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ngsong seri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철원 용암류대지 토양인 동송통의 분류 및 생성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Dongsong Series Distributed on the Lava Plain in Cheolweon)

  • 송관철;현병근;손연규;장용선;박찬원;장병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17-223
    • /
    • 2010
  • 용암류 대지를 이루고 있는 철원평야에 분포하고 있으며 Alfisols로 분류되고 있는 동송통을 선정하여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토양 분류 체계인 Soil Taxonomy에 따라서 분류하고, 그 생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동송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동송통은 0~22 cm 깊이에 ochric 감식표층을 보유하고, 22~120 cm 이상의 깊이까지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andic 토양 특성을 보유하지 않고 있다. 또한 argillic층의 상부경계에서 125 cm 아래 깊이인 147 cm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합)가 15.7%로 35% 미만이다. 따라서 동송통은 Alfisols, 또는 And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동송통은 토양표면에서 50 cm 이내 깊이의 1개 이상의 층위에서 aquic 조건을 보유하고, 25~40 cm 깊이의 모든 층위에서 산화환원성인을 보유하며, argillic층의 상부 12.5 cm 깊이에서 채도 2 이하의 산화환원탈리를 50% 이상 보유하고 있으므로 Aquults로 분류할 수 있다. 우리나라 토양으로는 처음으로 Aquults로 분류할 수 있다. 토양표면에서 50 cm 깊이까지만 물로 포화되고, 그 아래 깊이에서는 포화되지 않는 episaturation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대군은 Epiaquults로 분류할 수 있다. Bt1층 (50~92 cm)에서의 토색이 적갈색 (5YR 5/4)으로 높은 채도를 보유하므로 Aeric Epiaquults로 분류할 수 있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토성속이 식질이고, 토양온도상이 mesic 온도상이기 때문에 동송통은 Fine, mesic family of Typic Epiaqualfs가 아니라 Fine, mesic family of Aeric Epiaquults로 재분류되어야 한다. 동송통은 후기 홍적세에 열극 분출에 의하여 형성된 철원 지방의 용암류대지에 분포하고 있다. 화산쇄설물이 아니라 현무암을 모재로 하고 있으며, 기후조건 또한 비교적 건조하기 때문에 Andisols이 아닌 토양으로 생성 발달되었다고 생각된다. 동송통은 안정한 지형인 현무암 용암류 대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거의 침식되지 않고 충적물이 별로 퇴적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을 받았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는 토양으로 생성 발달되었다. 그러나 동송통의 경우 점토 함량이 높기 때문에 물의 하향 이동이 제한되어 상부 층위들만 물로 포화되어 있고, 하부 층위는 불포화 상태를 이루고 있는 episaturation 상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Ca, Mg, K, Na 등의 염기의 하향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기준 깊이에서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인 Ultisols로 생성 발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토양(土壤) 석회요구량(石灰要求量) 결정방법 (決定方法)의 실험적(實驗的) 고찰(考察) (Evaluation of Methods for Determining Lime Requirement of Soils)

  • 주진호;하상건;엄명호;임형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0-288
    • /
    • 1988
  • 강원도(江原道) 지역(地域)의 답토양(畓土壤)이 널리 분포(分布)되어 있는 석회암지대(石灰岩地帶), 하성충적충지대(河成沖積層地帶), 현무암지대(玄武岩地帶) 토양(土壤)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석회요구량(石灰要求量) 결정방법(決定方法)간의 차이(差異)를 실험적(實驗的)으로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회요구량(石灰要求量)을 결정(決定)하는 7가지 방법(方法)($CaCO_3$ incubation method, $BaCl_2$-TEA method, SMP-single buffer method, Double buffer method, Adams and Evans method, SMP-double buffer method, O. R. D. method)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방법(方法)간에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2. $CaCO_3$ incubation method를 기준(基準)으로 할 때 석회요구량(石灰要求量)은 $BaCl_2-TEA$ method가 가장 높았고, O.R.D. method 가 가장 적었으며, SMP-double buffer method가 강원도(江原道) 토양(土壤)에 비교적(比較的) 적합(適合)할 것으로 평가(評價)되었다. 3. 치환성(置換性) Al 함량(含量)의 100% 당량(當量)에 해당(該當)하는 $CaCO_3$를 가(加)하고 incubation한 경우 약(約) 70%의 중화율(中和率)을 나타냈다. 4. 활성(活性) Al 함량(含量)의 100% 당량(當量)에 해당(該當)하는 $CaCO_3$를 가(加)하고 incubation한 경우에는 약(約) 30%의 중화율(中和率)을 나타냈다. 5. 치환성(置換性) Al 및 활성(活性) Al 함량(含量)을 기준(基準)으로 한 석회요구량(石灰要求量)은 $CaCO_3$ incubation method에 비(比)해 적은 값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