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nking, Residual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7초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Communities in Biological Filters of Full-Scale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 Choi, Yonkyu;Cha, Yeongseop;Kim, Bogs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91-104
    • /
    • 2019
  • The taxonomi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pre-chlorinated rapid filters and ozonated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filters were compared using Illumina MiSeq 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 and community-level physiological profiling (CLPP) based on sole-carbon-source utilization patterns. Both the rapid filters and BAC filters were dominated by Rhizobiales within ${\alpha}-proteobacteria$, but other abundant orders and gener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types of filter. Firmicutes were abundant only in the intermediate chlorinated rapid filter, while Acidobacteria were abundant only in the BAC filters.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rapid filter showed high utilization of carbohydrates, while those in the BAC filters showed high utilization of polymers and carboxylic acids. Thes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could be related to the different substrates in the influents, filling materials, and residual disinfectants. Chlorination and ozonation inactivated the existing bacteria in the influent and formed different bacterial communities, which could be resistant to the oxidants and effectively utilize different substrates produced by the oxidant, including Phreatobacter in the rapid filters and Hyphomicrobium in the BAC filters. Bradyrhizobium and Leptothrix, which could utilize compounds adsorbed on the GAC, were abundant in the BAC filters. Ozonation increased taxonomic diversity but decreased functional diversity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BAC filters. This study provides some new insights into the effects of oxidation processes and filling materials on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biological filters of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Geochemical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of Peshawar Basin, Pakistan

  • Akhter, Gulraiz;Mand, Bilal A.;Shah, Munir H.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43-57
    • /
    • 2021
  •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is vital due to its diverse use for several purposes. In the present study, groundwater quality and suitability from the Peshawar basin, Pakistan, were evaluated for drinking and irrigation purposes. The water samples were analysed for major cations (Ca, Mg, Na and K) and anions (chloride, bicarbonate and sulphate) along with other physicochemical parameters (pH, electrical conductivity, total dissolved solids, and total hardness). About 95% of the water samples were found to be within the WHO, US-EPA and Pak-EPA permissible levels for drinking purposes. Seventy percent (70%) of the water samples belonged to the hard water category. Irrigation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chloride, residual sodium bicarbonate, sodium adsorption ratio, percent sodium, magnesium adsorption ratio, Kelly's ration and permeability index were evaluated which demonstrated that the groundwater was highly to moderately suitable for irrigation. A correlation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utual associations among the variables. Piper diagram indicated the overall chemical nature of the study area was calcium-magnesium bicarbonate type. Cluster analysis revealed mutual apportionment of various parameters in the groundwater of the Peshawar basin, Pakistan.

A Case Study of Characterization of AOC Formation

  • Kim, Ji-Hoon;Hwang, Hyeon-Uk;Kim, Young-J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1-267
    • /
    • 2010
  • The variation of assimilable organic carbon(AOC) concentration at each condition of ozonation was investigated using a model water and drinking water resource. AOC concentration of model raw water and drinking water resource tended to increase at low ozone dose. The maximum AOC concentration was detected when the residual ozone begin to be measured. Also, the AOC concentration increase at pH 8 compared to both pH 6 and 7 while that for pH 9 decreased rapidly.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THMFP) by ozonation was also investigated. Unlike the trend of AOC, the THMFP concentration never increased by ozonation but decreased even at low ozone dosage. From these results, the ozone dosage would be effective to simultaneously decrease both AOC and THMFP.

왕겨의 재활용 및 하수처리 활용기술 개발 (Reuse of Rice-Hull and Appl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n Waste Water Treatment)

  • 신호상;안혜실;정동균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3년도 추계정기총회 및 국제심포지엄
    • /
    • pp.170-173
    • /
    • 2003
  • Activated Rice-Hull carbon was developed to remove ammonia compounds in water matrix. Isotherm adsorption tests of ammonia were conducted using a bottle-point technique and column test. Residual ammonia after Jar-Test or passing through the column was determined by Indophenol method, and assessed the removal efficiency for ammonia of the adsorbent. As a result, the adsorption capacity for ammonia of activated racehull carbon was very larger than that of coconut shell carbon, because the rice hull carbon had the higher BET surface area of silicate. The activated racehull carbon is under the development as adsorbent to remove ammonia in drinking water and waste water.

  • PDF

음료용 폐자동판매기에서의 HFC-134a 사용 및 폐기단계 탈루배출계수 결정에 대한 연구 (Estimation of Fugitive Emission Factors of HFC-134a from Scrap Cold Drinking Vending Machine at Use- and Disposal-Phase)

  • 이영표;김의건;김승도;변석호;김혜림;박준호;이동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50-355
    • /
    • 2013
  • 본 연구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냉매인 HFC-134a의 사용 및 폐기단계 탈루배출특성을 파악코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제품인 음료용 폐자동판매기 47대의 HFC-134a 냉매를 상업용 냉매 회수기를 사용 회수하였고, 잔류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용단계 탈루배출모델은 1차 동역학에 기초한 것으로 탈루율은 잔류 냉매 압력 즉 잔류량에 비례한다는 가정을 도입 적용하였다. 음료용 폐자동판매기의 배출시점에서의 잔류량과 사용기간 정보를 활용하여 탈루배출계수를 간접적으로 $6.9{\pm}0.7$ %/yr으로 결정하였고 이는 1대당 연간 11.6 g의 HFC-134a가 배출되는 것에 해당된다. 한편 음료용 폐자동판매기 냉매 평균 잔류율은 $62.5{\pm}2.2%$이었으며, 이는 1대당 잠재 탈루량을 144.8 g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음료용 자동판매기에서 회수한 폐냉매 성분 분석 결과가 신냉매와 거의 유사하여 폐냉매의 재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냉매회수 과정에서 압축기 오일이 30% 정도 포함되기 때문에 냉매 재사용을 위해서는 오일 분리가 필요하다.

폴리아민계 고분자 응집제의 합성조건 최적화 및 잔류물분석 (Optimization of Synthesis Condition and Determination of Residue for Polyamine Type Flocculant)

  • 최수영;박이순;임성현;류재정;최상준;황원주
    • 공업화학
    • /
    • 제9권7호
    • /
    • pp.1043-1046
    • /
    • 1998
  • 국내에서 상수원중의 부유물질 및 용존 유기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사용하는 알루미늄계 무기응집제들은 응집처리 과정에서 노인성 치매의 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알루미늄 이온을 상수원수에 잔류시킬 수 있으며, 상수의 탁도가 일시적으로 매우 높아질 때 효과적인 응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들을 대신한 epichlorohydrine-dimethylamine(EPI-DMA) poly(amine)계 고분자 응집제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사용이 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것을 도입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한 상태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EPI-DMA poly(amine)계 고분자 응집제의 국산화를 위해 EPI와 DMA의 조성비를 달리하거나 또는 반응시간, 반응온도 등의 합성조건을 변화시키면서 이들의 합성조건에 대한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여 대량생산을 위한 최적합성 조건을 구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조건을 달리하여 얻은 각각의 고분자 응집제들에 대한 점도를 측정하여 합성 방법에 따른 고분자 응집제의 효율을 조사하였으며, EPI, DCP, DCIPA, 그리고 CPDO 등 유해 잔류물의 양을 Gas Chromatography(GC)에 의해 정량하였다.

  • PDF

대규모 음용수 저장시설의 수질평가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of Tap Water in the Apartment in Taegu City)

  • 김석범;강복수;정종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69-75
    • /
    • 1988
  • 대구시내 6개구에서 각 2개소의 아파트와 각 1개소의 단독주책을 선정하여 총 18개소의 가정상수를 1987년 5월 12일에서 10월 15일 사이에 봄, 여름, 가을 3회에 걸쳐 채취하여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수질검사를 시행하였다. pH치는 최저 6.80에서 최고 8.10으로 모두 정상범위였으며, 잔류염소치 0.2ppm미만인 경우가 아파트군 16.7%, 단독주택군 5.6%였다. 아질산성 질소양성은 아파트군에서만 2.8%로 나타났다. 일반세균수가 $m{\ell}$당 100개 이상인 경우는 아파트군 11.1%, 단독주택군 11.1%였고, 대장균군의 MPN이 1.8%이상인 경우가 아파트군 27.8%, 단독주택군 33.3%였다. 잔류염소치, 아질산성 질소,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 검사에서 4가지 음용기준에 부적당한 것은 아파트군에서만, 2.7%였고, 3가지 검사에서 부적당한 것이 아파트군 2.7% 단독주택군 5.6%, 2가지 검사에서 부적당한 것이 아파트군 8.3% 단독주택군 5.6%, 1가지 검사에서 부적당한 것이 아파트군 25.0% 단독주택군 22.2%였다.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검사성적의 상호비교에서 잔류염소치와 일반세균수 사이에, 그리고 대장균균수와 일반세균수 사이에 연관성이 있었다. 아파트의 건립년수가 길수록 수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염소의 상수원 내 조류 이취미 Masking 효과 (Masking Effect of Chlorine on Algae-related Taste and Odor in Drinking Water Supplies)

  • 김영일;이유정;신흥섭;배병욱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7-232
    • /
    • 2008
  • The masking effect of chlorine on algae-related taste and odor(T&O) compounds has long been an important issue for water suppliers. In this study, masking experiments with chlorine were performed on two kinds of treated water and one of raw water. After adding chlorine(0 to 0.8 mg/L) to water samples, odor intensity was evaluated by a newly developed sensory method(2-out-of-5 odor test) for three days along with the measurement of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Even 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and odor reported by the sensory analysts was not always coincident, it was proved that residual chlorine more than a certain concentration could completely mask both added geosmin and naturally occurring T&O compounds. For the sand-filtered water spiked with 10 ng/L of geosmin, 0.12-0.18 mg/L of residual chlorine was necessary to achieve complete masking. In the case of GAC-filtered water, 10 ng/L of spiked geosmin was completely masked by 0.15-0.1 mg/L of residual chlorine. Combined ozone and GAC was not enough to treat raw water spiked with 300 ng/L of geosmin. In this experiment, sensory analysts were able to detect earthy or musty odors from the treated water. From a masking experiment with raw water taken from the Daechung Reservoir, it was found that fishy odor was more difficult to mask with chlorine than earthy odor. As the chlorine residual declined, the analysts began to notice the original odor and the fishy odor was noticed earlier than the earthy odor.

저수조 내 잔류염소 감소에 미치는 주요 영향 인자에 관한 문헌연구 (A Review Study on Major Factors Influencing Chlorine Disappearances in Water Storage Tanks)

  • 노유래;김상효;최성욱;박준홍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63-75
    • /
    • 2016
  •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정수처리장부터 최종 단계인 수도꼭지까지 일정 수준 이상의 잔류염소농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국내 문헌에 따르면 상수공급의 전체 과정 중에 30-60%의 잔류염소가 소실되고, 이에 대한 주요 원인으로 정수처리 과정에서 염소 사용량 감소 추세, 급수배관 내에서 염소분해 손실, 여름철의 높은 온도에 의한 잔류염소 분해 속도 증가, 급수배관의 노후화에 따른 잔류염소 손실, 저수조 내 저장 시 잔류염소 감소 발생 등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저수조를 거치는 급수 방식의 경우 최종 수도꼭지의 잔류염소 농도가 기준치보다 낮아질 개연성이 높고, 용량과 체류시간을 단순히 고려하는 기존의 저수조 설계 방식으로 인해서 수돗물 공급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이의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저수조 내 잔류염소 감소에 관여하는 주요 기작들인 수체 내 잔류염소 분해, 벽체 표면 흡착, 그리고 증발에 의한 물질전달을 수학적으로 묘사하는 공식들과 계수 값들을 문헌을 통해서 획득하고, 일반적 저수조 조건에서 모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저수조에 유입되는 수돗물 내 유기물 농도, 수돗물이 저수조에 유입되는 수리학적조건(난류 정도), 그리고 저수조 벽체 표면 재질의 흡착능 등이 저수조 내 잔류염소 감소에 주요 영향 인자들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획득된 결과들은 잔류염소 감소를 최소화하여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저수조 설계기법이나 기술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오존의 정수처리 적용을 위한 오존소비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zone Consumption Rate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with Ozone Application)

  • 강태희;오병수;권순범;손병용;강준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63-66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정수처리 공정에서 오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수중의 오존소비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오존의 소비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흐름주입분석법(FIA: Flow injection analysis)의 원리를 이용하여 오존분해속도 측정 자동화장치를 제작하였다. 수중의 오존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오존의 소비 경향은 순간적으로 오존이 소모되는 구간(I.D: instantaneous ozone demand)과 의사 1차 반응($k_c$: pseudo first-order rate constant)으로 소모되는 두 구간으로 나누어지며, 각 구간에서 오존 주입량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D와 $k_c$값을 이용하여 구한 모델식으로부터 시간에 따른 오존 잔류농도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예측된 모델간은 실험값과 비교하였을 때 거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H 라디칼의 농도 및 $R_{ct}$는 OH 라디칼 probe compound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계산하였다. I.D와 $k_c$ 구간에서 OH 라디칼 생성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OH 라디칼 생성 또한 오존 주입량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수처리 공정 및 계절에 따른 수질 차이에 의해서 오존소비인자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오존공정의 적절한 도입위치 및 주입량을 효과적으로 결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