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cument Embedding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9초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Multi-Vector Document Embedding for Interdisciplinary Knowledge Representation

  • 박종인;김남규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1호
    • /
    • pp.99-116
    • /
    • 2020
  • Text is the most widely used means of exchanging or expres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Recently, researches on structuring unstructured text data for text analysis have been actively performe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document embedding method (i.e. doc2Vec) generates a single vector for each document using the whole corpus included in the document. This causes a limitation that the document vector is affected by not only core words but also other miscellaneous words. Additionally, the traditional document embedding algorithms map each document into only one vector. Therefore, it is not easy to represent a complex document with interdisciplinary subjects into a single vector properly by the traditional approach.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ulti-vector document embedding metho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document embedding methods. After introducing the previous study on multi-vector document embedding, we visually analyze the effects of the multi-vector document embedding method. Firstly, the new method vectorizes the document using only predefined keywords instead of the entire words. Secondly, the new method decomposes various subjects included in the document and generates multiple vectors for each document. The experiments for about three thousands of academic papers revealed that the single vector-based traditional approach cannot properly map complex documents because of interference among subjects in each vector. With the multi-vector based method, we ascertained that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complex documents can be represented more accurately by eliminating the interference among subjects.

복합 문서의 의미적 분해를 통한 다중 벡터 문서 임베딩 방법론 (Multi-Vector Document Embedding Using Semantic Decomposition of Complex Documents)

  • 박종인;김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3호
    • /
    • pp.19-41
    • /
    • 2019
  •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위해 최근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doc2Vec으로 대표되는 기존 문서 임베딩 방법은 문서가 포함한 모든 단어를 사용하여 벡터를 만들기 때문에, 문서 벡터가 핵심 단어뿐 아니라 주변 단어의 영향도 함께 받는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 문서 임베딩 방법은 하나의 문서가 하나의 벡터로 표현되기 때문에, 다양한 주제를 복합적으로 갖는 복합 문서를 정확하게 사상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서 임베딩이 갖는 이러한 두 가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중 벡터 문서 임베딩 방법론을 새롭게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제안 방법론은 전체 단어가 아닌 핵심 단어만 이용하여 문서를 벡터화하고, 문서가 포함하는 다양한 주제를 분해하여 하나의 문서를 여러 벡터의 집합으로 표현한다. KISS에서 수집한 총 3,147개의 논문에 대한 실험을 통해 복합 문서를 단일 벡터로 표현하는 경우의 벡터 왜곡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복합 문서를 의미적으로 분해하여 다중 벡터로 나타내는 제안 방법론에 의해 이러한 왜곡 현상을 보정하고 각 문서를 더욱 정확하게 임베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Latent Semantic Analysis Approach for Document Summarization Based on Word Embeddings

  • Al-Sabahi, Kamal;Zuping, Zhang;Kang, 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1호
    • /
    • pp.254-276
    • /
    • 2019
  • Since the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s growing rapidly, it is not easy for a user to find relevant information for his/her query. To tackle this issue, the researchers are paying much attention to Document Summarization. The key point in any successful document summarizer is a good document representation. The traditional approaches based on word overlapping mostly fail to produce that kind of representation. Word embedding has shown good performance allowing words to match on a semantic level. Naively concatenating word embeddings makes common words dominant which in turn diminish the representation quality. In this paper, we employ word embeddings to improve the weighting schemes for calculating the Latent Semantic Analysis input matrix. Two embedding-based weighting schemes are proposed and then combined to calculate the values of this matrix. They are modified versions of the augment weight and the entropy frequency that combine the strength of traditional weighting schemes and word embedding. The proposed approach is evaluated on three English datasets, DUC 2002, DUC 2004 and Multilingual 2015 Single-document Summarization. Experimental results on the three datase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achieved competitiv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tate-of-the-art leading to a conclusion that it provides a better document representation and a better document summary as a result.

HTML 태그 깊이 임베딩: 웹 문서 기계 독해 성능 개선을 위한 BERT 모델의 입력 임베딩 기법 (HTML Tag Depth Embedding: An Input Embedding Method of the BERT Model for Improving Web Document Read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 목진왕;장현재;이현섭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7-25
    • /
    • 2022
  • 최근 종단 장치(Edge Device)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빅데이터가 생성되었고 특히 정제되지 않은 HTML 문서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이용해 HTML 문서 내에서 중요한 정보를 찾아내는 기계 독해(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 독해의 여러 연구에서 준수한 성능을 보이는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모델이 HTML 문서 구조의 깊이를 효과적으 로 학습할 수 있는 HTDE(HTML Tag Depth Embedding Method)를 제안하였다. HTDE는 BERT의 각 입력 토큰에 대하여 HTML 문서로부터 태그 스택을 생성하고 깊이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BERT의 입력 임베딩에 토큰의 깊이를 입력으로하는 HTML 임베딩을 더한다. 이 방법은 문서 구조를 토큰 단위로 표현하여 주변 토큰과의 관계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HTML 문서에 대한 BERT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BERT의 기존 임베딩 기법에 비해 HTML 구조에 대한 모델 예측 정확도가 향상됨을 증명하였다.

Fine-Grained Mobile Application Clustering Model Using Retrofitted Document Embedding

  • Yoon, Yeo-Chan;Lee, Junwoo;Park, So-Young;Lee, Changki
    • ETRI Journal
    • /
    • 제39권4호
    • /
    • pp.443-454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ne-grained mobile application clustering model using retrofitted document embedding.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clusters and their numbers with no predefined categories, the proposed model initializes the clusters based on title keywords and then merges similar clusters. For improved clustering performance, the proposed model distinguishes between an accurate clustering step with titles and an expansive clustering step with descriptions. During the accurate clustering step, an automatically tagged set is constructed as a result. This set is utilized to learn a high-performance document vector. During the expansive clustering step, more applications are then classified using this document vecto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urity of the proposed model increased by 0.19, and the entropy decreased by 1.18, compared with the K-means algorithm. In addition, the mean average precision improved by more than 0.09 in a comparison with a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Word-Level Embedding to Improve Performance of Representative Spatio-temporal Document Classification

  • Byoungwook Kim;Hong-Jun Ja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6호
    • /
    • pp.830-841
    • /
    • 2023
  • Tokenization is the process of segmenting the input text into smaller units of text, and it is a preprocessing task that is mainly perform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achine learning process. Various tokeniza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application in the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but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efficiently segmenting tex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Korean language to explore what tokenization methods are suitable for document classification task. In this paper, an exploratory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most suitable tokenization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representative spatio-temporal document classifier in Korean. For the experiment,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was used, and for the final performance comparison, tasks were selected for document classification where performance largely depends on the tokenization method. As a tokenization method for comparative experiments, commonly used Jamo, Character, and Word units were adopt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tokenization of word units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case of representative spatio-temporal document classification task where the semantic embedding ability of the token itself is important.

워드 임베딩을 이용한 질의 기반 한국어 문서 요약 분석 및 비교 (Analysis and Comparison of Query focused Korean Document Summarization using Word Embedding)

  • 허지욱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61-167
    • /
    • 2019
  • 현재 ICT 기반의 웹 서비스 발달과 빠른 최신 기술의 보급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문서요약기법은 사용자에게 주어진 문서의 문장과 핵심 단어들을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요약문을 생성해주는 기술이다. 특히 한국어로 이루어진 문서는 언어의 특성상 기존 언어 분석 기법들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한 문서요약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워드 임베딩 기법인 Word2Vec과 FastText를 활용하여 질의 기반의 한국어 문서요약 기법을 제안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Document Classification Methodology Using Autoencoder-based Keywords Embedding

  • Seobin Yoon;Namgyu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9호
    • /
    • pp.35-4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문서 분류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문맥 정보와 키워드 정보를 모두 사용하는 이중 접근(Dual Approach) 방법론을 제안한다. 우선 문맥 정보는 다양한 자연어 이해 작업(Task)에서 뛰어난 성능을 나타내고 있는 사전학습언어모델인 Google의 BERT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말뭉치를 사전학습한 KoBERT를 사용하여 문맥 정보를 CLS 토큰 형태로 추출한다. 다음으로 키워드 정보는 문서별 키워드 집합을 Autoencoder의 잠재 벡터를 통해 하나의 벡터 값으로 생성하여 사용한다. 제안 방법을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NTIS)의 국가 R&D 과제 문서 중 보건 의료에 해당하는 40,130건의 문서에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 방법이 문서 정보 또는 단어 정보만을 활용하여 문서 분류를 진행하는 기존 방법들에 비해 정확도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워드 임베딩 클러스터링을 활용한 리뷰 다중문서 요약기법 (Multi-Document Summarization Method of Reviews Using Word Embedding Clustering)

  • 이필원;황윤영;최종석;신용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11호
    • /
    • pp.535-540
    • /
    • 2021
  • 다중문서는 하나의 주제가 아닌 다양한 주제로 구성된 문서를 의미하며 대표적인 예로 온라인 리뷰가 있다. 온라인 리뷰는 정보량이 방대하기 때문에 요약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요약모델을 통해 리뷰를 일괄적으로 요약할 경우 리뷰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주제가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제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리뷰를 요약하기 위한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전처리, 중요도 평가, BERT를 활용한 임베딩 치환, 임베딩 클러스터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리뷰를 분류한다. 그리고 분류된 문장은 학습된 Transformer 요약모델을 통해 최종 요약을 생성한다. 제안하는 모델의 성능 평가는 기존의 요약모델인 seq2seq 모델과 ROUGE 스코어와 코사인 유사도를 평가하여 비교하였으며 기존의 요약모델과 비교하여 뛰어난 성능의 요약을 수행하였다.

부분 단어 토큰화 기법을 이용한 뉴스 기사 정치적 편향성 자동 분류 및 어휘 분석 (Automatic Classification and Vocabulary Analysis of Political Bias in News Articles by Using Subword Tokenization)

  • 조단비;이현영;정원섭;강승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1호
    • /
    • pp.1-8
    • /
    • 2021
  • 뉴스 기사의 정치 분야는 보수, 진보와 같이 양극화된 편향적 특성이 존재하며 이를 정치적 편향성이라고 한다. 뉴스 기사로부터 편향성 문제를 분류하기 위해 키워드 기반의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대부분의 임베딩 연구에서는 미등록어로 인한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형태소 단위로 문장을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을 언어 모델에 의해 세부적으로 분할하는 부분 단어로 문장을 구성할 경우 미등록어 수가 감소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부분 단어 토큰화 기법을 이용한 문서 임베딩 모델을 제안하며 이를 SVM과 전방향 뉴럴 네트워크 구조에 적용하여 정치적 편향성 분류 실험을 진행하였다. 형태소 토큰화 기법을 이용한 문서 임베딩 모델과 비교 실험한 결과, 부분 단어 토큰화 기법을 이용한 문서 임베딩 모델이 78.22%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부분 단어 토큰화를 통해 미등록어 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류 실험에서 가장 성능이 좋은 임베딩 모델을 이용하여 정치적 인물을 기반한 어휘를 추출하였으며 각 성향의 정치적 인물 벡터와의 평균 유사도를 통해 어휘의 편향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