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e Constant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7초

Reduction of biofouling using vanillin as a quorum sensing inhibitory agent in membrane bioreactors for wastewater treatment

  • Nam, AnNa;Kweon, JiHyang;Ryu, JunHee;Lade, Harshad;Lee, ChungHak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6권3호
    • /
    • pp.189-203
    • /
    • 2015
  • Membrane biofouling impedes wide application of membrane bioreactor (MBR) for wastewater treatment. Recently, quorum sensing (QS) mechanisms are accounted for one of major mechanisms in biofouling of MBRs. In this study, vanillin was applied to investigate reduction of biofouling in MBRs. MBR sludge was analyzed to contain QS signal molecules by cross-feeding biosensor assay and HPLC. In addition, the inhibitory activity of vanillin against bacterial quorum sensing was verified using an indicator strain CV026. The vanillin doses greater than 125 mg/L to 100 mL of MBR sludge showed 25% reduction of biofilm formed on the membrane surfaces. Two MBRs, i.e., a typical MBR as a control and an MBR with vanillin, were operated. The TMP increases of the control MBR were more rapid compared to those of the MBR with the vanillin dose of 250 mg/L. The treatment efficiencies of the two MBRs on organic removal and MLSS were maintained relatively constant.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concentrations measured at the end of the MBR operation were 173 mg/g biocake for the control MBR and 119 mg/g biocake for the MBR with vanillin. Vanillin shows great potential as an anti-biofouling agent for MBRs without any interference on microbial activity for wastewater treatment.

새로운 in vitro SPF측정법 개발 (Development of a novel in vitro SPF evaluation method)

  • 오선진;김진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7-7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SPF 측정법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어온 희석법과 박막법의 문제점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체를 대상으로한 in vivo평가법과 측정 및 평가 등의 실험조건에 있어서 유사성을 갖는 in vitro평가법을 개발하였다. 이 새로운 in vitro 평가결과는 in vivo 평가결과와 0.93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한편 이 in vitro 측정법의 유용성을 더욱 확인하기 위하여 TransporeR tape에 시료를 도포한 후 SPF-290 분석기를 이용한 측정결과와 비교한 결과 SPF20 이하의 시료일 경우 0.95 이상의 높은 상관계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 시키고 광세기를 변화 시켜 홍반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 광세기와 홍반의 정도에는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Pharmaceutical Studies on Chitosan Matrix: Controlled release of aspirin from chitosan device

  • Lee, Chi-Young;Kim, Sung-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88-93
    • /
    • 1987
  • Chitosan ($\beta$-D-glucosaminan) is chemically prepared from chitin (N-acetyl-$\beta$- D-glucosaminan) which is an unutilized natural resource. We now report on the suitability of the chitosan matrix for use as vehicles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drugs. Salicylic acid and aspirin were used as model drugs in this study. The permeation of salicylic acid in the chitosan membranes was determined in a glass diffusion cell with two compartments of equal volume. Drug release studies on the devices were conducted in a beaker containing 5% sodium hydroxide solution. Partition coefficient (Kd) value for acetate membrane (472) is much greater than that for fluoro-perchlorate chitosan membrane (282). Higher Kd value for acetate chitosan membrane appears to be inconsisstent with the bulk salicylic acid concentration. The permeability constants of fluoro-perchlorate and acetate chisotan membranes for salicylic acid were 3.139 ${\times}10^{-7}cm^2$ min up to 60 min and that of 30% aspirin in the devices was 4.739${\times}10^{-7}cm^2$sec upto 60 min. As the loading dose of aspirin in a chitosan device increased, water up-take of chitosan device increased, but in case of salicylic acid it decreased. The release rate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molecular volume of the drugs. Thses result suggest that the release mechanism may be controlled mainly by diffusion through pores.

  • PDF

Chemical Inhibition of Cell Recovery after Irradiation with Sparsely and Densely Ionizing Radiation

  • Evstratova, Ekaterina S.;Kim, Jin-Hong;Lim, Young-Khi;Kim, Jin Kyu;Petin, Vladislav G.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99-204
    • /
    • 2016
  • The dependence of cell survival on exposure dose and the duration of the liquid-holding recovery (LHR) was obtained for diploid yeast cells irradiated with ionizing radiation of different linear energy transfer (LET) and recovering from radiation damage without an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isplatin - the most widely used anticancer drug. The ability of yeast cells to recover from radiation damage was less effective after cell exposure to high-LET radiation, when cells were irradiated without drug. The increase in cisplatin concentration resulted in the disappearance of this difference whereas the fraction of irreversible damage was permanently enlarged independently of radiation quality. The probability of cell recovery was shown to be constant for various conditions of irradiation and recovery. A new mechanism of cisplatin action was suggested according with which the inhibition of cell recovery after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s was completely explained by the production of irreversible damage.

Influence of the Thin-Film Ag Electrode Deposition Thickness on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a CVD Diamond Radiation Detector

  • Ban, Chae-Min;Lee, Chul-Yong;Jun, Byung-Hyuk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131-136
    • /
    • 2018
  • Background: We investigated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a thin-film Ag electrode on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diamond. The CVD diamond is widely recognized as a radiation detection material because of its high tolerance against high radiation, stable response to various dose rates, and good sensitivity. Additionally, thin-film Ag has been widely used as an electrode with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Materials and Methods: Considering these properties, the thin-film Ag electrode was deposited onto CVD diamonds with varied deposition thicknesses (${\fallingdotseq}50/98/152/257nm$); subsequently, the surface thickness, surface roughness, leakage current, and photo-current were characterized. Results and Discussion: The leakage current was found to be very low, and the photo-current output signal was observed as stable for a deposited film thickness of 98 nm; at this thickness, a uniform and constant surface roughness of the deposited thin-film Ag electrode were obtained. Conclusion: We found that a CVD diamond radiation detector with a thin-film Ag electrode deposition thickness close to 100 nm exhibited minimal leakage current and yielded a highly stable output signal.

Bacterial neuraminidase inhibitory linarin from Dendranthema zawadskii

  • Ju Yeon Kim;Jae Yeon Park;Yun Gon Son;Kyu Lim Kim;Jeong Yoon Kim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1-6
    • /
    • 2023
  • Dendranthema zawadskii is a one of the popular plants as native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linarin was isolated and purified using silica-gel, Diaion, and Sephadex LH-20 from the aerial parts of D. zawadskii. The chemical structure was completely identified through spectroscopic data including 1D, 2D nucleic magnetic resonance, and HRFABMS. Furthermore, linarin inhibited the bacterial neuraminidase (BNA) activity with 13.5 μM of IC50 dose-dependently. Through the enzyme kinetic experiments, linarin as BNA inhibitor exhibited a typical noncompetitive inhibition mode which Km was contestant and Vmax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inhibitor increased. It was further identified that the inhibition constant was 16.0 μM. Linarin was the most abundance metabolite in the aerial part of D. zawadskii extract by UHPLC-TOF/MS analysis. Therefore, D. zawadskii and its main component are expected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infection and inflammation caused by bacteria.

Murine macrophage RAW264.7에서 과산화수소가 유발형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ydrogen Peroxide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Murine Macrophage RA W264.7 Cells)

  • 안중현;송정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2호
    • /
    • pp.172-183
    • /
    • 1999
  • 연구배경: 산화질소(${\cdot}NO$)는 여러 세포에서 산화질소 합성효소(NOS)에 의해서 생산되며 다양한 병태생리과정에 관여한다. 여러 cytokine들이 iNOS의 발현을 촉진시키고 산화질소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염증반응을 증폭시키고 세포와 조직손상을 초래한다고 알려진 바, 과산화수소($H_2O_2$)가 세포내 NOS의 발현과 산화질소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에 여러 가지 cytokine과 세균 내독소 (LPS)로 자극을 준 세포군 이에 더하여 $H_2O_2$, NOS 억제제 (L-NAME) 및 항산화제 (catalase)등을 사용하여 세포를 자극한 후 생성된 산화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고 Northern analysis로 iNOS mRNA의 발현정도를 보아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결과: Cytokine과 LPS 자극군에서 대조군보다 ${\cdot}NO$ 생산이 높았고, 이 자극군에 $H_2O_2$를 추가로 자극하였을 때 ${\cdot}NO$생산이 2 배 이상 유의하게 높았다. Cytokine 자극군에서 $H_2O_2$의 자극 농도에 따른 ${\cdot}NO$생산은 $H_2O_2$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PS와 IFN-$\gamma$ 자극군에서 L-NAME을 같이 자극시에 ${\cdot}NO$의 양은 L-NAME의 농도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Cytokine 및 $H_2O_2$자극군에서도 추가로 자극한 L-NAME 의 농도증가에 따라 ${\cdot}NO$의 양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Cytokine과 $H_2O_2$ 자극균에 catalase를 같이 자극 하였을 때 ${\cdot}NO$의 양은 유의하게 감소했고, Mercaptoethanol과 phenanthroline을 전처치하고 LPS와 IFN-$\gamma$$H_2O_2$로 자극한 군에서 이들의 전처치한 농도가 높을수록 ${\cdot}NO$의 양은 유의하게 Cytokine자극군과 IFN-$\gamma$, LPS 자극군에 $H_2O_2$를 추가 자극 후 Northern analysis 결과 $H_2O_2$는 iNOS mRNA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과산화수소가 cytokine과 내독소 등으로 자극된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생산에 유의한 증폭효과를 나타냈고, iNOS mRNA 의 발현도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치과 파노라마 촬영에서 환자의 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ient Exposure Doses from the Panoramic Radiography using Dentistry)

  • 박일우;정원교;황형석;임성환;이대남;임인철;이재승;박형후;곽병준;유윤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7-24
    • /
    • 2013
  • 본 연구는 파노라마 표준 촬영에서 환자의 피폭 선량을 측정하여 방사선 생물학적 위험인자를 평가하고 환자의 피폭 선량 저감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피폭 선량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OSL 선량계의 교정상수를 구하였으며 파노라마 표준 촬영에서 간접적으로 포함되는 좌 우측 수정체와 갑상선, 직접적으로 포함되는 상 하 입술, 하악골 첨부, 촬영 중심점을 대상으로 ICRP에서 권고하는 인체 모형 표준 팬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촬영 중심점의 선량이 $413.67{\pm}6.53{\mu}Gy$로 최대였으며 상 하 입술의 경우 각각 $217.80{\pm}2.98{\mu}Gy$, $215.33{\pm}2.61{\mu}Gy$이었다. 또한 파노라마 표준 촬영에서 간접적으로 포함되는 좌 우측 수정체의 등가선량은 각각 $30.73{\pm}2.34{\mu}Gy$, $31.87{\pm}2.50{\mu}Gy$이었으며 하악골 첨부 및 갑상선의 등가선량은 $276.73{\pm}14.43{\mu}Gy$, $162.07{\pm}4.13{\mu}Gy$이었다. 결론적으로 측정된 피폭 선량은 방사선 생물학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었으며 치과 의료기관의 파노라마 표준 촬영에서 환자의 피폭 선량에 대한 저감화 방안으로 국제기구에서 권고하고 있는 방사선 방어 원칙에 대한 정당한 해석과 제도적 뒷받침(regulation)이 필요하다. 이에 파노라마 검사에 의한 피폭 선량은 기술적 경제적 측면뿐 만 아니라 사회적 인자를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용인 가능한 수준까지 최소화하기 위한 체계화된 프로토콜의 제정과 주변 결정 장기를 방어하기 위한 방사선 보호 기구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평형기의 Vero세포계에서 방사선($\gamma$-선) 조사 후 발생한 잠재치사 손상의 회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very from Potentially Lethal Damage Induced by $\gamma-Irradiation$ in Plateau-phase Vero Cells in vitro)

  • 김일한;최은경;하성환;박찬일;차창룡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6권1호
    • /
    • pp.1-11
    • /
    • 1988
  • 방사선 조사 후 발생한 잠재치사손상의 회복(PLDR)에 있어 조사선량 및 시간에 따른 환경변화가 회복의 동적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Vero 세포계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배양액을 교환시키지 않고 배양하여 평형기에 도달한 세포에 동물실험용 세시움 조사기로 $1Gy\~9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각 조사조건에서 $O\~6$ 및 24시간동안 정치시킨 후 Agarose가 포함된 새로운 배양액에서 배양하였다. 16Gy를 조사한 동종의 세포를 feeder세포로 첨가하여 배양액내의 전 체세포수를 일정하게 한 조건에서 형성된 세포집락수에 따라 세포의 생존을 정하였다. 잠재치사손상의 회복은 $2\~4$시간 정치후에 포화수준에 도달한 빠른 회복이었다. 방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회복속도는 증가하였고, 포화수준의 회복량도 증가하였다. Linear-quadratic mode에 의한 "방사선량-생존분획" 분석 결과 잠채치사손상이 회복됨에 따라 일차 비활성계수 $\alpha$는 급속히 감소하여 $\beta$에 접근하였고 이차 비활성계수 $\beta$는 미미하게 증가하여 PLDR은 $\alpha$로 표시되는 손상에 주로 영향을 주었다. Multitarget model에 따라 분석한 결과 Do는 변화가 없고 Dq가 증가하였다. 세포 생존분획 이 높은 3Gy 이하의 저선량 영역에서 dose modifying factor가 높아 잠재 치사손상의 회복에 의한 영향이 저선량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 PDF

위부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에서 음식물 배출지연에 따른 영향 (Influence of Delayed Gastric Emptying in Radiotherapy after a Subtotal Gastrectomy)

  • 김동현;김원택;이미란;기용간;남지호;박달;전호상;전계록;김동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194-200
    • /
    • 2009
  • 목 적: 위부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들 중에서 위 내 음식물의 배출지연으로 인한 위 용적 및 주변 장기의 위치 변화와 이것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위암으로 위부분절제술을 받은 후 보조적 동시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총 32명의 환자들 중, 전산화단층촬영모의치료 영상에서 12시간 이상의 금식에도 불구하고 위 내 음식물이 50 ml 이상 남아 잔존 위의 팽대를 보였던 경우들이 이번 연구 대상이었다. 이 환자들에 대해 방사선치료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시행된 컴퓨터단층촬영 자료를 바탕으로 잔존 위 용적 및 주변 장기들의 위치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방사선치료 설계 자료를 바탕으로, 잔존 위 및 주변 장기들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치료를 지속했을 경우의 치료 표적 및 정상조직의 방사선분포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 과: 총 5명의 전산화단층촬영모의치료 영상에서 배출장애에 의한 50 ml 이상의 위 내 음식물의 저류가 확인되었다. 대상 환자들에서 위 용적은 치료과정 중에 다양한 변화양상을 보였고, 각 환자에서 최대 64.2~340.8 ml (평균, 188.2 ml)의 변화를 보였다. 또한 위 용적에 따라 좌측 신장이 각 환자별 최대 0.7~2.2 cm (평균, 1.2 cm)까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모의치료 시의 설계를 위 용적의 변화에 따라 변경하지 않고 치료를 진행한 경우 유의하게 계획용표적체적(V43, 79.5${\pm}$10.4%)에 조사선량이 부족하고 좌측 신장(V20, 34.1${\pm}$12.1%; Mean dose, 23.5${\pm}$8.3 Gy)에 과도한 선량이 조사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 론: 위부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는 일부 환자에서 배출지연에 따른 위 용적의 변화와 좌측 신장의 위치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배출지연이 발생하는 환자를 선별하여 위 용적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방사선치료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