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imeter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25초

방사선피폭관리시스템를 위한 D-Shuttle 선량계의 방사선 선량측정 (Radiation Dose Measurement of D-Shuttle Dosimeter for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System)

  • 권대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21-328
    • /
    • 2017
  • D-Shuttle (Chiyoda Technol Corporation, Tokyo, Japan) 선량계를 이용하여 개인피폭관리 및 자연방사선량의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D-Shuttle을 이용하여 선량을 산출하였다. 선량보고서에서 400 일 노출되었을 때에 1.346 mSv 이었고, 연간선량 (annual dose per year)은 1.228 mSv/year, 평균시간선량 (average dose per hour)은 $0.014{\mu}Sv/hr$ 이었다. 국내의 개인 외부피폭선량 (1.295 mSv/year =Korea average natural individual external dose), 국내의 연간부가선량 (additional dose per year)은 -0.0663 mSv/year 이다. D-Shuttle은 방사선모니터링을 위한 개인선량계로 방사선의 검출성능 우수한 기능, 실시간 방사선 피폭관리, 방사선 작업의 경보 기능, 효율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개인 방사선선량의 피폭관리로 ALARA에 매우 유용한 선량계로 사용할 수 있다. 방사선작업종사자와 지역주민의 방사선모니터링 측정기기로 병원, 산업, 의료현장, 원전사고 지역과 비파괴 분야의 위험한 지역에서 방사선모니터링으로 활용될 수 있다.

Quenching Effect in an Optical Fiber Type Small Size Dosimeter Irradiated with 290 MeV·u-1 Carbon Ions

  • Hirata, Yuho;Watanabe, Kenichi;Uritani, Akira;Yamazaki, Atsushi;Koba, Yusuke;Matsufuji, Naruhir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222-228
    • /
    • 2016
  • Background: We are developing a small size dosimeter for dose estimation in particle therapies. The developed dosimeter is an optical fiber based dosimeter mounting an radiation induced luminescence material, such as an OSL or a scintillator, at a tip. These materials generally suffer from the quenching effect under high LET particle ir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fabricated two types of the small size dosimeters. They used an OSL material Eu:BaFBr and a BGO scintillator. Carbon ions were irradiated into the fabricated dosimeters at Heavy Ion Medical Accelerator in Chiba (HIMAC). The small size dosimeters were set behind the water equivalent acrylic phantom. Bragg peak was observed by changing the phantom thickness. An ion chamber was also placed near the small size dosimeters as a reference. Results and Discussion: Eu:BaFBr and BGO dosimeters showed a Bragg peak at the same thickness as the ion chamber. Under high LET particle irradiation, the response of the luminescence-based small size dosimeters deteriorated compared with that of the ion chamber due to the quenching effect. We confirmed the luminescence efficiency of Eu:BaFBr and BGO decrease with the LET. The reduction coefficient of luminescence efficiency was different between the BGO and the Eu:BaFBr. The LET can be determined from the luminescence ratio between Eu:BaFBr and BGO, and the dosimeter response can be corrected. Conclusion: We evaluated the LET dependence of the luminescence efficiency of the BGO and Eu:BaFBr as the quenching effect. We propose and discuss the correction of the quenching effect using the signal intensity ratio of the both materials. Although the correction precision is not sufficient, feasibility of the proposed correction method is proved through basic experiments.

방사선 근접치료 디지털 선량계의 성능 개선을 위한 Passive Layer의 효과 (Effect of Passive Layer to Improve Performance of Digital Dosimeter in Brachytherapy)

  • 한무재;양승우;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715-721
    • /
    • 2021
  • 방사선 근접치료에서 잘못된 선원의 위치는 정상조직에 과도한 선량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날로그 검출방식을 대체하기 위해 디지털 선량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량계 성능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passive layer (PL)를 적용한 lead (II) oxide (PbO) 선량계를 제작하였다. 이후 Ir-192 선원의 조사조건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재현성, 선형성, 거리의존성을 평가하였다. 재현성은 PL-PbO 선량계에서 상대표준편차가 0.40%로 평가 기준 1.5% 이내를 만족하였고, PbO 선량계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선형성은 선형함수 R2이 0.9995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선형함수의 회귀분석을 통한 기울기 분석은 PL-PbO에서 우수하였다. 거리 의존성은 거듭제곱함수의 회귀분석을 통해 얻은 기울기를 inverse square value와 비교하였을 때, PL-PbO 선량계는 PbO에 비해 +0.599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체선량계의 계측 구성에 따른 효과와 측정 변수를 제시하고 있고, 다양한 방사선 검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원전 불균일 방사선장하에서 유효선량 평가를 위한 복수선량계 알고리즘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wo-dosimeter Algorithm to Estimate the Effective Dose in an Inhomogeneous Radiation Field at Korean Nuclear Power Plants)

  • 김희근;공태영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151-160
    • /
    • 2008
  • 국내 원전에서는 과거에 불균일 방사선장이 형성되는 고피폭 방사선작업에 2개의 복수선량계(TLD)를 머리와 기슴에 패용하였으며, 이들 선량계 판독값 중에서 최대값을 유효선량으로 평가함으로써 일정 부분이 과대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제적인 기관에서 제시된 복수선량계 알고리즘을 대상으로 적절한 알고리즘을 선정하기 위한 현장적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에는 캐나다 원전사업자(OPG), 미국표준기술협회(ANSI HPS N13.41), NCRP(55/50), NCRP(70/30), EPRI (NRC), Lakshmanan, Kim(Texas A&M University) 알고리즘 등을 대상으로 하였고, 국내 원전의 계획예방정비기간동안 고피폭이 예상되는 방사선작업을 대상으로 작업종사자에게 3개의 복수선량계를 가슴, 머리, 등에 동시에 패용하였고 판독하였다. 이 시험 결과에 따르면 Lakshmanan 알고리즘을 제외하고 유효선량 평가에서 모든 복수선량계 알고리즘이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장적용시험 결과와 이들 알고리즘의 기술적 배경과 방사선작업과정에서의 편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NCRP(55/50) 알고리즘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복수선량계 지급조건은 INPO와 ANSI의 지침을 검토하여 빙사선량율이 1 mSv/hr 이상이면서 인체 특정부위 간의 선량율이 30% 이상차이가 나고 단일 작업에서 2mSv 이상피폭을 받을 것으로 예상될 때 지급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유리 선량계와 다이오드 측정기를 이용한 유방암 환자의 체표면 선량측정 비교 (Comparison of Skin Dose Measurement Using Glass Dosimeter and Diode for Breast Cancer Patients)

  • 고영은;박성호;최병준;김희선;노영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1호
    • /
    • pp.9-13
    • /
    • 2008
  • 다이오드 측정기(diode)와 유리 선량계(glass dosimeter)를 이용하여 체표면 선량측정을 시행하고 실제 방사선조사 영역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치료계획 시스템에서 계산된 방사선량과 비교하여 유리 선량계를 체표면 측정기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방암 치료로 방사선을 조사받는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다이오드 측정기와 유리 선량계를 같은 부위에 부착하여 각각의 위치에서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유리 선량계는 총 40개 중 재현성이 3% 이내인 28개의 소자만을 사용하였다. 환자의 치료 셋업 위치에 따라 네 부위에 각각 선량계를 부착하여 각 위치에서의 선량값을 측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27명의 환자 모두에 대하여 180 cGy/fraction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이때 같은 부위에 부착한 두 측정기가 나타내는 선량값의 차이는 최대 3.2%였으며, 치료계획 된 선량값과 비교했을 때 다이오드 측정기의 경우 평균 2.3%의 차이를 보였으며, 유리선량계의 경우 평균 3.4%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유리 선량계는 체표면 측정기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치료계획에서 계산된 선량값에 비해 두 종류 측정기로 측정한 선량값이 모두 적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각각의 선량계가 가지고 있는 특성 오차의 영향과 선량계를 부착한 부위가 고정되기 쉽지 않고 움직이기 쉬운 부분이라는 신체적 특성의 영향에 따른 차이라 생각된다.

  • PDF

유리선량계의 단계별 관전류량 변화에 따른 특성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Glass Dosimeter According to Graded Change of Tube Current)

  • 손진현;김성호;문현준;김륜균;손인화;김용준;민정환;김기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7권2호
    • /
    • pp.135-141
    • /
    • 2014
  • 개인의 피폭선량 측정에 사용되는 유리선량계 (Glass Dosimeter; GD)와 선량측정용 Piranha 반도체 선량계를 이용하여 진단방사선영역에서 사용하는 저에너지 X-선 영역에서 관전류량을 변화시켜 (5mAs, 10mAs, 16mAs, 20mAs, 25mAs, 32mAs의 저에너지 방사선) 측정하여 선량에 따른 선형성과 재현성, 그리고 지연시간에 따른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방사선량 측정은 다기능 QA 측정기 (RTI Electronic, Sweden)인 Piranha 657의 external detector로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80 kVp, SSD 100 cm로 조사영역은 $10cm{\times}10cm$으로 하였으며 유리선량계에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24개의 유리선량계들은 6 개의 그룹 (5mAs, 10mAs, 16mAs, 20mAs, 25mAs, 32mAs)로 나누고 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는 저 에너지 영역에서 관전류를 변화시켜 선형성 및 재현성을 측정한 결과이며, 유리선량계의 선량 특성에서 앞선 연구의 관전압 변화에 따른 특성과 같이 저 에너지 영역에서도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방피폭선량계측이 가능한 TL 개인선량계의 설계 및 선량평가 알고리즘 개발 (Design of a TL Personal Dosimeter Identifiable PA Exposure and Development of Its Dose Evaluation Algorithm)

  • 권정완;김현기;양정선;김장렬;이재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79-186
    • /
    • 2004
  • 인체의 전면에 착용하는 단일선량계는 비균질 방사선장에서 작업자의 피폭을 대표하지 못할 수 있으며 특히 방사선이 인체의 후면에서 입사되는 경우 유효선량을 심각하게 저평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몇의 선행연구자들은 비균질 방사선장에서 인체의 후면에 추가의 선량계를 착용하는 복수의 선량계를 이용하는 선량평가를 제안하고 있으나 복수의 선량계를 이용한 선량평가는 과대평가 내지 작업의 효율성 저하 및 비용부담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AP와 PA 방향으로 입사하는 방사선에 대하여 두 개의 TL 소자가 서로 상반되는 반응도를 보이도록 필터를 설계함으로써 단일선량계 사용의 결점을 보완하고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즉 빔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필터를 몬테칼로 계산과 실험을 통해 도입하고 이 결과를 기반으로 PA 입사에 대한 새로운 선량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광자의 유효에너지가 100keV이상으로 입사방사선의 인체투과율이 상당한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정확히 후방입사가 아닌 기타 방향의 후방피폭의 경우에도 본 연구에서 수립된 알고리즘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광섬유 방사선량계를 이용한 Co-60 방사선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상대선량측정 (Measurement of relative dose irradiated from a Co-60 source using a scintillating fiber-optic dosimeter)

  • 장경원;조동현;유욱재;서정기;허지연;이봉수;신상훈;박병기;김신
    • 센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2-57
    • /
    • 2010
  • In this study, we have fabricated a scintillating fiber-optic dosimeter for a radiotherapy dosimetry. And ${\gamma}$-rays generated by a Co-60 are measured using a scintillating fiber-optic dosimeter and percent depth dose curves are obta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depths of solid water phantoms. Also, Cerenkov radiations generated by primary or secondary electrons are measured at different depths of water phantom using a background optical fiber.

엑스선의 조사시간에 따른 형광유리선량계의 빌드업 특성 (Buildup Characteristics of Radiophotoluminescent Glass Dosimeters with Exposure Time of X-ray)

  • 권대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56-263
    • /
    • 2017
  • By using the buildup characteristics of the radiophotoluminescence glass dosimeter(RPLGD), it is aimed to help the measurement of the accurate dose by measuring the radiation dose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glass element. Five glass elements were arranged on the table and the source to image receptor distance(SID) was set to 100 cm for the build-up radiation dose measurement of the fluorescent glass dosimeter glass element(GD-352M). Radiation doses and saturation rates were measured over time according to irradiation time, with the tube voltage (30, 60, 90 kVp) and tube current (50, 100 mAs) Repeatability test was repeated ten times to measur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The radiation dose increased from 0.182 mGy to 12.902 mGy and the saturation rate increased from 58.3% with increasing exposure condition and tim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glass elements of the fluorescent glass dosimeter was ranged from 0.2 to 0.77 according to the X - ray exposure conditions. X - ray exposure showed that the radiation dose and saturation rate were increased with buildup characteristics, and degeneration of glass elements was not observed. The reproducibility of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radiation generator was included within the error range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radiation dose was excellent.

X-ray dosimeter 개발을 위한 II-VI 족 화합물 반도체의 kVp 변화에 따른 특성 연구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II-VI group chemical semiconductor by the kVp variation to development X-ray dosimeter)

  • 은충기;조승열;남상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26
    • /
    • 1997
  • In exposuring x-rays, we can adjust three variables of kVp, mA and sec. The kVp is one of main factors affecting x-ray quality -peneterability. And miliampere-second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x-ray quantity. In this paper, we detected voltage variation of CdS, II-VI group semiconductor compounds, by kVp as the fundamental experiments of designing x-ray dosimeter. We exposured x-ray on the material from 40 to 100 kVp by increasing 2kVp using Shimadazu TH-500-125 Radio-Tex cx-s x-ray machine. We fixed miliampere -seconds to 100mA and 0.2 sec. After acquiring the raw data, we plotted the graph of kVp and voltage variation and figured slope value of 0.093 by regression. The standard deviation of voltage to kVp was 0.22. For the future study, the mAs variation study will be needed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s between kVp and mAs in order to design x-ray dosime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