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vided rhizom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분주 근경 크기와 배지 종류가 고추냉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vided Rhizome Size and Medium Type on Growth of Wasabia japonica Matsum.)

  • 이용범;최기영;배종향;김정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7-141
    • /
    • 2009
  • 분주 크기와 배지 종류가 고추냉이 생존율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환경이 조절된 생장상에서 60일간 재배하였다. 수태로 감싼 근경 크기(직경) 5mm 이상 분주 묘의 생존율은 100%였으며, 생육(초장 12cm 내외, 엽수 $3{\sim}4$장)은 양호하였다. 생육 60일의 분주 묘는 초장 20cm 이상, 엽수가 $1{\sim}2$장 증가하였다. 루톤 분의제 처리는 생존율과 생육에 효과가 없었다. 배지 종류(마사, 난석)에 따른 직경 $5{\sim}10$mm 크기의 분주 묘를 담액 수경으로 재배하였을 때 83%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배지 종류에 따른 생육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근경 크기 5mm 이상의 고추냉이 분주를 환경이 조절된 생장상에서 30일간 수경재배 방식으로 순화하여 고추냉이 건전 묘를 생산할 수 있다.

Studies on the population biology of some clonal plants in a coastal reclaimed land

  • Choung, Yeon-Sook;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327-343
    • /
    • 1991
  • Clonal growth and rhizome architecture of calmagrostis epigeios, were studied in a 15-year old coastal reclamed land. As c. epigeios patch grew from center to margin radially over time, concentric annuli were added. the radial increases of the mature patch were 80~130cm/yr. the patch ages of c. epigeios estimated by relationships between the diameter and is radial increament, were 1~6year old. There were the marked variations of density, phytomass, shoot height and inflorecence frequency with increasing age of rhizome system within the patch. the maximum performance occurred at 2-year-old concentric annuli of the patch. The growth phasic continuum with aging was divided into 5 grwth phases ; pioneer, building, matyre, senile and degenerate. The rhizome aging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lorescence frequency than on the other attributes. new rhizomes tended to diverge from the direction of the parent ramet by sympodial growth. in a 1-year-old patch, average length of rhizome segment was 7cm, average number of internode was 6, and the tillering frequency was 27%. The tillering in the early stage resultd in the increase of shoot density and the producation of multibranching rhizome. as the result of that, circular patchwas formed in a year. The branching structure based on such facts was represented graphically in branching degree of 60 and 100. therefore, c. epigeios with clonal growth may establish and grow vigorously earlier than other glycophytes in high salt conditions such as the coastal reclaimed land.

  • PDF

상호작용성(Interactivity)과 리좀(Rhizome)적 작품체계: 디지털 이미지를 중심으로 (Interactivity and Rhizomatic Art Systems: Focusing on the Digital Images)

  • 박연숙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9호
    • /
    • pp.33-57
    • /
    • 2010
  •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interactivity in the appreciation of media art, this study is associated with the continually changed art texts and a participator's physical reactions to savor the art. Digital works of art emphasizing interactivity usually decentralize and disperse the responsibility and the central role for creating and producing the art works. Proper procedure of the work is generated by actions such as clicking the mouse, controlling the joy stick or actual movement of anticipators' bodies. The art works are influenced by participators' interactivity, which makes the leading roles and the responsibility for creating art scattered and divided. These features are similar with those of the 'Rhizome' which Gilles Deleuze(1925~1995) and Felix Guattari(1930~1992) have discussed. In their argument, 'Rhizome' is an interval or being 'between', which keeps changing. 'Rhizome' is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and the work of art never reach the conclusion, only a phenomenon of eternally altering. Like 'Rhizome', this sort of art work has the decentralized system, opens for several directions, and activates the system which is changeable as linked items increased or decreased. These works stimulate the individual to perform and act while appreciating the art piece. In terms of processing and preceeding, interactivity is the important equipment and catalyzer. Through these procedures, the pieces can be the 'floating work of art' combined and condensed with the whole participators' reactions. The 'floating work of art' is neither the expression of an individual nor that of one particular group. Multidimensional influence of the web is the web which is constantly reorganizing and producing in its connective state. This connective state is activated by interactivity. The Rhizomatic system embodies the floating work of art process. Due to each individual perceiving art in individualistic terms, there is no dominating powers or central points. I regard this art works possessing above traits as the work of art with Rhizomatic system. The work of art with the Rhizomatic system is embodied through interactivity and because physical action activates the process of appreciation, a participator can actually experience and practice the philosophy. Ultimately the Rhizomatic speculation occurs during the interactivity of appreciating the Rhizomatic art pieces. The Rhizomatic system penetrates into the intuitive area beyond our recognition and thoughts, as we are engaged in the connective process. With the methods and manners of interactive art, we can possibly reconsider the system as a tool in which the participator is directly able to link experience and theory to the philosophies of Deleuze and Guattari.

  • PDF

경남지역 둥굴레속의 형태적 특성에 의한 분류와 형질간 상관 (Classification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of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Area)

  • 심재석;박정민;전병삼;강진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9
    • /
    • 2005
  • 경남지역의 자생 둥굴레속 47개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집종의 생장 몇 형태 관련 형질, 잎마름병 감염정도, 이들 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산둥굴레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짧았다. 한편 줄기의 생장형태는 직립형을 포함한 3개군으로, 줄기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하였다. 2. 염의 형태로는 타원형을 포함한 5개군으로, 엽병은 존재 유무로부터 2개군으로, 엽병의 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에 특이하게 피침 형태로 엽연이 자색인 1개종이 수집되었다. 3. 꽃은 화형이 항아리형, 통형, 조롱박형의 3개군으로, 화색은 흰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특별하게 조롱박형인 1개 수집종은 연녹색을 띄고 있었다. 화사는 실린더형과 편평형으로, 화경의 색깔은 자색을 포함한 4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포의 존재 유무와 형태에 따라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4. 과실은 둥근형 등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백과중은 둥굴레에서 가장 무거웠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가벼웠다. 5. 둥굴레 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아주 강한 것은 2종, 이병율이 7% 이하인 것은 7개종으로 조사되어서 근경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저항성 유전자원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제형질의 상관관계에서 근경수량과 관련된 근경중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엽폭, 지하경 직경과 정의상관을 보였으나 근경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잎마름병 이병율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백립중, 근경중, 지하경 직경과 부의상관을 보였다.

인삼의 부위별 식이섬유소 분포 및 조성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in Various Parts of Ginseng Root)

  • 김은희;최강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289-293
    • /
    • 1998
  • Six-year-old ginseng roots were divided into rhizome, main root (epidermis, cortex and xylem) and lateral root (big tail root, mid tail root and fine tail root) and the concentration levels of soluble dietary fiber (SDF) and insoluble dietary fiber (IDF) in each part of the ginseng were investigated. The amount ratios of SDF to IDF (SDF/IDF) in various parts of the ginseng root were also compared. The concentration levels of SDF and IDF in the ginseng root were 6.56% and 15.41 %, respectively, where the level of SDF in main root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lateral root. However the amount of IDF in main root was lower than that of lateral root. The SDF/IDF was highest in main root, 0.513,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lateral root or rhizome. The SDF/IDF was 0.704 in xylem, 0.478 in cortex, and 0.099 in epidermis of the main root and the SDF/IDF was 0.576 in big tail root, 0.463 in mid tail root, and 0.255 in fine tail root of the lateral root. It has been reported that SDF might have preventive effects on diabetes, obesity, high blood pressure, colon and rectum cancers, while IDF might have preventive effects on constipation. Therefore, main root of six-year- old ginseng root is thought to have a little different physiological activity from lateral or fine tail roots.

  • PDF

한국산 Arisaema ringens $S_{CHOTT}$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Korean Arisaema ringens $S_{CHOTT}$)

  • 정명현
    • 생약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63-172
    • /
    • 1971
  • This paper attempts to observe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Korean Arisaema ringens $S_{CHOTT}{'s}$ rhizome, to identify it's constituent and to investigate the pharmacological action with it's alcohol extract. The results are : 1) The inner structure of rhizome on the transverse section is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tissues by the ring of intercellular secretary sac. Raphides of calcium oxalate contained in mucilage cell, collateral vascular bundle, are extremely similar to those contained in Pinellia ternata. 2) The organs of the pistillate Arisaema ringens are larger and more plentiful than those of the staminate Arisaema ringens. The sexual identification is easy in the flowering season. 3) The alkaloid is identified by Meyer reagent as white p.p.t. at pH 2 of sulfuric acid. 4) The saponin is indentified remarkably by means of foaming reaction, Lieberman-Burchard reaction and hemolytic reaction. 5) The effect of alcohol extract on the relaxation of the isolated intestine of the rabbit is remarkably shown at the concentration of $10^{-3}g/ml$. 6) The effect of alcohol extract on the isolated ractus muscle of the frog increases the constructive action of acetylcholine at the concentration of $10^{-3}g/ml$. 7) The effect of alcohol extract on the isolated heart movement of the frog is decreased remarkably at the concentration of $10^{-3}g/ml$. 8) The effect of alcohol extract on the blood pressure of the rabbit is decreased by an interavenous injection of $10^{-3}g/kg$.

  • PDF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 투여가 실험동물의 체내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ilax china L. Rhizome Extract on Heavy Metal Contents in Rats)

  • 강혜숙;유한춘;최유리;김후경;조선미;윤병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3-238
    • /
    • 2011
  • 한방에서 토복령으로 알려진 청미래 덩굴 뿌리(Smilax china L. rhizome) 추출물 투여가 체내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4주령 SD rat을 대상으로 중금속을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 중금속(Pb, Cd, As, Hg) 투여한 대조군 및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SCE)을 체중 kg당 13 mg(SC1)과 26 mg(SC2)씩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3주간 사육하였다. 체중 증가나 표적 장기의 무게는 실험군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에서의 중금속 축적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CE 투여군에서 3주 후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SC2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간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 SCE 투여군에서 Cd을 제외하고 3주 후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의 경우 SC2군에서 Pb와 Cd의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털에서 중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SC2군에서 Pb의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체내의 중금속 축적 장기인 간과 신장 그리고 혈액 및 털에서 Pb와 Cd, As, Hg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SCE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백삼과 홍삼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 (Cytotoxicity of White and Red Ginseng against Cancer Cells and Their Effects on the Cell Cycle)

  • 정노팔;송선옥;최상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183-18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백삼 및 홍삼을 동체 및 뇌두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분획물의 생쥐유래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대식세포에 대한 독성과 비교하여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인삼분획의 세포독성이 세포의 분열주기 억제와 연관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L929세포의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도 실험하였다. 세포독성 실험에서 홍삼이 백삼에 비해 우수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 백삼 및 홍삼 모두 뇌두 분획물이 동체 분획물에 비해 우수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에 사용한 세포들 중 RAW264.7세포에 대한 인삼 분획물의 세포독성이 다른 암세포 및 대식세포에 비해 강하게 나타났다. 이들 분획물의 세포 분열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실험에서는 각 분획물 모두 L929세포의 분열주기를 G$_2$/M기에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로 백삼에 비해 홍삼에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이 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같은 백삼이나 홍삼에서도 뇌두 부위에 이러한 세포독성 물질이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실험의 결과, 인삼의 세포독성 기작은 세포의 분열주기 억제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한국산 꿩의다리속(Thalictrum L.) 식물의 형태학적 연구 (The morphology of Thalictrum L. in Korea)

  • 박성준;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33-458
    • /
    • 2008
  • 한국산 꿩의다리속 식물에 대해 뿌리, 잎, 화서, 꽃, 수술, 암술, 열매 등 형태 형질의 종합적인 검토를 통하여 형질의 분류학적 가치를 논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화된 줄기 및 뿌리는 수근형, 괴경을 갖는 수근형, 괴근형, 팽미근형(tuberoid), 지하경, 지상경으로 구분되었다. 줄기는 능선의 유무 또는 털의 유무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잎은 일반적으로 2-3회 3출엽이며, 엽선, 엽저, 탁엽의 모양, 열편의 수로 구분되었다. 화서는 산방화서와 원추화서로 구분되고, 꽃은 양성화이다. 꽃잎이 없으며, 개화시 꽃받침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되고,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어 종을 동정하는데 중요한 형질로 나타났다. 특히 수술은 약의 모양과 정단모양, 약의 털, 수술대의 팽창정도, 수술대의 표피형태 등에 따라 구분되며, 암술은 주두의 모양, 자방의 선모유무, 심피자루의 길이 등에 따라 구분되었다. 열매는 수과의 형태를 가지며, 수과의 모양, 수과의 능선 또는 날개의 유무, 과병의 길이 등에 따라 구분되었다. 조사된 형질 중 절을 구별하는 데는 수술대의 확장정도, 약의 모양, 수과의 날개와 능선, 수과의 팽창 정도 등이 식별형질이 사용되었으며 종 동정을 하기 위한 유용한 형질은 뿌리, 잎의 모양, 수술과 암술의 모양, 수과의 부리 및 과병의 길이, 수과와 잎의 털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