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ug Sensitivity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25초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Pioglitazone이 인슐린 민감도, 난소 기능, 난소 기질 내 혈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oglitazone on Insulin Sensitivity, Ovarian Function and Intraovarian Stromal Blood Flow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 이향아;김정훈;최정원;박선정;이수정;최은선;김성훈;채희동;손영수;강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55-164
    • /
    • 2005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oglitazone, an insulin sensitizing agent, on insulin resistance, ovarian function and intraovarian stromal blood flow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 Material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PCOS, aged 18~34 years, were recruited. Criteria for diagnosis of PCOS were as defined in 2003 Rotterdam consensus. They were treated for 6 months with pioglitazone at a dose of 30 mg/day orally. The hormonal blood profile, fasting serum glucose levels, a glycemic response to 75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an ovarian stromal artery (OSA) blood flow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fter 6 months of treatment. Results: Eighteen (60.0%) of 30 patients treated with pioglitazone demonstrated a spontaneous ovulation After pioglitazone treatment, fasting insulin concentrations, serum glucose levels after 75 g OGTT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p=0.04, respectively), and fasting glucose to insulin (G/I) ratio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The pioglitazone treatment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LH, testosterone (T) and free T levels (p<0.001, p=0.02, p=0.002, respectively). The resistance index (RI) values of OSA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eatment (p<0.001). In analyzing pioglitazone-treated patients according to their body mass index (BMI), nonobese group as well as obe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sting G/I ratio (p<0.01). The pioglitazone treatment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LH and free T levels in nonobese group (p<0.001, p<0.05, respectively) as well as obese group (p=0.001, p<0.05, respectively). The RI values of OSA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nonobese and obese groups after pioglitazone treatment (p<0.001, p=0.003, respectively). Conclusions: Pioglitazone could ameliorate the glycoinsulinemic metabolism, and this beneficial effects of this drug could improve the endocrine-reproductive condition associated with the decrease of ovarian stromal artery blood flow, in both nonobese and obese patients with PCOS.

지역기반 음악사조로서의 '홍대 사운드' : 미8군 사운드와 런던 펑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Hongdae Sound' as a Historic Musical Trend Based on Regional Classific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US 8th Army Sound' and 'London Punk')

  • 김민오
    • 트랜스-
    • /
    • 제8권
    • /
    • pp.1-28
    • /
    • 2020
  • 본 연구는 지역기반 음악사조로서 '홍대 사운드'의 정체성을 '미8군 사운드'와 영국 '런던 펑크'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고찰해본다. 홍대음악은 90년대 클럽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밴드들이 연주하던, 주류의 음악과는 장르적·산업적으로 다른 비주류적 감성의 음악을 통칭한다. 하지만 '인디'라는 산업적인 관점에서의 정체성이 음악사조로서의 홍대음악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어렵게 만드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므로 서구의 다른 음악사조와 마찬가지로 지역기반의 음악사조로서 홍대 사운드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8군 사운드'는 50년대 미군의 한국 주둔 이후 자연스럽게 형성된 미8군부대 내 공연무대에서 연주되던 음악적 경향을 통칭한다. 미군 커뮤니티의 위문공연을 위해 오디션 시스템을 통해 선발된 국내 뮤지션들은 그들의 입맛에 맞는 서양의 최신 대중음악을 자연스럽게 익혔고, 이는 한국대중문화에 빠르게 전파되어갔다. 미8군 사운드의 산업시스템은 오늘날 '케이팝'과 매우 흡사하지만, 새롭게 등장한 록 장르를 수용하여 새로운 음악경향을 주도했다는 점에서 홍대 사운드와 유사한 면을 발견할 수 있다. 런던 펑크는 70년대 중반 영국 젊은이들의 사회적 불만과 저항정신을 담은 록 장르로, 기본에 충실한 음악적 구성과 인디의 DIY정신을 내세운 대안적 음악이었다. 홍대 사운드는 산업구조나 음악 스타일, 정신적인 면에서 런던 펑크의 많은 부분을 계승하였다. 하지만 시류의 변화에 영합하여 주류로 편입된 런던펑크와 달리 홍대 사운드는 끊임없는 변화를 모색하면서도 인디의 기본정신과 진정성을 포기하지 않으며 음악사적으로 유래를 찾기 힘든 지속성을 유지하고 있다.

  • PDF

독실라민 중독시 발생할 수 있는 발작의 특성과 위험인자 (The Clinical Features and Risk Factors of Seizure After Doxylamine Intoxication)

  • 송범수;이기만;김선욱;유제성;정태녕;박유석;정성필;구홍두;박인철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8-96
    • /
    • 2010
  • Purpose: Doxylamine is antihistamine drug that is used as a hypnotic. It is also used for suicidal attempts because it can be easily purchased at the pharmacy without a prescription. There were many articles about the complications after doxylamine intoxication such as a rhabdomyolysis, but only a few articles have reported on seizure. We reviewed the cases of doxylamine intoxication with seizure that were treat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ho were over 15 years old and who were intoxicated by doxylamine at 3 emergency medical centers from January 2006 to June 2010. We reviewed the patients' age, gender, the dose of doxylamine ingested, if gastrointestinal decontamination was done, the time from intoxication to hospital arrival, the seizure history, treatment of seizure, the electroencephalography (EEG) results, the brain computed tomography (CT) results and the blood test results. Results: There were 168 patients who were intoxicated by doxylamine during the study period. Twelve patients had a seizure episod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who developed seizure and the patients who did not were the dose and the serum levels of sodium and creatinine. The only clin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the amount of doxylamine. The amount of doxylamine ingested (>29 mg/kg) predicted the development of seizure with a sensitivity of 75% and a specificity of 92% on the ROC curve. One patient among the seizure patients expir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Conclusion: In case of doxylamine intoxicated patients, there is close relationship between seizure and ingested amount, so close observation needs to be done for the patients who ingest too much because doxylamine can cause death.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for doxylamine intoxicated patients with a seizure episode.

  • PDF

임신 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의 한방치료 적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the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n Coronavirus Disease 2019 Infection during Pregnancy)

  • 박진경;윤효원;이혜정;이창훈;장준복;이진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91-104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impact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fection during pregnancy and the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on COVID-19 infection during pregnancy. Methods: We searched 6 data bases on August, 2022 and articles about the impact of COVID-19 infection during pregnancy, TCM treatment of COVID-19 infection, TCM treatment of pregnancy common cold (姙娠 感冒) or cough (姙娠 咳嗽) were reviewed. Results: COVID-19 infection can bring out negative effects both on pregnant women and fetus. In the case of COVID-19 infection during pregnancy, the symptoms and treatment are similar to those of general COVID-19 infection, but the safety of drug intervention has not been completely verified. Herbal medicine treatmen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severity, stage and TCM syndrome types of COVID-19 infection, but the prohibited herbs list during pregnancy and its dosage should be checked carefully. Also, when it comes to pregnancy disease, the effect of "Stabilizing Fetu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erspective of TCM treatment strategy.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Rhizoma Atractylodis Macrocephalae, Scutellariae Radix have been widely used on COVID-19 infection and the safety of them during pregnancy have been verified. In the case of acupuncture treatment, acupoints also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verity, symptoms, and TCM syndrome types of COVID-19, but acupoints with strong Qi sensitivity or acupoints located in lower abdomen should be avoided during pregnancy. Conclusions: TCM treatment can be applied to COVID-19 infection during pregnancy. Clinical studies and systematic reviews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TCM treatment on COVID-19 infection during pregnancy are required.

김밥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위해평가 모델 개발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Model for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b)

  • 박경진;오덕환;하상도;박기환;정명섭;천석조;박종석;우건조;홍종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84-491
    • /
    • 2005
  •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는 국민건강에 영향을 주는 잠재된 위해를 연구하여 식품내 존재하는 병원성미생물과 관련한 위해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깁밥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QMRA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식품위생관리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여, 식품안전 분야에서의 QMRA의 필요성과 활용성을 알리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QMRA 모델은 매장에서부터 최종소비에 이르기까지 4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미생물 성장모델과 조사자료 그리고 확률분포가 김밥의 최종소비에서의 S. aureus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용되었다. S. aureus에 대한 양-반응모델이 없는 관계로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S. aureus의 오염수준을 잠재적인 위해를 결정하는데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5 log CFU/g이상을 잠재적 유해수준으로 가정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최종 소비되는 김밥에서 이 유해수준을 초과할 가능성은 30.7%로 나타났다. 김밥에서의 S. aureus의 오염수준은 평균 2.67 log CFU/g으로 나타났으며, 민감도 분석에서는 매장에서의 김밥 보관온도 및 시간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김밥 매장에서는 현실적으로 보존시간 관리가 어렵다고 한다면 보관온도를 $10^{\circ}C$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QMRA는 식품 내 존재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평가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식품위생관리에 직접적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삼의 분석방법별 기준인 ginsenoside -Rg1과 -Re의 함량비($Rg1/Re{\Leq}3.87$)에 부합되었다.도에서 MA 저해 효과는 쑥갓>미나리>참깨의 순으로, 각각 54, 48, 29%를 나타냈다. 참깨는 20, $100{\mu}g/mL$의 농도에서처럼 가장 작은 효과를 보여줬고, 쑥갓은 50%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Aldehyde/Carboxylic acid assay에서는 참깨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줬지만 Lipid MA asaay에서는 그에 비해 가장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보여진다.ificantly more inclusive. As a result of the evolution of new fibers, materials, processes and markets, we assert that a new "ENGINEERING WITH FIBERS" (EwF)(중략)web.cnu.ac.kr/~fabric이다. 제작된 멀티미디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한 결과 수강생(32명)의 96.9%가 보조자료로 사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자료가 실험관련 교과목 수업에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고, 87.5%가 활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자료에 만족하며, 75%가 기존의 교과서와 비교하여 더 많이 활용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은 개인차에 따른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향은 패션마케팅의 정의와 적용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는 위험을 내재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런가 하면, 많이 다루어진 주제라 할지라도 개념이나 용어가 통일되지

혈장분획제제 제조공정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세척 검증을 위한 모델바이러스로서의 Porcine Parvovirus 정량 (Quantitative Real-Time PCR of Porcine Parvovirus as a Model Virus for Cleaning Validation of Chromatography during Manufacture of Plasma Derivatives)

  • 길태건;김원중;이동혁;강용;성학모;유시형;박순희;김인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6-224
    • /
    • 2005
  • 혈장분획제제 중 혈액응공인자제제와 일부 면역글로불린제제는 혈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단백질로부터 유효한 단백성분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정제하기 위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생산된다. 효율적인 세척(cleaning)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크로마토그래피는 다양한 종류의 불순물뿐만 아니라 혈액 중 내재 또는 오염 가능성이 있는 위해인자가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혈장분획제제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세척 공정에서 혈장유래 바이러스의 제거 및 불활화 공정의 검토 강화로 혈장분획제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크로마토그래피 세척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세척 공정 중 바이러스 제거 검증을 위해 혈장유래 바이러스 중 물리${\cdot}$화학적 처리에 가장 큰 저항성을 갖는 human parvovirus B19의 모델 바이러스의 porcine parvovirus(PPV)를 대상으로 real-time PCR 정량법을 확립하였다. PPV에 특이적인 primer를 선별하였으며 형광염료 SYBR Green I을 사용하여 PPV DNA를 정량하였다. 세포배양법에 의한 감염 역가와 비교한 결과 PCR 민감도는 1.5 $TCID_{50}/ml$이었다. 확립된 검증법의 신뢰성(reliability)을 보증하기 위해 실험법의 특이성(specificity), 재현성(reproducibility) 등을 검증하였다. 구축된 검증시스템을 thrombin 분리${\cdot}$정제를 위한 SP-Sepharose 양이온 크로마토그래피 공정과 factor VIII 분리${\cdot}$정제를 위한 Q-Sepharose 음이온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에 적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 세척 검증을 실시하고, 세척 검증 시스템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폐결핵환자에서 비정형항산균의 분리, 동정 및 약제감수성에 관하여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Drug Resistance of Atypical Mycobacteria isolated from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정동현;김성광;김주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49-58
    • /
    • 1984
  • 폐결핵 환자의 객담으로 부터 비정형항산균의 배균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세균학적 시험 및 임상적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객담 334예에서 항산균 103주 (30.8%)를 분리 배양하였다. 2. 분리배양된 항산균주에서 비정형항산균으로 감별된 균주는 10주(9.7%)이며 인형결핵균주는 93주(90.3%)이였다. 3. 감별된 비저형항산균주는 Runyon군별로는 암착색균군, 광비발색균군이 각각 3주 (30.0%)씩이며 신속발육균군이 4주(40.0%)였으며 광발색균군은 분리되지 않았다. 4. 생물학석 성상 및 생화학적 특성시험 양상에 의해 암착색균군 3주 중 2주는 Mycobacterium scrofulaceum, 1주는 Mycobacterium szulgai로, 광비발색균 3주 중 2주는 Mycobacterium avium complex, 1주는 Mycobacterium terrae로 동정되였으며, 신속발육균주 4주중 3주는 Mycobacterium fortuitum, 1주는 Mycobacterium chelonei로 등정되었다. 5. 항결핵제에 대한 시험관내 약제감수성검사에서 INH, SM에서는 10주가 전부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EB, TH, 및 CS의 저농도인 10mcg, 50mcg, 및 40mcg에서 완전내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EB, TH, 및 RFP의 고농도인 20mcg, 및 100mcg,에서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6. 비정형항산균이 배균된 환자의 X-선소견 및 임상적 소견 조사에서는 인형결핵균 감성으로 인한 폐결핵 환자의 증상에 비해 경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장기간 항결핵제의 투여치로 되어 왔으나 대부분 호전되지 않았다.

  • PDF

폐 및 경부 결핵에서 항결핵제에 의한 치료실패 원인분석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for the Pulmonary and Neck Tuberculosis)

  • 전창호;이상채;현대성;최정윤;신임회;손진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4호
    • /
    • pp.473-483
    • /
    • 2001
  • 연구배경 : 항결핵제에 의한 치료실패의 원인으로 약제내성균, 환자의 규칙적인 약제 복용, 감염 결핵균 종의 차이, 환자의 면역상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에 저자들은 흉부 및 경부결핵환자들은 대상으로 항결핵제에 의한 다각적인 치료실패 원인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폐결핵환자 204명과 경부결핵환자 53명을 대상으로, 객담, 경부임파선 및 혈액을 채취하여 결핵균을 배양하고 변역상태를 측정하였다. 인형결핵균과 비인형결핵균의 감별, RFLP 양상 분석 및 항결핵제 감수성검사 등을 시행하였고, IL-$1{\beta}$, IL-12, $IFN{\gamma}$$TNF{\alpha}$ 등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항결핵제 치료 후 18개월까지 정기적인 경과관찰을 시행하여 완치 유무를 결정하였다. 결 과 : 결핵균의 RFLP에 따른 결핵의 난치성 여부는 관찰할 수 없었다. 총 204례의 환자들 중 31.9%(65 례)가 난치성으로 판정되었으며 난치군은 평균연령이 비교적 높고, 남자 및 재발 예가 많았다. 65례의 난치원인을 모두 추정할 수 있었으며, 혈중 IL-12 농도저하(59.4%), 다제내성균 (54.7% ), 불규칙한 항결핵제복용(15.4%), 비인형 결핵균(6.2%) 및 중감염 (4.6%) 등의 원인을 관찰할 수 있었다. 완치군과 난치군의 혈중 IL-12의 평균 농도는 $227.6{\pm}78.2$$148.9{\pm}79.7\;pg/mL$로서 난치군이 유의(p<0.01)하게 낮았다. IL-12는 165.0 pg/mL에서 최대민감도 64.7% 및 최대특이도 75.4%를 나타내였다. 53명의 임파성 결핵환자들은 대부분 완치되어 난치원인을 분석할 수 없었다. 결 론 : 결핵의 난치원인 분석에서 혈중 IL-12 농도 저하 및 약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이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간주되었고, 그 외 불규칙한 약복용, 비인형 결핵균에 의한 감염 및 중감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에서는 균주군에 의한 감염이 빈번하였으나 균주군 및 비균주군에 의한 약제 내성율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선택적 Cyclooxygenase-2 억제제인 Celecoxib가 상이한 Cyclooxygenase-2 발현량을 가진 인간 암세포주들에 대하여 유도하는 방사선 감수성 증진 작용 (The Enhancement of Radiosensitivity by Celecoxib, Selective Cyclooxygenase-2 Inhibitor, on Human Cancer Cells Expressing Differential Levels of Cyclooxygenase-2)

  • 표홍렬;신유근;김현석;성진실;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216-221
    • /
    • 2003
  • 목적: Cyclooxygenase-2 (COX-2)를 과발현하는 A549 인간폐암세포주와 발현하지 않는 MCF-7 인간유방암세포주에서 선택적 COX-2 억제제인 celecoxib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 작용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A549 세포와 MCF-7 세포에 대해서 방사선 혹은 방사선과 celecoxib를 병용 투여한 후에 clonogenic radiation survival 실험을 시행하였다. 같은 실험을 각각 $10\%$$1\%$의 FBS를 포함한 배지에서 반복하였다. 각 세포에 방사선과 celecoxib를 동시 혹은 단독 투여한 후에 각 실험 그룹의 세포사멸을 측정하였다. 결과: 약물 투여 기간 동안 $10\%$의 혈청을 포함한 배지 조건에서 배양된 A549세포에서는, $30\muM$$50\muM$ 농도의 celecoxib가 투여된 상태에서 surviving fraction=0.1에서의 Radiation enhancement ratio (RER)가 각각 1.58과 1.81로 celecoxib가 A549 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방사선 감수성의 증가는 세포를 $1\%$의 혈청을 포함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때는 소실되었다. MCF-7 세포에서는 $10\%$$1\%$ 혈청을 포함한 각각의 배지조건 하에서celecoxib에 의한 방사선 감수성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A549와 MCF-7 세포의 각 그룹에서 세포사멸을 측정한 결과 celecoxib와 방사선이 병용 투여되었을 때 유도되는 세포사멸은 상호 상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COX-2 선택적 억제제인 celecoxib는 COX-2를 과발현하는 A549 세포에서 선택적으로 방사선 감수성을 증진시켰으며, 저농도의 혈청을 포함한 배지 조건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소실되었다. COX-2를 발현하지 않는 MCF-7 세포주에서는 celecoxib에 의해서 방사선 감수성이 변화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celecoxib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 작용 기전에 세포 사멸은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항생제 사용 중 발생한 기계 호흡기 관련 폐렴에서 기관지 세포 세척술의 진단적 의미 (Implication of Quantitative Culture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 the Diagnosis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Patients with Antimicrobial Therapy)

  • 장윤수;안철민;정병천;김형중;김성규;이원영;신증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1호
    • /
    • pp.72-81
    • /
    • 2000
  • 연구배경 : 본 연구에서는 기계 호흡 관련 폐렴 환자에서 항생제의 사용이 기관지 폐포 세척술에 미치는 영향과 원인 균주의 특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4월부터 9월까지 영동 세브란스 병원에서 기계 호흡과 항생제 치료를 함께 받던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대조군과 인공 호흡기 관련 폐렴군으로 나누었다.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세균의 정량 배양이 진단 역치는 $10^4$ cfu/ml로 잡았다. 결과 : 1)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그랑 염색에서 대조군 중 1명에서 VAP 환자군에서는 4명에서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정량 배양에서 대조군에서는 모두 진단 역치 이하 였으나 VAP 군에서는 9명에서 양성의 결과를 보여 전체적으로 진단의 민감도는 43.8%였다. 2) 배양된 균주들의 빈도는 E. cloacae, S. aureus, K. pneumoniae, A. baumani 등의 순이었다. S. aureus 와 Staphylococcus coagulase(-)는 모두 oxacillin에 저항성을 보였으며 그람 음성 균주들 중 10례 중 3례를 제외한 나머지 모두가 cefotaxime과 ceftazidime에 저항성을 보여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ESBL)를 생산하는 균주로 추정되었다. 3) 기관 흡인 검체와 기관지 세포 세척액의 그람 염색 결과는 1례에서만 일치하였다고 배양된 균주들도 3예에서만 일치하였다. 결 론 : 항생제 사용 중 발생한 기계 관련 폐렴에서는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그람 염색과 정량 배양의 정확도는 높은 편이나 민감도는 낮은 편이었고, 통상적인 기관 흡입 검체를 이용한 검사 결과와의 일치율도 낮으므로 해석에 주의를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나아가 약제 내성 균주의 빈도도 외국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이 높으므로 항생제의 선택과 사용에도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