were greater for ground than for pelleted wheat straw diets, resulting in a tendency for increased post-ruminal (p = 0.06) and total tract (p = 0.07) OM digestion. Pelleting wheat straw decreased (p<0.01) ruminal pH, although ruminal volatile fatty acids (VFA) concentration and estimated methane were not affected ($p{\geq}0.27$). Ruminal digestion of OM and starch, and post-ruminal and total tract digestion of OM, starch and N were greater (p<0.01) for steam-flaked than for dry rolled corn-based diets. Ruminal NDF digestion was greater (p = 0.02) for dry rolled than for steam-flaked corn, although total tract NDF digestion was unaffected (p = 0.94). Ruminal microbial efficiency and ruminal degradation of feed N were not affected (p>0.14) by corn processing. However, microbial N flow to the small intestine and ruminal N efficiency (non-ammonia N flow to the small intestine/N intake) were greater (p<0.01) for steam-flaked than for dry rolled corn-based diets. Ruminal pH and total VFA concentration were not affected ($p{\geq}0.16$) by corn processing method. Compared with dry rolled corn, steam-flaked corn-based diets resulted in decreased acetate:propionate molar ratio (p = 0.02). It is concluded that at 7% or 14% straw inclusion rate, chang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heat straw brought about by pelleting negatively impact OM digestion of both steam-flaked and dry-rolled corn-based finishing diets. This effect is due to decreased post-ruminal starch digestion. Replacement of ground straw with pelleted straw also may decrease ruminal pH.

벼 건답휴립직파재배에서 파종양식과 파종량에 따른 생육과 수량 (Performance of Direct Seeded Rice in Ridged Dry Soil at Different Seeding Methods and Seeding Rates)

  • 이석순;백준호;김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14-520
    • /
    • 1992
  • 건답휴립직파재배에서 파종양식(산파, 조파, 적파)과 파종량(4, 6, 8kg / 10a)에 따른 벼의 생육과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직파재배용으로 육성중인 밀양 9005를 1991년 5월 12일에 파종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고분얼수는 산파와 조파에서 적파보다 많았다. 파종량간에는 산파와 조파에서는 파종량 6kg일 때 최고분얼수가 가장 많았으며, 적파에서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최고분얼수도 증가하였다. 2. 파종양식간에 입묘수, 간장, 수장, 유효경화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출수기는 적파와 조파보다 1일 지연되었다. 출수기의 엽면적지수와 건물중은 산파에서 다를 파종양식보다 높았으며, 투광율은 조파와 적파에서 산파보다 더 높았다. 파종량간에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입묘수는 증가했지만, 출수기, 출수기의 엽면적지수와 건물중, 간장, 유효경비율은 파종량간에 차이가 없었다. 3. 파종양식간에 지상부길이, bending moment 및 생체중은 차이가 없었고 좌석중은 산파>조파>적파 순으로 낮았다. 도복지수는 파종량간에 차이가 없었고, 도복도 발생하지 않았다.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등 간기의 세포벽구성물질은 파종양식과 파종량간에 교호작용이 있었다. 4. 단위면적 수수와 영화수, 천립중, 수량과 수확지수는 파종양식간에 차이가 없었다. 수당 영화수는 적파에서 산파와 적파보다 다소 높았다. 파종량간에는 수수, 수당 및 단위면적당 영화수, 등숙율, 수확지수 등은 차이가 없었으나 수량은 6kg/10a 파종량에서 4 및 8kg /10a 파종량에서 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