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ghnuts typ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반응표면 방법에 의한 도우넛용 냉동 yeast dough의 안정성 향상 (Improvement of Frozen Yeast Dough Stability for Doughnut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영춘;강윤영;이경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0-516
    • /
    • 1991
  • 냉동용 yeast doughnut dough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정배합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설탕, SSL 및 $KBrO_{3}$의 첨가량을 3 변수와 3 levels fractional factorial 설계에 의하여 RSM computer program을 사용하여 최적조건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의 부피에 가장 가까운 도우넛을 생산하는데 적합한 배합은 premix에 설탕 2%, SSL 0.3%, $KBrO_{3}$ 25ppm을 첨가하는 것이었으며, 이때 compressed yeast는 premix의 7.8%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대조구의 텍스쳐에 가까운 도우넛을 생산하는데 적합한 배합은 premix에 설탕 2%, SSL 0.4%, $KBrO_{3}$ 10ppm을 첨가하는 것이었고, 전체적인 품질이 우수한 도우넛을 생산하는데 적합한 배합은 premix에 설탕 2%, SSL 0.4%, $KBrO_{3}$, 20ppm을 첨가하며, 이 때 역시 compressed yeast는 premix의 7.8%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반죽을 만들 때 floor time을 생략하는 것이 도우넛의 부피와 텍스쳐를 우수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와 같이 결정된 냉동용 yeast doughnut dough의 배합비에 따라 반죽을 만들어 성형한 다음 $-18^{\circ}C$에서 냉동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 저장 2주까지는 도우넛의 부피와 텍스쳐가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나, 3주 후부터는 대구조보다 바람직하지 못하게 나타났다.

  • PDF

시판 튀김식품의 지질함량과 지방산 조정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Various Deep-Fat Fried Foods)

  • 주광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2-166
    • /
    • 1991
  •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5종류 20가지 튀김식품을 구입하여 이들 튀김 식품에 함유되고 있는 지질의 함량과 그 조성을 알아보고저 하였따. 조사한 식품의 종류는 도오너츠, 야채튀김, 핫도구, 닭 튀김 그리고 프렌치 프라이였다. 모든 튀김 식품군의 총지질 함량은 평균 20%를 상호하였고 도오너츠중 하나는 55.2%로서 모든 시료중에서 가장 높은 지질함량을 나타내었다. 극성지질함량은 평균적으로 총지질 함량 중 거의 40%였으며 높은 극성지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각 식품에서 추출된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모든 식품군에서 공통적으로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oleic acid 그리고 linoleic acid의 순서인 것이 특징이었다. 그 외 미량이나마 myristic acid를 위시하여 arachidic, eicosenoic, erucic acid 등으로 조성되어 있었다.

  • PDF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성별과 영양지식 수준에 따른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태도 비교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Dietary Attitudes by Gender and Nutrition Knowledge Level in Upper-grade School Children)

  • 연미영;한영희;현태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7-322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dietary attitudes by gender and nutrition knowledge level in upper-grade school children. Subjects were 223 boys and 208 girls attending 13 elementary schools (5 th and 6 th grader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asses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dietary attitudes. Nutrition knowledge score assessed by 19 ques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several items in dietary habits such as enough breakfast time, dinner regularity, number of side dishes, eating speed, type of snack after dinner, and degree of saltiness of dishes. Girls consumed staple foods such as rice, noodles or bread more frequently, and consumed less frequently ramyun, fried foods, fast foods, and Chinese foods than boys. In addition, girls had more positive dietary attitudes in trying to reduce fast foods, Chinese foods, ramyun and fried foods. Also children in the high or moderate nutrition knowledge level groups had better dietary habits in frequency of meals, frequency of breakfast, enough breakfast time, dinner regularity, activity during the meal, number of side dishes, eating speed, type of snack after dinner, and better food choices by eating staple foods and vegetable side dishes, meats and beans more frequently, and fried foods, doughnuts/cakes, Chinese foods less frequently, and had better dietary attitudes in breakfast, vegetables and fruit intake than children in the low nutrition knowledge level group. Our results showed that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dietary attitudes were different by gender and nutrition knowledge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and nutrition knowledge level should be considered.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may change dietary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through increasing nutrition knowledge.

치과 도재용 금속의 재사용에 따른 금속과 도재간의 결합 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D STRENGTH BETWEEN REUSED DENTAL ALLOYS AND PORCELAIN)

  • 김인;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1-190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hear bond strength between various percentage of reused dental ceramic alloys and porcelain. One hundred specimens were made of one semiprecious alloy and three nonprecious alloys. Each alloy group was subde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additional precentage of new alloy. Group I specimens were made of 100% new alloy and served as the control of the investigation. Group II specimens were made of once-cast alloy with 75% new alloy. Group III specimens were made of once-cast alloy with 50% new alloy. Group IV specimens were made of once-cast alloy with 25% new alloy. Group V specimens were made of 100% recast alloy. Five specimens were made for each group of the alloy combinations. The test specimens were prepared by firing porcelain doughnuts on the alloy rod surface, and invested in dental stone.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head speed of 0.5mm/min. The fractured surface of metal specimens were examined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hear bond strength of Albabo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reused alloy group. 2.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used alloy groups of nonprecious alloys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s. 3.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porcelain and metal in semiprecious alloy was higher than in nonprecious alloys 4. In nonprecious alloys. Rexillium III showed the highest bond strength value and Excelalloy showed the lowest shear bond strength value. 5. Regardless of the type of alloys and additional proportion of new alloys,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s of the fracture surface between alloy and porcelain revealed simillar semiprecious alloy and nonprecious alloys.

  • PDF

소아 장중첩증의 새로운 임상적 분류의 제안 (A Suggested New Clinical Classification for Pediatric Intussusception)

  • 박문호;손수민;최병규;김여향;이희정;최원정;김애숙;황진복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1호
    • /
    • pp.39-47
    • /
    • 2006
  • 목 적: 임상적, 방사선과적인 소견을 근거로 소아장중첩증의 새로운 분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장중첩증으로 진단된 88예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정보를 분석하였다. 분류를 위해 환자의 나이, 장중첩증의 위치, 증상의 유무, 치료 방법, 비후된 장간막 림프절의 유무, 초음파 소견 이상의 6가지 요소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 1) 장중첩증의 발병 연령에 따라 신생아형 1예(1.1%)와 소아형 87예(98.9%)로 나눌 수 있었다. 2) 소아형은 발생 위치에 따라 소장형 14예(16.1%)와 소장-대장형 73예(83.9%)로 분류되었다. 소장형은 증상이 있는 군 12예와 증상이 없는 군 2예로, 증상이 있는 군은 일과성 장중첩증 8예(66.7%), 수술군 3예(25.0%), 관장 정복 1예(8.3%)였으며, 무증상 군은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우연히 관찰된 2예였다. 소장-대장형은 수술군 19예(26.0%)와 비수술군 54예(74.0%)로 분류되었다. 3)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 8예를 수술을 받은 소장형 6예, 정복된 소장-대장형 54예, 수술을 받은 소장-대장형 19예와 비교 분석한 결과,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의 연령은 $38.0{\pm}22.9$개월로 다른 형태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고(p=0.003), 혈변은 전체 8예 중 1예(12.5%)로 의미 있게 낮았으며(p=0.022), 기면은 모든 예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단순 복부 엑스선 사진상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에서 복부 종물(p=0.015)과 기계적 장폐쇄증(p=0.001)은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었으며, 초음파상에서 종물의 크기는 일과성 소장형에서 $20.8{\pm}2.7mm$로 의미 있게 작은 크기를 보였다(p=0.0001). 4) 비후된 장간막 림프절 유무와 치료 방법 및 동반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초음파상 과녁 모양인 경우 11예 중 7예(63.6%)가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정복이 가능하였으며 4예 중 3예는 소장-대장형이었으나, 1예는 회장-회장-대장형이었다. 도넛 모양인 23예 중 저에코성 외곽 테두리의 두께가 8.9 mm 이상인 8예(34.8%) 모두에서 수술을 요하였고, 8.5 mm 미만인 15예(65.2%) 모두는 정복이 가능하였다. 결 론: 소아 장중첩증은 영상학적인 소견과 임상적 특성에 따라 새롭게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유형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유도하는데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전광역시 노령화 지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 (Spatial Distribution of Aging District in Taejeon Metropolitan City)

  • 정환영;고상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9
    • /
    • 2000
  • 본 연구는 중부지역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는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노령화 지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노령화 지구는 대전광역시 CBD지역과 CBD인접지역, 그리고 주변지역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분포에 있어서도 양극화 현상이 뚜렷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구감소지구는 노령화지구와 대체로 중복되어 있고, 비노령인구의 전출에 의하여 노령인구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인구증가지구는 노령화 지구와 전혀 중복되어 나타나지 않고, 비노령인구의 전입에 의해 노령인구비율이 낮아지고 있다. 인구이동에 의한 노령인구의 증가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그룹별로 연령 코호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노령화 지구의 출현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구노령화의 진행 은 인구의 사회적 증감률 변화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특히 비노령인구의 전출에 의해 노령인구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BD지역과 CBD인접지역을 포함한 중심시가지에서는 결혼, 새로운 주택취득에 의한 세대분리 등의 전출, 즉, 비노령인구의 전출이 인구노령화를 촉진하는 주요인이 되고 있고, 반면 주변지역에서는 비노령인구의 지구의로의 전출뿐 아니라 새롭게 노령인구로 편입되어져 가는 연령층 인구와 사망률의 저하에 따른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노령인구의 절대적 증대가 인구노령화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