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cker Container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3초

국내·외 도커 컨테이너 기반 연구 동향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Docker Container-Based Research Trends)

  • 배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742-753
    • /
    • 2022
  • 최근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급성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세계적인 IT 트렌드 변화의 중심이 되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가상화 기술은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플랫폼인 도커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3년 3월부터 2022년 7월까지 게재된 연구를 중심으로 도커 컨테이너 기반의 연구 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도별 논문 게재수는 국내·외 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키워드에서, 국내, Docker, Docker Containers, Containers, 국외, Cloud Computing, Containers, Edge Computing 순이었다. 셋째, 연구 분야 동향 추정을 위한 발행기관별 빈도수는 국내,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ext Generation Comput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and Accounting 두 논문지에서 활용도가 가장 높았고, 국외, IEEE Communications Surveys & Tutorials, IEEE Access, Computer 순으로 활용도가 높았다. 넷째, 연구방법에서 국내, 실험 78편(26.3%), 조사 32편(10.8%), 국외, 실험 128편(43.1%), 조사 59편(19.9%)이였고 구현방법에서는 전체의 206편(69.4%)이 실험이고, 91편(30.6%)이 조사이다. 그중 실험에서 국내, System 25편(8.4%), Algorithm 24편(8.1%), Performance Measurement and Improvement 16편(5.4%), 국외, Algorithm 37편(12.5%), Performance Measurement and Improvement 17편(9.1%), Framework 26편(8.8%) 순이었다. 이를 통해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분야, 기술개발 등 도커 컨테이너 기반 클라우드 컴퓨팅의 연구 방향을 이끌어 갈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사용자 맞춤형 분산 컴퓨팅을 위한 컨테이너 기반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 (Container-based Cluster Management System for User-driven Distributed Computing)

  • 박주원;함재균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87-595
    • /
    • 2015
  • 전통적으로 고에너지 물리, 해양, 기상, 천문 우주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수천 코어 이상의 CPU를 사용하는 대규모 워크플로우 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대부분 슈퍼컴퓨터와 같은 클러스터 기반의 대용량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및 기관에 의해 공유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 사항으로 인해 시스템 운영 및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화로 인한 성능 저하 문제를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을 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컨테이너 기반 클러스터 관리 플랫폼 방안을 제시하고 구축 사례를 소개한다. 본 논문의 의의는 다음 3가지로 볼 수 있다. 먼저,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기술과 스케줄러 기능을 연동하여 큰 성능 저하 없이 대규모의 과학워크플로우 지원을 위한 클러스터 구성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Docker 와 HTCondor를 활용하여 제시된 방안을 손쉽게 구축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셋째, 널리 활용되는 벤치마크 툴을 이용하여 Docker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다양한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과학 워크플로우 지원 예제를 제시하였다.

분산 컨테이너 클러스터 상의 JMS 메시지 처리 연구 (JMS Message Processing on a Distributed Container Clustering)

  • 조정근;최은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5-128
    • /
    • 2019
  • 클라우드 가상화에서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컨테이너(container) 기술은 성능 향상과 이식성 및 확장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 특성을 살펴보고, Docker 를 포함한 여러 컨테이너들을 비교해 본다. 본 연구의 시스템 아키텍처로, JMS(Java Message Service)기반의 분산 컨테이너 클러스터를 구성하였다. 분산 컨테이너 클러스터 상에서 메시지 처리 속도를 지표로 삼아 컨테이너 수와 Docker engine 의 메모리의 증가에 따른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Docker Swarm의 메모리 과점유로 인한 성능 하락의 상관 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Heavy Occupancy of Memory in Docker Swarm)

  • 장준범;박봉우;최희석;유헌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1-73
    • /
    • 2018
  •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가상화를 지원하는 컨테이너(container)는 일반적인 가상머신과 같은 운영체제의 격리된 인스턴스 형태이지만 VM과는 달리 호스트 OS자원을 공유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식성이 좋으며 배포를 쉽게 할 수 있는 등 장점이 있다. 컨테이너의 중요성과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그것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솔루션도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ocker에 내장된 오케스트레이션 기능 중 하나인 Docker Swarm이 과도하게 메모리를 사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먼저, Docker Swarm의 구조에서 Manager 노드와 Worker 노드의 서비스를 증가시켜 실행시킨 후 성능을 평가한 후 과점유의 원인을 파악한다. 실험 결과 메모리 과점유의 원인은 컨테이너가 작동을 멈춘 후에도 여전히 메모리를 점유하고 있어 컨테이너를 증가시킬수록 메모리 이용률이 줄어들지 않는 것이 증명되었다.

Performance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ntainer-based Host Operating Systems for sending and receiving High-capacity data on Server Systems

  • Kim, Sungho;Kwon, Oeon;Kim, Jung Han;Byeon, JiHyeon;Hwang, Sang-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65-73
    • /
    • 2022
  • 최근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리눅스용 윈도우즈 하위 시스템(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을 지원함에 따라 도커 컨테이너를 해당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기존의 다양한 연구에서는 호스트 운영체제별로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성능과 관련한 지표가 부족할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커 컨테이너 기반의 호스트 운영체제별 성능 비교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성능 비교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실험 환경에서는 동일한 스펙 환경과 데이터셋을 구성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리눅스 시스템에서의 도커 컨테이너가 윈도우즈 시스템 대비 데이터셋 1-6의 기준으로 3.9%, 62.16%, 1552.38%, 7.27%, 60.83%의 평균 지연시간 감소를 보였다.

가상화 클러스터 환경에서 빅 데이터 분산 처리 성능에 하이퍼바이저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pervisor on Distributed Big Data Processing in Virtualizated Cluster Environment)

  • 정혜진;나연묵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89-94
    • /
    • 2016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의 클러스터 환경이 일반 클러스터 환경에서 가상화 클러스터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 환경의 변화는 대용량 분산처리 성능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국내외의 많은 IT관련 기업에서 경쟁적으로 연구와 서비스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데이터 분산 처리 성능에 하이퍼바이저가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는 Xen과 컨테이너 기반의 Docker를 사용하여 가상 클러스터 환경을 만들고, MapReduce의 성능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이 결과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지 않은 Docker 성능이 약 1.44배 - 2.92배 더 좋은 것을 검증하였다.

도커 컨테이너 기반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Docker Container Based Database Platform)

  • 허태성;홍지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171-172
    • /
    • 2020
  • 도커 컨테이너 기반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은 IT 개발자들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으로써 개발용 데이터베이스를 웹에서 생성할 수 있으며, 개발자는 개발 데이터베이스 세팅을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후, 웹에서 데이터베이스 접속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서버상태를 분단위로 확인할 수 있다.

  • PDF

Docker Swarm 기반 리소스 부하 영역별 컨테이너 처리 성능 평가 (Evaluation of Container Handling Performance by Docker Swarm-based Resource Stress Area)

  • 강태신;이재학;김형준;유헌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2-134
    • /
    • 2022
  • 클라우드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분산 클라우드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으며, 컨테이너 가상화에서 여러 노드에 컨테이너 배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오케스트레이터의 컨테이너 스케줄링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클러스터 집합의 컴퓨팅 자원이 부족할 시 프로세스의 저지연 처리를 보장하기 위한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Docker Swarm 기반 제한된 컴퓨팅 자원을 가진 클러스터 환경에서 다양한 부하가 발생했을 때 일반 프로세스의 평균 수행 시간 및 평균 지연 처리 정도를 측정 및 분석한다. 이를 통해 오케스트레이터 스케줄링 최적화를 위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며, 향후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비스 맞춤형 컨테이너를 위한 블록 입출력 히스토리 학습 기반 컨테이너 레이어 파일 시스템 선정 기법 (A Method of Selecting Layered File System Based on Learning Block I/O History for Service-Customized Container)

  • 용찬호;나상호;이필우;허의남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10호
    • /
    • pp.415-420
    • /
    • 2017
  • OS-level의 가상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기존의 가상화 기술인 가상 머신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컨테이너는 기존의 리눅스 컨테이너에 유니온 마운트 포인트(Union Mount Point) 와 레이어 구조의 이미지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의 배포가 가능하다. 이러한 컨테이너의 특징들은 스냅숏 기능을 제공하는 레이어 구조의 파일 시스템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따라 적절한 레이어 파일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레이어 파일 시스템들의 특징을 조사한 뒤, 레이어 파일 시스템의 동작 원리인 Allocate-on-Demand 및 Copy-up 방식에 따른 파일 시스템의 쓰기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또한 각 레이어 파일 시스템 방식의 블록 입출력 사용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 신경망을 통해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적합한 레이어 파일 시스템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한다.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를 통한 교육 실습환경 구축 (Building Education Practice Environment through Container-based Virtualization)

  • 윤준원;송의성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53-460
    • /
    • 2018
  • 가상화 기술의 대표적인 특징은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을 격리시킬 수 있고 컴퓨팅 자원을 사용자가 요구에 따라 유연하고 확장성 있게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미 잘 알려진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상화 기술은 게스트 OS와 이를 관리하기 위한 하이퍼바이저 부하를 감수해야 한다. 이런 OS 기반의 가상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컨테이너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이 기술은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격리화 시킴으로써 부하를 최소화 하면서 가상화와 유사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구축했던 클라우드 기반의 교육 실습 테스트 환경을 컨테이너 기반의 도커를 통해 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 실습환경 구축시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컨테이너의 기능들을 분석하여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는 실습환경에 맞게 유연하고 확장성 있는 기존의 클라우드의 장점을 살리고, 성능부하의 이슈를 최소화함으로써 한정된 자원의 활용성을 최대화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