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kdo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47초

독도의 비시장적 가치 평가 (Assessment of Non-market Value of Dokdo)

  • 유승훈;이주석;정영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223-233
    • /
    • 2011
  • The Korean government ha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Dokdo Island and has consequently taken various measure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it. There has, however, been little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value of Dokdo Island and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assess the Islands non-market value. To this end, this study estimated the non-market value by MAUT/CVM. The non-market value estimated by MAUT/CVM includes historic value, military value, ecological value, and geological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price in market is about 10.37 trillion won and the values estimated by MAUT/CVM is about 1.72 trillion won annually.

Report of Twenty Five Additional Molluscan Species from Rocky Inter- and Subtidal Area of Dokdo Island, Korea

  • Son, Min-Ho;Hong, Byung-Kyu;Hong, Sung-Yun;Jeon, Kyeong-Am;Moon, Chang-Ho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5-140
    • /
    • 2004
  • Twenty five marine molluscan species were added to the malacofuana of Dokdo Island, Korea based on the samples collected from inter- and subtidal rocky shore of the island on April and November 2004. As a result, seventy five marine molluscan spacies were recorded from Dokdo Island hitherto.

  • PDF

Analysis of Fungal Communities on Ulleungdo and Dokdo Islands

  • Nam, Yoon-Jong;Kim, Hyun;Shin, Yong-Gyo;Lee, Jin-Hyung;Kim, Jong-Guk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50-50
    • /
    • 2014
  • In this study, we used pyrosequencing method to analysis of soil fungal communities on the Ulleungdo and Dokdo islands. 768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were analyzed from the Ulleungdo sample and 640 OTUs and 382 OTUs were analyzed from the Dongdo and Seodo sampl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species richness of Ulleungdo and the Dokdo sample, the Ulleungdo sample was higher than in the Dongdo and Seodo samples. Species diversity was much the same. The phylum Basidiomycota was dominant in the Ulleungdo sample, while the phylum Ascomycota was dominant in the Dongdo sample.

  • PDF

독도 연안의 하계 수환경과 미세조류의 종조성 변화 (Variations of Water Environments and Species Compositions of Microalgae during Summer in the Coast of Dokdo, Korea)

  • 김미경;신재기
    • ALGAE
    • /
    • 제22권3호
    • /
    • pp.193-199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teristic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species compositions of phytoplanktons and periphytons in order to analyze the marine ecosystem (DOK1-3) with freshwater (Mul) in the coast of Dokdo. Mean values of conductivity (TSD) (44.3 mS cm–1), total dissolved solids (30.9 mg L–1), salinity (31.8 psu), total suspended solids (39.2 mg L–1), and ash-free dry matter (AFDM) (8.8 mg L–1) were higher in DOK1- 3 than those in Mul (3.2 mS cm–1, 2.3 mg L–1, 1.9 psu, 2.8 mg L–1 and 2.8 mg L–1, espectively), while mean amounts of soluble reactive phosphorus (SRP) (7.5 μg P L–1) and soluble reactive silicon (SRS) (0.1 μg Si L–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DOK1-3 than those in Mul (117.3 μg P L–1 and 4,105 μg Si L–1, respectively). The phytoplanktons was a total of 59 species in Dokdo, which were composed of 1 species (1.7%) for Chrysophyceae, 43 species (72.9%) for Bacillariophyceae and 15 species (25.4%) for Dinophyceae. The biomass (Chl-a, phaeopigment and AFDM) of epilithic algae (ELA), epizooic algae (EZA) and epiphytic algae (EPA) were varied with the kinds of substrates (EPA > ELA > EZA) in the whole stations. Water environments was comparatively clean in the coast of Dokdo as comparing with those of the land. However, the monitoring of marine ecosystem in the Dokdo should be continued for species conservation according to the global warming by the climatic change.

독도.울릉도 및 동해안 암반조간대 무척추동물상의 분포 연구를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istribution of Rocky Intertidal Fauna in the Korean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including Dokdo and Ulleungdo)

  • 차재훈;김미경
    • 환경생물
    • /
    • 제31권3호
    • /
    • pp.225-231
    • /
    • 2013
  • 동해안의 암반조간대 무척추동물상의 분포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독도를 비롯한 울릉도, 경상북도의 경주, 포항, 영덕, 울진 그리고 강원도 등 총 19개 정점의 암반 조간대무척추동물상을 조사하여 출현종의 유사도를 공통종의 출현비율 (%)과 Bray-Curtis similarity matrix를 이용한 집괴분석과 MD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IMPER를 이용하여 독도와 그 외의 동해안 암반저서 무척추동물의 특징종을 선출하였다. 공통종의 출현비와 집괴분석결과, 가장 가까이 위치한 울릉도를 제외하면, 경상북도의 영덕이 가장 높은 유사도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독도 암반저서생태계는 다른 동해안 연안과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도 주변의 해수에서 분리한 세균의 다양성과 군집구조 분석 (Bacteri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Cultivable Bacteria Isolated from Dokdo Island)

  • 성혜리;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63-272
    • /
    • 2010
  • 독도 연안에 존재하는 배양 가능한 미생물의 다양성을 16S rRNA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동도 선착장 주변과 서도 숙소 부근을 중심으로 채취한 시료에서 163개의 해양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미생물 163종을 16S rRNA 염기서열의 분석을 이용하여 부분동정 할 수 있었다. 부분동정된 미생물은 gamma-proteobacteria(58%), alpha-proteobacteria (20%), bacteriodetes(16%) 계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외에도 low G+C Gram positive bacteria와 epsilonproteobacteria가소수 동정 되었다. 염기서열이 분석된 미생물들은 이전에 보고된 미생물들의 16S rRNA 유전자와 93.3%에서 100%의 유사도를 보이며 56속 94종으로 부분 동정되었다. 163종의 부분 동정된 미생물 중 36개의 분리 미생물이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후보군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독도연안 바닷물에는 proteobacteria와 bacteriodetes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미생물 다양성을 높게 유지하고 있었다. 이 다양한 미생물로부터 다양한 유용미생물 자원을 확보할 수 있고,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후보군 들은 추후 여러 생리생화학적 실험을 수행하여 새로운 종 또는 새로운 속으로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독도 관련 고지도의 기술요소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scription Elements of the Old Maps of Dokdo)

  • 유종연;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3-192
    • /
    • 2020
  • 독도 관련 고지도는 지도로서의 물리적 특수성과 고문헌으로서의 역사적 의미, 증거적 가치를 가지는 기록물로서 이를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반 기록물보다는 세밀하고 의미 있는 기술이 필요하나 높은 관심에 비해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기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증거적 가치가 있는 독도 관련 고지도의 특성이 반영된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독도 관련 고지도를 정의하고 그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국제기록기술표준(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ISAD(G))의 7개의 영역을 기준으로 12개의 기관사례조사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ISAD(G)에 적용 가능한 공통영역과 ISAD(G)에 없는 특수영역으로 나누어 기술요소안을 도출한 후, 고지도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기술요소로 식별영역, 배경영역, 내용과 구조영역, 접근과 이용조건영역, 연관자료영역, 주기영역, 기술통제영역, 기타영역 등 총 8개의 영역과 50개의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독도연안에 서식하는 전복의 유전학적 특성 (Genetic characteristics of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 Dokdo Island, Korea)

  • 박철지;이정호;노재구;김현철;민병화;명정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7-20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높은 변이를 나타내는 6개의 Microsatellite DNA 유전표식을 이용하여 독도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자연산 전복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구조를 파악하여 동 서 남해의 6개 지역집단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도지역의 유전적 다양성은 6개 지역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전적 거리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결과에 있어서도 이들 집단과는 독립된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6개 지역집단에 있어 방류전복의 높은 혼획비율에 의한 자연산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이 축소되어진 결과라고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독도집단의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보존하기 위해서는 이 지역의 유전적 다양성을 고려한 체계화된 전복종묘의 방류가 이루어져야하며, 방류를 한 이후에도 지속적인 유전학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춘계 독도 주변해역 야광충의 먹이생물 (Observation of Items Fed by Noctiluca Scintillans around Dokdo in Spring)

  • 강정훈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5권4호
    • /
    • pp.160-172
    • /
    • 2020
  • 2014년 춘계에 독도 주변해역에서 전례없이 높은 개체수를 나타낸 야광충의 섭식특성을 이해하고자 야광충 식포 내 먹이생물의 조성과 출현량을 분석하였다. 출현 야광충 개체수는 4,328~17,791 inds.m-3이었고, 야광충 식포 내 먹이생물 출현율은 평균 32%(24~50%)이었다. 관찰된 먹이생물의 조성은 분변립, 원생생물, 꽃가루, 규조류, 와편모조류, 요각류, 어란, 그리고 치자어로서 매우 다양하였고, 분변립의 출현율이 가장 높았다(43%). 원생생물(19%)과 꽃가루가 18%를 차지한 반면, 규조류와 와편모조류가 각각 7%와 4%를 나타냈다. 식포 내의 출현율을 근거로 분변립, 원생생물과 꽃가루가 어란, 규조류, 와편모조류 그리고 치자어에 비해 더 선호된 것으로 여겨졌다. 본 연구결과는 연구기간에 독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높은 개체수의 야광충이 기존에 알려진 먹이생물 규조류보다 다른 먹이생물과 관련이 높음을 의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