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edging volum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8초

준설용 커터헤드 운영방식에 따른 준설효율 향상특성 분석 (Analysis of Dredging Efficiency for Operation of Dredging Cutter Head)

  • 채동석;박재현;김영도;김명학;이만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5-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준설용 커터헤드의 운영특성에 따라 준설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현재 현대건설에서 보유중인 아산 3호의 설계도를 바탕으로 커터헤드를 설계하였으며, 수리실험을 위해 $4.2m{\times}2.2m{\times}1.5m$ 대형수조를 제작하였고, 준설 운영에 필요한 여러 실험용 장치를 제작하였다. 준설효율 실험에서는 다양한 커터헤드 속도, 준설 깊이, 흡입 속도, 등에 관해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커터헤드의 회전 속도가 준설효율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커터헤드의 준설깊이에 따른 준설효율특성을 분석하였다. 최대 준설효율은 흡입속도가 2.0m/s 일 경우에 발생하였다. 잠재준설부피에 대한 커터헤드의 거동부피에 대한 무차원 분석을 수행한 결과 준설깊이에 따른 적절한 커터헤드의 회전력과 좌우 이동 속도가 결정되어야 최적의 효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준설토의 유실율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Loss Rate of Hydraulic Fills)

  • 김홍택;노종구;김석열;강인규;김승욱;박재억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5-192
    • /
    • 2000
  • Recently, the hydraulic fill method is commonly used in many reclamation projects due to lack of fill materials. The method of hydraulic fill in reclamation is executed by transporting the mixture of water-soil particles into a reclaimed land through dredging pipes, then the dredged soil particles settle down in the water or flow over an out flow weir with the water. In the present study, practice each three method in order to suggest method of determining the loss rate of the dredged fills. The first sieve and hydrometer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e soil samples obtained before and after dredging and then apply theory of particle breakage, the second compare with the volume of dredged soil between at the dredging area and the target pond and the last compare with weight of dredged soil between before and after dredging at the dredging area and in the target pond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soil particles residual at the reclaimed area and the loss of soil particles passed through the weir. In addition to compare with the loss ratio between as using Marsal's modified theory of particle breakage and measured weight and volume in the field.

  • PDF

GPS/GPR을 이용한 저수지 준설능력 향상 (Improve of Reservoir Dredging Ability Using GPS/GPR)

  • 이동락;홍정수;백기석;배경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57-65
    • /
    • 2006
  • 일반적으로 퇴적물 준설에 대한 조사는 GPS/Echo Sounder 및 Total Station/Echo Sounder를 조합한 음파탐사 방법을 이용하여 대상지의 수평위치 및 수심에 대한 관측을 실시하고 있으며, 하상의 단면계산, 저수량 및 준설계획량 등을 추정하게 된다. 이후 준설계획에 대한 계획고 및 준설토량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하지만 Echo Sounder를 사용하는 음파탐사 방법은 퇴적물에 대한 정확한 분포를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저수지 하부의 퇴적물 및 이의 분포를 파악하여 저수지 준설계획을 수립하여 기존의 탐사방법에 대한 준설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기존의 음파탐사 방식과 다른 레이더탐사 장비를 이용한 GPS/GPR(Ground Penetration Radar)을 사용하여 저수지의 수평위치, 수심값을 결정하고 동시에 원지반에 분포하고 있는 퇴적물의 분포를 추정, 준설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현장의 시료채취를 통한 수조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장비에 대한 정확도 검증을 거친 후 현장적용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Magnetic force assisted settling of fine particles from turbid water

  • Hong, H.P.;Kwon, H.W.;Kim, J.J.;Ha, D.W.;Kim, Young-Hu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7-11
    • /
    • 2020
  • When rivers and lakes are contaminated with numerous contaminants, usually the contaminants are finally deposited on the sediments of the waterbody. Many clean up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contaminated sediments. Among several technologies dredging is one of the best methods because dredging removes all the contaminated sediments from the water and the contaminated sediments can be completely treated with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However the most worried phenomenon is suspension of fine particles during the dredging process. The suspended particle can release contaminants into water and resulted in spread of the contaminants and the increase of risk due to the resuspension of the precipitated contaminants such as heavy metals and toxic organic compounds. Therefore the success of the dredging process depends on the prevention of resuspension of fine particles. Advanced dredging processes employ pumping the sediment with water onto a ship and release the turbid water pumped with sediment into waterbody after collection of sediment solids. Before release of the turbid water into lake or river, just a few minutes allowed to precipitate the suspended particle due to the limited area on a dredging ship. However the fine particle cannot be removed by the gravitational settling over a few minutes. Environmental technology such as coagulation and precipitation could be applied for the settling of fine particles. However, the process needs coagulants and big settling tanks. For the quick settling of the fine particles suspended during dredging process magnetic separation has been tested in current study. Magnetic force increased the settling velocity and the increased settling process can reduce the volume of settling tank usually located in a ship for dredging. The magnetic assisted settling also decreased the heavy metal release through the turbid water by precipitating highly contaminated particles with magnetic force.

드론과 센서를 이용한 저수지 수량 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System for Water Volume of the Reservoir using Drone and Sensors)

  • 김형균;황준;방정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7-54
    • /
    • 2019
  • 현재 건설되고 있는 댐이나 농업용 저수지와 같은 하천 시설의 준설은 안정적인 저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저수지나 댐의 정확한 담수량을 실시간으로 알려 주는 시스템을 찾기는 어렵다. 이러한 측정을 위해서는 매우 정확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자동화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다중분할체적 계산을 통해 저수지의 담수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면 침전물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정확한 준설 시기와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준설 물량 산출을 위한 지반정보 3차원 가시화 프로그램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n Geotechnical Information 3D Visualization Program for Dredging Quantity Estimation)

  • 이보영;황범식;김한샘;조완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7호
    • /
    • pp.35-42
    • /
    • 2016
  • 국내 및 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간척사업은 대규모 매립재가 필요하나 육상에서 얻을 수 있는 매립재는 한정되어 있어 해상준설토를 활용하기 위한 지반 정보화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준설지역 지반조사 자료의 디지털 공간 정보화를 통해 신뢰도가 고려된 3차원 준설 물량의 자동 산출이 가능한 GIS 기반의 준설 매립지반 DB 구축 및 3차원 준설 매립 정보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현장에서 준설된 물량과의 비교 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새만금 지역의 군장항 인근 지반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된 프로그램과 3차원 준설 매립 정보화 상용 프로그램으로 지반정보의 3차원 가시화를 수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시화 수준, 각 지층의 단면 및 심도, 정량적 준설 물량 산출 결과를 비교하여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 각각 산출된 준설 물량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침매터널공사의 준설작업에 따른 안전통항방안 (Safe Navigation Plan for Dredging Operations to build Sunken Tunnel for Access Road between Busan-Geoje)

  • 김정훈;국승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25-831
    • /
    • 2006
  • 본 연구는 준설선을 이용하여 가덕수도를 횡단하며 준설공사를 하는 동안에 선박들의 안전한 통항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건설공사 중 가덕수도의 해저로 횡단하는 침매터널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준설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불가피하게 준설선이 가덕수도 항로를 횡단하며 준설을 해야 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가덕수도를 통항하는 선박들의 잠재적인 위험상황으로 충돌 등의 해양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선박의 안전통항방안을 모색하고 대책을 제시하였다. 먼저 해상교통량을 추정하고 교통혼잡도를 평가한 결과 장래(2009년)까지 주간 중에 통항량이 최대통항능력에 대비하여 20%미만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항로설계원칙의 검토를 통해 임시항로를 설정하여 준설공사를 3단계로 나눠 실시하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부산신항 VTS 센터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합류부 하상고 불일치에 의한 분리구역 특성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Zone Due to a Bed Discordance at Confluence)

  • 최흥식;모선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8호
    • /
    • pp.625-634
    • /
    • 2015
  • 합류부에서의 지류의 합류각, 지류와 본류의 유량비에 추가하여, 본류 준설에 의한 하상고 불일치에 따른 다양한 양상의 분리구역의 특성을 CCHE2D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리구역은 지류가 합류되어진 직후 단면에서의 유속이 0(영)인 경계로 정의하였다. 합류각 $30^{\circ}$ 이하에서는 분리구역이 형성되지 않았다. 유량비와 합류각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준설 깊이비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크기는 합류부 수용체의 증가에 기인한 지류에서의 상대적인 운동량의 감소로 인하여 감소되었다. 유량비와 합류각의 변화에 따른 분리구역의 수축지수를 규명하였고, 통수기능의 저하에 따른 배수영향을 확인하였다. 합류각, 유량비, 준설 깊이비에 따른 분리구역의 형상지수의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준설토의 유실율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Loss Ratio in Dredged Soils)

  • 김석열;김승욱;노종구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606-611
    • /
    • 1999
  • Recently , the hydraulic fill method is commonly used in many reclamation projects due to lack of fill materialss. The method of hydraulic fill i recalmation is executed by transporting the mixture of water -soil particles into a relcaimed land through dredging pipes, then the dredged soil particels settle down in thewater orflow over an out flow weir with the water. The amount of the volume reductions of dredged soil is considered the sum of the overall settlement by descication shrinkage and self-weigth consolidation and the loss of soil particles flow over a weir. In the present study, hydromete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soil samples obtained bofore and after dredging to estimate the amount of soil particles residual at reclaimed area and the loss of soil particles , then it was suggested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loss ratio of dredged soils from the tests results. The hydrometer analysis of in-situ soil samples showed that the loss ratio of dredged soils is lowest at the nearest point to dredge pipe and highest at the nearest point of out flow wei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