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rone mapping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nalysis of Levee Breach Mechanism using Drone 3D Mapping (드론 3D 매핑을 통한 제방붕괴 메커니즘 분석)

  • Ko, Dongwoo;Kim, Jeonghyeon;Lee, Changhun;Kim, Jongtae;Kang, J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9-349
    • /
    • 2020
  • 기후변화로 인한 돌발홍수와 같은 집중적인 강우현상은 노후화된 제방의 안정성 저하 및 붕괴 등을 야기시킨다. 향후 홍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천의 통수면적이 부족하여 침수 및 범람의 위험성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계획규모 이상의 홍수가 발생하여 홍수위가 제방고보다 높을 때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로 이어지며, 이러한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는 가장 전형적인 것이다. 지금까지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에 관한 연구는 연구자의 다양한 관점 및 방법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실제 제방붕괴를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기존의 소규모 수리실험 및 모델링을 통한 제방붕괴 메커니즘 분석에는 사실상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실규모 수리실험을 통한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 메커니즘을 3차원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영상을 이용하여 제방붕괴 메커니즘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방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붕괴양상이 발전한다는 점 등에서 매우 복잡한 물리적 특성이 있다. 드론의 오토촬영 기법을 통한 제방이 붕괴되는 순간을 촬영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셔터스피드촬영 기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짧은 시간에 변화되는 제방의 붕괴양상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두 대의 드론을 횡·종 방향으로 동시에 비행하여 분석 시 3차원 입체감을 최대화하였다. 이후 횡·종 방향에서 동 시간대 수집된 드론 이미지를 분류하여 PIX4D 매핑 기법을 활용한 최소 정합을 통하여 드론을 활용한 제방붕괴 메커니즘 분석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스마트 시대의 물산업 경쟁력을 제고함에 있어, 폭이 좁은 하천에 효율적이며 고해상도 시공간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하천재해 예측 및 관리기술 개발을 통한 하천 원격탐사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A Measures to Implements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using Aerial Photogrammetry and 3D Scanning (전통조경 보존·관리를 위한 3차원 공간정보 적용방안)

  • Kim, Jae-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1
    • /
    • pp.77-84
    • /
    • 2020
  • This study is apply 3D spatial information per traditional landscape space by comparing spatial information data created using a small drone and 3D scanner used for 3D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for effici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raditional landscaping space composed of areas such as scenic sites and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erial photogrammetry data is less accurate than 3D scanners, but it was confirmed to be more suitable for monitoring landscape changes by reading RGB images than 3D scanners by texture mapping using digital data in constructing orthographic image data. Second, the orthographic image data constructed by aerial photogrammetry in a traditional landscaping space consisting of a fixed area, such as Gwanghalluwon Garden, produced visually accurate and precise results. However, as a result of the data extraction, data for trees, which is one of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traditional landscaping, was not extracted, so it was determined that 3D scanning and aerial surveying had to be performed in parallel, especially in areas where trees were densely populated. Third, The surrounding trees in Soswaewon Garden caused many errors in 3D spatial information data including topographic data. It was analyzed that it is preferable to use 3D scanning technology for precise measurement rather than aerial photogrammetry because buildings, landscaping facilities and trees are dense in a relatively small space. When 3D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data for a traditional landscaping space composed of area using a small drone and a 3D scanner free from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and compared the data was compared, the aerial photogrammetry is effective for large site such as Hahoe Village, Gyeongju and construction of a 3D space using a 3D scanner is effective for traditional garden such as Soswaewon Ga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