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wntown cultural asse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경관시뮬레이션분석기법을 활용한 도심권 문화재의 조망축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통영시 도심 내 국가지정문화재의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Securing the View Axis of Cultural Heritage Using Landscape Simulation Analysis in Downtown - Focu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Conservation Area of State-Designated Heritage in the Tongyeong City' Downtown -)

  • 조홍석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3호
    • /
    • pp.29-44
    • /
    • 2012
  • If cultural Heritageis located in the downtown, conservation areas was developed or is being developed In most cases Therefore, in this case, the relative height of the building during construction than the regulatory limit is reasonable, is emerging need to be objectified. This study was utilizes GIS analysis techniques for 'View Corridor' and building height standards were determined. First, 'View Corridor' set and building height restrictions for the analysis of urban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in. In particular, the topography and urban planning, and existing buildings, including the distribution of the physical urban environment, with detailed analysis on the 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with a combination of a review of the impact factor for the formation of the urban landscape recognize the scope has been expanded. Second, the key selection criteria for View point largely focused on cultural Heritageand the surrounding communicative point of view and, consequently, connectivity, and symbolism, accessibility, analysis, factors such as Prospect, setting the standards by applying a detailed assessment of each item the main view point were derived. Third, the derived key View point on the terrai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simulation analysis carried out by considering together the main axis, and this suggests a reasonable height for the proposed standards.

대전 원도심 소리풍경에 관한 의미론적 연구 - 대흥동 성당과 은행동 성심당 종소리를 중심으로 - (A Semantic Study on the Soundscape of the Historic Downtown of Daejeon - Focusing on the Bells of Daeheung-dong Cathedral and Enhang-dong Sungsimdang -)

  • 김명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64-7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원도심의 랜드마크이자 명소인 중구 대흥동 성당과 은행동 성심당 두 장소의 종소리가 지닌 사운드스케이프의 성격과 의미를 조명하는 것이다. 연구는 현장 답사 및 녹취, 관련 자료와 사운드스케이프 이론 등의 문헌연구에 의해 이루어졌다. 대전시는 20세기 초 일제강점기에 철도 대전역과 함께 생성된 도시로,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면서 대전역 인근에 위치한 중구 대흥동과 은행동 일대는 크게 발달하며 원도심을 형성하였다. 90년대에 서구로 주요 행정기관이 대거 이전하면서 대전 원도심은 쇠락의 길을 걷게 되었고 세종시 개발로 쇠락은 가속화되었다. 그런 가운데, 대흥동 성당과 한국전쟁 당시 한 피난민에 의해 설립된 성심당은 원주민들이 떠나간 대전 원도심을 굳건히 지키고 있다. 대흥동 성당은 일제 강점기에 설립되어 2019년 들어 100년의 역사를 지니게 된 지역 랜드마크로, 일제 강점기에 탄생한 대전시와 역사를 같이 하는 역사문화자산이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탄생한 성심당 또한 설립 60년의 역사를 지닌 역사문화자산이자 대전 명소 1위로 선정된 지역 랜드마크이다. 인근 주택가에까지 들려오는 대흥동 성당의 종소리에서 출발한 이 탐구는, 대로 건너에 위치한 은행동 성심당의 종소리를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는 대흥동 성당과 은행동 성심당의 종소리가 시그널 사운드(signal sound)를 넘어 사운드마크(soundmark)의 성격을 지님을 머레이의 사운드스케이프 소리 범주를 통해 파악하였다. 나아가 비교적 최근의 EU 사운드스케이프 정의에 따라 두 종소리의 의미 분석을 시도했다. 두 종소리는 표층적 차원에서는 시그널사운드이지만 심층적 차원에서는 대전 원도심의 사운드마크이다. 외형적으로는 규모나 스케일, 빈도, 유명도에서 차이가 있으나, 두 종소리는 특별한 인연의 역사성과 장소성, 로컬리티와 선한 영향력 등에서 의미를 공유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전 중구 원도심 도시 재생 혹은 도시 개발에서 두 장소가 시각적 랜드마크 뿐만 아니라 사운드마크로서도 지역 역사문화자산임을 밝힌 데 있다.

서울시청 앞 광장 조성 계획 (Design Proposal of Seoul City Hall Plaza)

  • 이민우;안세헌;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4-45
    • /
    • 2003
  • The motivation for transforming the Seoul City Hall plaza into place for pedestrians was prompted by the 2002 World cup event. This place has diverse time layers ranging from the Yi-dynasty to the present. Around city hall, diverse cultural assets and distinctive architecture are scattered. The place is a kind of melting pot that represents different times and cultures in the city. Transforming place for cars into place for citizens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in city making policy such as high priority for pedestrians in urban design and enhancement of the public open spaces through downtown remodelling. Our plan is to propose the idea of Media plaza.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now can be summarized as Media because the W industry and infrastructure are well developed in the city. ´Seoul Media Plaza´ adopts high-tech infrastructures such as RGB color post, multi box, I-Gate, etc as design materials. Three concepts of the plan are ´evolutionary plan´, ´flexible plan´, and ´participatory plan´. First, the plan will embrace the future changes of external conditions. Second, the plan should be flexible to accomodate the diverse activities in the plaza. Another special aspect of the plan is a kind of open plan. The ground surface of the plaza will be changed in its pattern and shape by citizen participation. Finally, the ´Seoul Media Plaza´ attempts to represent the spirit of Seoul and to connect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while promoting citizen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