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Asian lacqu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열분해/GC/MS에 의한 한국산 건조 옻 분석 (Analysis of dried Asian lacquer by pyrolysis/GC/MS)

  • 박종서;안선아
    • 분석과학
    • /
    • 제31권2호
    • /
    • pp.78-87
    • /
    • 2018
  • 옻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에서 접착제와 도료로 사용되어 왔다. 옻의 경화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화에 따른 화학구조 변화를 파악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불용성 고분자 분석에 유용한 열분해/GC/MS 방법을 이용하였다. 우선, 건조시킨 옻 도막을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열분해했을 때 $500^{\circ}C$ 이상에서 대부분 물질의 열분해가 일어났다. $500^{\circ}C$에서 열분해했을 때 반복성은 2.6~22.3 %로 양호하였으나, 시료량에 따른 열분해 산물 패턴에 차이가 있었다. 열분해 크로마토그램에서 1,2-benzenediol, 3-methyl-1,2-benzenediol 등 우루시올에서 기인하는 옻의 특징적인 성분을 확인하였다.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열분해산물 중 탄소이중결합 3개를 갖는 우루시올이 포화 우루시올에 비해 크게 감소하여 고분자화가 이중결합과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의해 설정된 분석조건은 출토유물에서 옻을 확인하거나 건조에 따른 옻의 성분 변화를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외선 열화 전후 건조 옻의 용매별 용출 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Dried Asian Lacquer by Solvents Before and After UV Degradation)

  • 박종서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3-111
    • /
    • 2020
  • 건조칠기 유물 세척 시 사용되는 다양한 용매을 대상으로 클리닝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건조칠과 자외선에 24일 노출시킨 건조칠에 물, 에탄올, 아세톤, 헥산을 가하여 녹아 나오는 물질을 열분해/GC/MS로 검출하였다. 용출되는 양은 아세톤과 에탄올에서 많았으며, 극성이 높은 용매인 물은 저분자량 용출에 비교적 효율이 좋았다. 비극성 용매인 헥산은 용출량이 매우 낮았다. UV에 24일 노출되어 열화가 많이 진행된 건조칠은 노출되기 전 건조칠에 비해 용출되는 물질이 크게 증가하였다. 열화가 되면서 고분자 형태의 우루시올 사슬이 절단되고 산화되는 과정을 거쳐 dicarboxylic acid를 포함한 저분자량의 극성 물질을 생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용출특성은 칠기유물을 클리닝하는 용매를 선택할 때 유물의 열화 상태와 더불어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경산 임당고분 출토 철제 고리자루칼 칠의 유기물 분석 (Organic Material Analysis of a Lacquered Wooden Sheath of Long Sword with Ring Pommel Excavated in Imdang Ancient Tomb)

  • 박종서;조하늬;이재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69-377
    • /
    • 2018
  • 경북 경산에 위치한 원삼국시대 고분인 임당1호분에서 출토된 칠초 철제 고리자루칼의 칠편에 대해 칠의 구성성분과 풍화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열분해/GC/MS법으로 유기물을 분석하였다. 직접 열분해/GC/MS법에서 칠편과 원주산 건조옻이 대체적으로 유사한 크로마토그램을 보였다. THM(thermally assisted hydrolysis and methylation)-열분해/GC/MS법의 경우 칠편에서 한국에 자생하는 옻나무 종의 특징적인 성분(1,2-dimethoxy-3-pentadecylbenzene 등)이 관찰되었다. 또한, dimethyl nonanedioate 등 건성유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이는 성분도 검출되었다. 칠편에서 산화된 catechol 성분이 다량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칠의 열화가 우루시올 성분의 산화와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부터 임당1호분 고리자루칼 칠은 옻과 건성유를 사용하였고 오랜 시간의 경과로 산화가 많이 진행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다.

열분해/GC/MS와 IR을 이용한 사찰 벽화 시편 교착제 분석 (Analysis of Binding Media Used in Mural Painting of Temple Wall by Pyrolysis/GC/MS and IR)

  • 박종서;이정원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45-354
    • /
    • 2017
  • 전남 진도군 소재 사찰의 보수 공사 중 벽화가 발견되어 제작기법 파악을 위해 교착제로 사용된 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해당 벽화 시편에 대해 열분해/GC/MS와 IR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열분해/GC/MS분석은 직접 열분해와 온라인 메틸화법을 도입하였다. IR 분석에서 아교, 옻, 황칠 등 전통 교착제와 초산아크릴계 수지의 스펙트럼을 벽화시편과 비교했을 때 유사하지 않았으며, 건성유인 아마인유와 비교했을 때도 유사도가 낮았다. 벽화시편의 열분해/GC/MS 분석 결과를 옻, 황칠, 아교, 초산아크릴수지와 비교했을 때 이들 물질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벽화시편에서 팔미트산, 옥타데칸산, nonanedioic acid, 옥타데센산 등 건성유에 특징적인 물질이 검출되었고, 경화 건성유와 유사한 열분해/GC/MS 크로마토그램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벽화는 건성유를 교착제로 사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심층면접을 통한 충북지역 종가(宗家) 음식문화 특성 연구 (Specialized Research on Food Culture of Main Family in Chung-Buk through In-Depth Interview)

  • 김미혜;한정인;정혜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74-593
    • /
    • 2015
  • This research's main objective was to analyze the special qualities of food culture of the Main Family in Chung-Buk through a case study on the diversified types of meals that the Main Family cooked, such as courtesy food, normal food, and seasonal food. The research identifies traditional ingredients of specialties from Chung-Buk through old literature. According to "Sejongsillokjiriji", there are a myriad of ingredients:, including jujube, ginseng, pine mushroom, manna lichen, persimmon, mandarin fish, crab, sweetfish, lacquer, honey, and terrapin, which represent Chung-Buk's unique ingredients. Another reliable source, "Banchandungsok", does not provide a detailed list of traditional foods, but rather a simple list. The majority of food from Chung-Buk, in "Banchandungsok", consist of side dishes like kimchi and salt greens. Eventually, salt greens became diversified. As Chung-Buk is a landlocked province, people often used dried pollack. Kimchi and raw coaker were frequently used as well, and rice cakes encompassed multiple ingredients such as: jujube, mushroom, pine nut, and, dried persimmon.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diversity of food and amount of dishes used by the Main Families of Chung-Buk dependent on the ingredients and wealth of each Main Family. Chung-Buk has a landscape full of mountains, so potatoes were abundant and used to make potato Dasik. When cooking process was completed, people placed kelp on to the finished product. Seasonal foods were considered very important, especially on special occasions such as Backjoong, which was a day dedicated to laborers. These foodsprovided a good opportunity for the community to build stronger bonds by sharing rice cake and Yukgaejang with other members of the community. It is apparent that "Jeobbingac" culture, or guest culture, flourished since people in Chung-Buk are traditionally taught to leave spare food for the guest at all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