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ngmu Philosoph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체용론(體用論)으로 살펴 본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의 의미 (A Study on the Concept of ${\ulcorner}$Dongyi Suse Bowon ${\lrcorner}$ Based on Che-Yong theory)

  • 전준영;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26
    • /
    • 2005
  • 1. Objectives The p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Dongmu Lee Je-Ma's Sasang philosophy from the viewpoint of Che-Yong relation an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he-Yong relation on Dongmu philosophy. 2. Methods First, we briefly compared the concept of Che-Yong relation in Jeongju philosophy, which has a dualistic philosophical structure, with the concept of Han Suk-Ji's harmonious Che-Yong relation, which has a monistic philosophical struaure and, based on rhe resul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he concept of Che-Yong in Dongmu philosophy focused on Seongmyeong rheory, Sadan rheory and Hwakchung theory in ${\ulcorner}$Dongyi Suse Bowon${\lrcorner}$. 3 Results and Conclusions Jeongju philosophy is different from Dongmu philosophy in irs philosophical struaure characterized by Che-Yong relation, and the concept of Che-Yong in Dongmu philosophy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Han Suk-ji's monistic harmonious Ole- Y ong relation. This produces results as follows. (1) Form a universal view of human beings centering of man's autonomous will and possibility. (2) Have a philosophical structure understood nor as a partial thought but as a total thought. (3) Assert that man has a good nature fundamentally and is obliged to practice goodness. (4) Assume that all human beings are equal. (5) It is assumed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armonious Che-Yong relation in Dongmu philosophy can be the ground of definition of Silhak (practical science) in Oriental philosophy. It can be said that the realities of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can be discussed in philosophical structure with the logic of harmonious Che-Yong relation based on the unity of time and space. The philosophical logic based on the tealities can be defined as Silhak.

  • PDF

동무 이제마의 사상설(四象說)과 캔 윌버의 사상한(四象限) 일고(一考) (Connection of Dongmu Lee Je-ma's Sa-Sang Theory & Ken Wilber's all-quadrant approach)

  • 허훈
    • 철학연구
    • /
    • 제116권
    • /
    • pp.411-435
    • /
    • 2010
  • 윌버(Ken Wilber, 1949~)는 역사적으로 볼 때 학문적 교류가 활발한 현대가 그 어느 때보다도 세계철학이 가능한 시대임을 강조하며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다. 그는 통합적 모델로 향하는 첫 걸음으로 '온 상한' 즉 '사상한(四象限)'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 그의 사상한은 AQAL(All Quadrant, All Level ; 모든 수준, 모든 레벨)로 구체화 되었다. 모든 문제를 뚜렷하게 사분위(四分位)(내부/외부, 단수/복수 혹은 주관/객관, 간주관성/간객관성)로 나누어 보는 사상한의 접근법은 그 응용분야가 확대되어 생태학, 경영, 범죄학, 의료 등등의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의 사상한이 갖는 장점은 주관적인 내면[문화적 요소]을 외재적인 실재인 물질[사회 제도]로 환원시켜 버리는 평원(平原)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고 모든 문제를 포괄적인 관점에서 대안을 모색한다는 데 있다. 시기적으로 앞서는 동무 이제마(1837~1900)의 사상설(四象說)(사심신물(事心身物), 천인성명(天人性命))은 사분위라는 큰 틀로 보면, 내용면에서 윌버의 사상한과 적확(的確)하게 일치한다. '사상학(四象學)' 혹은 '사상의학(四象醫學)'이라고 불리듯이 동무의 저작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나는 사상(四象)(사심신물(事心身物))은 우주만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들이다. 천인성명(天人性命)은 사심신물이라는 우주의 사원구조를 인간(人間)(인체(人體))을 중심으로 파악한 결과다. 다시 말해 사상설은 우주와 인간을 윌버식의 포괄적인 관점으로 바라본 것이다. 이미 동무의 사상설은 칼 융(C. G. Jung, 1875~1961)의 심리학과 대비되어 양자간(兩者間)의 이론적 기반을 확인하고 그 적용 범위를 넓혀나가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동무의 사상설과 윌버의 사상한의 대비(對比) 역시 단순한 유비(類比)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비교하자면, 동무의 사상설은 윌버의 그것에 비해 의학적(醫學的) 측면(側面)에서는 보다 정교하게 심화되고 구체화된 사상한의 모습을 보여준다. 단지 질병을 바라보는데 그치지 않고 생리(生理) 병리(病理) 현상의 원인과 그것이 도출되는 과정을 사상한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