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wn Sampling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3초

하드웨어 기반 HEVC 인트라 인코더에서 다운 샘플링을 사용한 고속 Rough Mode Decision (Down Sampling for Fast Rough Mode Decision for a Hardware-based HEVC Intra-frame encoder)

  • 장지훈;이채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41-348
    • /
    • 2016
  • HEVC 표준은 기존의 H.264 표준을 대체할 차세대 고효율 영상 압축 코덱이다. H.264 표준에 비해 약 50% 수준으로 비트레이트를 감소시켰지만 계산 복잡도는 약 1.4배 정도 증가하였다. 계산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고속화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어 왔다. 인트라 코딩에는 rough mode decision(RMD) 기법이 적용되었다. 최적의 모드를 선정하기 위한 rate-distortion optimization (RDO) 과정은 복잡도가 높기 때문에 RMD를 사용하여 더 간소화된 방법으로 RDO 단계를 위한 후보 모드들을 선정한다. 그러나 큰 사이즈의 블록들의 경우 RMD 과정 역시 계산 복잡도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RMD 과정에서 참조 픽셀을 가져오고, 예측 픽셀 생성하는 과정에서 다운 샘플링을 적용하였으며 참조 소프트웨어에 적용된 기존 RMD 방식에 비해 계산량을 70%가량 줄일 수 있었다. 이때 BDBR 증가는 0.04%로 미미한 수준이다. 제안한 다운샘플링 기법을 RMD 하드웨어에 적용하면 게이트 카운트는 약 33%, 버퍼의 크기는 약 66% 줄어든다.

N개 RF 신호의 직접 하향 변환시에 요구되는 효율적인 대역통과 샘플링 주파수 획득 방법 제안 (An Efficient Method for Valid Bandpass Sampling Frequency in the Downconversion Process of N RF Signals)

  • 배정화;박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2C호
    • /
    • pp.1249-1256
    • /
    • 2006
  • 본 논문은 대역통과 샘플링(bandpass sampling)이론을 사용하여 N개 RF 신호를 하나의 통신기기에서 직접 하향변환(down-conversion)할 때 요구되는 유효 샘플링 주파수 영역(valid sampling frequency range) 및 최소 샘플링 주파수를 찾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식은 기존의 방식보다 효율적이며 복잡성이 낮은 방식을 새롭게 고안하여 N개의 신호에 대하여 수식을 유도하고 일반화 하였으며 컴퓨터 모의실험(simulation)을 통해 이 수식들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알고리즘은 샘플링 주파수를 결정할 때 인접 IF 신호간의 보호대역(guard-band)이 고려되어 실제적인 하드웨어 설계 측면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방식과의 비교를 통해 그 복잡성(complexity) 및 정확성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샘플링율이 맥박변이도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분석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Sampling Rate to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Pulse Rate Variability)

  • 양윤라;신항식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7호
    • /
    • pp.1247-1251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mpling frequency to the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pulse rate variability (PRV). Typical time domain variables - AVNN, SDNN, SDSD, RMSSD, NN50 count and pNN50 - and frequency domain variables - VLF, LF, HF, LF/HF, Total Power, nLF and nHF - were derived from 7 down-sampled (250 Hz, 100 Hz, 50 Hz, 25 Hz, 20 Hz, 15 Hz, 10 Hz) PRVs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of heart rate variability of 10 kHz-sampled electrocardiogram. Result showed that every variable of time domain analysis of PRV was significant at 25 Hz or higher sampling frequency. Also, in frequency domain analysis, every variable of PRV was significant at 15 Hz or higher sampling frequency.

SDR front-end를 위한 Complex Bandpass Sampling (Complex Bandpass Sampling for SDR front-end)

  • 왕홍매;김재형;김형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805-1812
    • /
    • 2011
  • Bandpass sampling(BPS) 기술은 나이퀴스트(Nyquist) 샘플링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RF 대역의 신호를 직접 하향변환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나이퀴스트 영역에서 self-image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는 샘플링 주파수의 선택에 제약이 따른다. 2개의 ADC를 사용하는 2차(second-order) BPS는 self-image를 제거하기 위한 신호처리가 추가 된다는 조건으로 샘플링 주파수의 선택이 자유롭다. 하지만 RF 대역이 바뀌면 신호처리를 위한 파라미타를 재구성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2차 BPS의 한 형태인 quadrature BPS의 구조를 가지면서, 재구성이 필요 없는 간단한 보상 필터만을 사용하여 임의 RF 대역으로부터 나이퀴스트 영역으로 하향 변환하는 complex BPS 기반의 SDR front-end에 대하여 기술한다.

보간 방법에 따른 언더샘플링된 광용적맥파 복원 가능성 평가 (Reconstruction of the Undersampled Photoplethysmogram with Various Interpolation Methods)

  • 신항식;김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8호
    • /
    • pp.1418-142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mpling frequency on the photoplethysmography (PPG) an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nterpolation methods for under-sampled PPG. We generated down-sampled PPG using 10 kHz-sampled PPG then evaluated waveshape changes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50 Hz or below sampling frequency. We interpolated the down-sampled PPG using four interpolation method-linear, nearest, cubic spline and piecewise cubic Hermitt interpolation polynomial - then evaluated interpolation performance.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PPG waveform that was sampled over 20 Hz could be reconstructed by interpolation. Among interpolation methods, cubic spline interpolation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However, every interpolation method has no or less effect on 5 Hz sampled PPG.

u-헬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생체신호 압축 처리 (Application of Biosignal Data Compression for u-Health Sensor Network System)

  • 이용규;박지호;윤길원
    • 센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52-358
    • /
    • 2012
  • A sensor network system can be an efficient tool for healthcare telemetry for multiple users due to its power efficiency. One drawback is its limited data size. This paper proposed a real-time application of data compression/decompression method in u-Health monitoring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network efficiency. Our high priority was given to maintain a high quality of signal reconstruction since it is important to receive undistorted waveform. Our method consisted of down sampling coding and differential Huffman coding. Down sampling was applied based on the Nyquist-Shannon sampling theorem and signal amplitude was taken into account to increase compression rate in the differential Huffman coding. Our method was successfully tested in a ZigBee and WLAN dual network. Electrocardiogram (ECG) had an average compression ratio of 3.99 : 1 with 0.24% percentage root mean square difference (PRD). Photoplethysmogram (PPG) showed an average CR of 37.99 : 1 with 0.16% PRD. Our method produced an outstanding PRD compared to other previous reports.

영상 화질 평가 딥러닝 모델 재검토: 스트라이드 컨볼루션이 풀링보다 좋은가? (Revisiting Deep Learning Model for Image Quality Assessment: Is Strided Convolution Better than Pooling?)

  • 우딘 에이에프엠 사합;정태충;배성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32
    • /
    • 2020
  • Due to the lack of improper image acquisition process, noise induction is an inevitable step. As a result, objective image quality assessment (IQA) plays an important role in estimating the visual quality of noisy image. Plenty of IQA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cluding traditional signal processing based methods as well as current deep learning based methods where the later one shows promising performance due to their complex representation ability. The deep learning based methods consists of several convolution layers and down sampling layers for feature extraction and fully connected layers for regression. Usually, the down sampling is performed by using max-pooling layer after each convolutional block. We reveal that this max-pooling causes information loss despite of knowing their importance. Consequently, we propose a better IQA method that replaces the max-pooling layers with strided convolutions to down sample the feature space and since the strided convolution layers have learnable parameters, they preserve optimal features and discard redundant information, thereby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 PDF

불균형 자료에 대한 분류분석 (Classification Analysis for Unbalanced Data)

  • 김동아;강수연;송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3호
    • /
    • pp.495-509
    • /
    • 2015
  • 일반적인 2집단 분류(2-class classification)의 경우, 두 집단의 비율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두 집단의 비율이 크게 차이나는 불균형 데이터(unbalanced data)의 분류 문제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불균형 데이터의 분류방법은 균형이 맞는 데이터(balanced data)의 경우보다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런 자료에서 보통의 분류모형을 적용하게 되면 많은 경우에 대부분의 관측치가 큰 집단으로 분류 되는 경우가 많은데 실질적인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이런 오분류가 손해가 더 큰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는 sampling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류 방법론의 성능을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비대칭 손실(asymmetric loss)을 가정한 경우에 어떤 방법론이 가장 작은 loss를 생성하는 지를 비교하였다. 성능 비교를 위해서는 오분류율(misclassification rate), G-mean, ROC, 그리고 AUC(Area under the curve) 등을 이용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다운증후군의 진단 (Diagnosis of Down Syndrome Using PCR)

  • 김영태;이희경;임혜경;김정현;김선행;구병삼;주갑순;이민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2호
    • /
    • pp.201-206
    • /
    • 1994
  • Down syndrome is one of the major chromosomal anomalies in Korea. To decrease incidence of Down syndrome, antenatal diagnosis is essential. At present, antenatal diagnosis of Down syndrome is done by karyotyping from chorionic villus sampling, amniocentesis, and cordocentsis. All these methods have some problems such as a risk of abortion, a long waiting time, difficulties in sampling, and so on. The aim of study was to confirm that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D21S11 primer could be a diagnostic tool for Down syndrome. PCR using D21S11 primers with $^{32}P$ labeling at 5' end was done in 21 cases of DNA from 21 Trisomy and 20 cases of DNA from normal karyotype. PCR product was running for 10 hours on the 6% polyacrylamide gel under 1,000 V or for 8 hours under 1,500 V. After X-ray film exposure, it was read by densitometry. Normal group showed 1: 1 band or single band. 21 Trisomy group showed 1.3-2: 1 band or 2.3 times of density compared to normal single band or 3 bands. This method gave the result within 24 hours. It can be an useful diagnostic tool to detect 21 Trisomy antenatally, especially in late pregnancy, and in preimplantation diagno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