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vided Difference Equation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1초

벌크터미널 서비스품질 분석 및 이용주체별 차이에 관한 연구: 부산항 벌크터미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Analysis and the Difference Between User Groups in Bulk Terminals of Busan Port)

  • 이경남;양한나;왕고봉;신창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3-230
    • /
    • 2016
  • 해상운송화물이 꾸준하게 증가하면서 화물을 처리하는 터미널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터미널과 관련된 대부분의 국내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에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벌크터미널의 서비스품질 관점에서 수행하였다. 벌크터미널 서비스 이용자를 크게 선사와 화주로 구분하여 제공받는 서비스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속성 가운데 유형성은 선석 수나 수심, 장비 등의 변수들이 반영되어 설명되기 때문에 형성지표로 분석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인 구조방정식모델에서 활용되는 반영적 측정모델뿐만 아니라 형성적 측정모델을 결합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전체 측정모델의 분석결과 공감성과 성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주체별 차이 분석 결과는 화주가 선주보다 신뢰 반응성이 만족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벌크터미널의 경쟁력 확대를 위한 전략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동죽 (Mactra veneriformis REEVE)의 산소소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xygen Consumption of Surfclam, Mactra veneriformis REEVE)

  • 이정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14-619
    • /
    • 1996
  • 자연환경 아래에서 동죽의 산소소비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4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군산연안 간석지에서 채집한 동죽을 대상으로 산소소비량을 측정하였다. 동죽은 각장 2cm 그룹(1세군)과 각장 3cm 그룹 (2세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온도와 염분에 따른 각장 그룹별 산소소비경향을 보면 각장 2cm 그룹과 3cm 그룹 모두 온도와 염분이 낮을수록 산소소비량은 감소하는데 온도에 따른 감소 경향보다는 염분 저하에 따른 감소 경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각장 3cm 그룹에서의 감소율이 각장 2cm 그룹에서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한편, 계절에 따른 동죽의 산소소비경향은 간석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데 동절기인 2월에는 $0.5\;O_2mg{\cdot}g^{-1}{\cdot}h^{-1}$ 미만의 낮은 산소소비량을 보이지만 하절기인 $7\~8$월에는 $1.93\~2.44\;O_2mg{\cdot}g^{-1}{\cdot}h^{-1}$의 높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내었다. 각장에 따른 산소소비경향은 각장 2cm 그룹이 3cm 그룹에 비하여 높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내었으며, 두 그룹간의 산소소비량 차이는 온도가 높은 하절기에 더욱 크게 나타났다. 계절 온도에 따른 산소소비의 경향을 회귀직선식으로 표시하면 각장 2cm 그룹의 경우는 $Y=e^{-1.6312+0.0879X}(r^2=0.9466)$, 각장 3cm 그룹의 경우는 $Y=e^{-2.2366+0.0994x}(r^2=0.9305)$로 각각 표시되었으며, 두 그룹간 기울기에 유의의 차가 없어 계절에 따른 산소소비 경향은 두 그룹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지형분석을 통한 한국의 적색토 분포 예측 및 해석 (A Predi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d Soils in Korea Using Terrain Analyses)

  • 박수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1-98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의 적색토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지형분석을 통해 분포 지역을 예측한 뒤, 토양 및 지형발달의 관점에서 그 결과를 해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의 적색토는 배수가 양호한 평탄한 지형과 완경사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고온다습한 과거의 기후환경 하에서 형성된 뒤 현재까지 잔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 적색토 분포에 대한 정보는 한국의 개략토양도에서 적황색토로 표기된 대토양군들을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사면에서 나타나는 물과 물질의 이동특성에 기초한 수치고도모델(DEM) 분석을 통해 적색토 분포를 예측하였다. 적색토는 경사도와 지표곡면률이 낮고, 하천수와 토양수의 출현 가능성이 낮은 평탄지와 구릉지에 주로 분포한다는 가설 하에서 실행된 DEM 분석 결과, 실제 조사된 적색토 출현 지역의 67.4%를 예측할 수 있었다. 조사된 적색토와 예측된 적색토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토양 및 지형발달을 이해할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사실들을 발견하였다. 먼저 내륙의 침식평탄지에서는 적색토의 분포가 지형분석에 의해 과대 추정되고 있다. 이 지역은 활발한 침식 및 삭박작용을 받고 있어 유사한 지형 조건을 갖춘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적색토 출현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석회암 지역의 경우 적색토 출현 빈도가 예측결과보다 과소 추정되고 있어, 적색토 분포에 석회암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뢰스(loess) 퇴적층의 존재가 제기되고 있는 한반도 중앙부의 연천과 철원지역 역시 지형분석 결과보다 적색토의 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나 주목된다. 마지막으로 서산과 포항을 연결하는 선을 경계로 그 북쪽이 남쪽에 비해 예측된 것보다 높은 적색토 빈도를 보인다. 이 결과는 토양발달의 공간적인 차이, 뢰스층 및 기타 지질의 영향, 그리고 한반도가 가지고 있는 지반운동의 특성 등의 관점에서 보다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일부 산업보건기관들의 혈중연 분석치 비교 (Interlaboratory Comparison of Blood Lead Determination in Some Occupational Health Laboratories in Korea)

  • 안규동;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15
    • /
    • 1995
  • 사람의 독성 영향을 평가하는데는 생체 시료중 금속의 분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 나라는 최근에 산업보건 분야에서 이 문제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법적인 정도관리 제도를 도입하였다. 연은 특수건강 진단과 산업위생 정도관리 프로그램에서 표준적인 금속으로 이용된다. 과거 20 여년 동안 연중독은 중금속 중독증 발생율이 가장 높았으며 따라서 산업보건 전문기관들은 혈중연 분석의 능력은 필수적인 것으로 되어 왔다. 또한 혈중연은 연 폭로를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지표이므로 신뢰성과 정확한 분석이 항상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 비교적 잘 알려진 산업보건기관에서 혈중연 분석의 실험실간 측정치의 변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축전지 제조공장의 68명 연폭로 근로자로부터 2 ml씩 2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그 하나는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SIIM)에서 분석하고 40개의 시료는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CIIM), 그리고 나머지 28개의 시료는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JOHC)에서 분석하여 비교하였으며, 한편 일본 전국노동위생연합회(JFOHO)에서 정도관리용 우혈을 농도별로 6종을 구입하여 우리나라 정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 Y 대학 산업의학연구소, S 대 환경보건과, D 연구소등 6개 기관에서 분석한 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와 국내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간 혈중연 농도별 분석결과는 평균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상대표준편차도 3%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와는 평균값에서 역시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최고 6.84% 였다. 2.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와 국내 C 대학 산업 의학연구소간 혈중연 농도별 분석결과가 15% 이하의 차이를 나타낸 시료의 수는 40개중 35개로 87.5%의 일치율을 나타내었으며,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와는 28개 시료중 22개로 78.6%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3.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의 결과를 종속변수로 그리고 국내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간의 분석치를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 단순회귀식은 순천향 = 2.19 + 0.9243 C 대학(p=0.0001), 상관계수는 r = 975(p =0.0001)였으며, 일본 기관과는 순천향 = 1.91 + 0.9794 K 일본(p=0.0001), 상관계수 r = 0.965(p=0.0001)였다. 4. 일본 정도관리시료의 공인 값과 본 연구에서 이들 시료를 분석한 기관들 간의 분석치에 대한 단순회귀식의 설명력(R2)은 모두 0.99 이상이었으며 일본 정도관리 시료의 공인 값을 종속변수로 하고 국내 및 일본 기관들의 정도관리 시료 분석치를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 기울기는 0.972에서 1.153으로 정체적으로 양호한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Restricted Feeding on Intake, Digestion, Nitrogen Balance and Metabolizable Energy in Small and Large Body Sized Sheep Breeds

  • Kamalzadeh, A.;Aouladrabiei, M.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5호
    • /
    • pp.667-673
    • /
    • 2009
  • Ninety six intact male sheep (12 months old with mean live weight of about 35 kg)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restricted feeding on intake, digestion, nitrogen balanc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The animals were selected from two known Iranian small and large body size breeds: 48 Sangsari (S) and 48 Afshari (A), and were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restricted (R) and a control (C). Each group had 48 sheep (24 each breed). The experiment had a duration of 15 and 75 days adaptation and treatment periods, respectively. The animals were individually placed in metabolism cages and fed a diet based on pelleted concentrate mixture consisting of alfalfa, barley grain, cottonseed meal and barley straw. The animals in group C were fed ad libitum, while animals in group R were fed at maintenance level and maintained a relatively constant live weight. During the experiment, the average daily weight gain (ADG) of S and A animals in R group was 0.34 and -0.25 g/d (0.02 and -0.02 $g/kg^{0.75}/d$), respectively. While that of S and A animals in C group was 174.4 and 194.4 g/d (10.16 and 11.48 $g/kg^{0.75}/d$), respectively. Nitrogen (N) was determined by both measured and regression methods. Animals of R group stayed at about zero N balance (0.01 and -0.00 g $N/kg^{0.75}/d$ for S and A animals, respectively). The N retention of animals of both S and A breeds in C group were similar (0.45 and 0.46 g $N/kg^{0.75}/d$, respectively). Digestible organic matter intake (DOMI) and ME requirement for maintenance (MEm) were measured by both constant weight technique and regression method by regressing N balance on DOMI and ME intake on ADG. The measured DOMI during constant weight was 24.61 and 24.27 g $DOMI/kg^{0.75}/d$ and the calculated DOMI from regression equation was 24.24 and 24.22 g $DOMI/kg^{0.75}/d$, for S and A animals, respectively. The measured MEm was 402 and 401 kJ $ME/kg^{0.75}/d$ and the calculated MEm from regression analysis was 398 and 400 kJ $ME/kg^{0.75}/d$ for S and A breed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th measured and regression techniqu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 and A breeds for DOMI, N retention, MEm, digestibility and metabolizability values. Digestibility values for OM, GE and CP and metabolizability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restricted feeding sheep compared with that of sheep fed ad libitum.

축육소시지 저장성 산출을 위한 속도론적 고찰 (A Consideration on its Kinetics for shelf-life Prediction of Meat Sausage)

  • 김수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6-260
    • /
    • 1992
  • 저장온도별 축육소시지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 변화를 토대로 유통기간 산출을 시도하였고, 그중 품질지표 성분을 구명하여 이에 대한 품질변화를 반응속도론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된 포장재료중 외포장은 cellulose #23이었고, 내포장은 CN/PE 고밀도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저장기간에 따라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축육소시지의 품질지표성분을 VBN이었으며, 그 함량의 상한선은 20 mg%이었다. 회귀방정식과 $Q_{10}$에 의한 축육소시지의 유통기간 예측은 $10^{\circ}C$에서는 $58{\sim}63$일, $20^{\circ}C$에서는 $47{\sim}51$일, $40^{\circ}C$에서는 26일로 산출할 수 있었는데 이 두 방법의 오차는 약 $4{\sim}5$일 정도 차이를 나타내었다. 각 온도별 축육소시지의 VBN 함량변화에 대한 $Q_{10}$치는 가속저장온도인 $40^{\circ}C$$Q_{10}$치=1.35를 구하여 30, 20, $10^{\circ}C$에 적용하여 유통기간을 산출하였다. 축육소시지의 VBN 함량 변화속도는 1차 반응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서로 다른 반응속도의 두 구간으로 구분되었다. 반응시간 20일을 전후한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2.959Kcal/mole, 3.632Kcal/mole 이었다.

  • PDF

신장과 체중을 이용한 남자의 신체 용적 간접 측정 (Prediction of Human Body Volume from Height and Weight)

  • 김기용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4권2호
    • /
    • pp.37-44
    • /
    • 1970
  • Human body volumes were calculated from the measurments of body height and body weight. Equations Suited to express the relations of height, weight, and surface area to show the body volume were derived from the body volume measurements by means of underwater. weighing method. Underwater body weights were corrected for the residual volume of long obtained by the Rahn's three breath method. Underwater weighing was performed on 173 male subjects aged between 13 and 51 years.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age groups, namely, 13-16 years group of 47 subjects, 16-19 years group of 46 subjects, adult group aged between 22 and 38 years comprising 45 subjects, and middle-aged group (40-51 years) of 35 subjects. The group division was made on .the basis of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ody height (H, cm), body weight (W, kg), body surface area $S,\; m^{2})$, and body volume (V, liter.) interrelated closely. V/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W/H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r=0.97 irrespective of age group differences of the subjects. The coefficients of correlation between V/S and W/H in the total mate subjects as a single group was r=1.983. Subsequently the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was obtained. V = S X (54.84 W/H + 14.08) The agreement of body volume values obtained by the calculation and underwater weighing in the total subject group was better than that of the separate age group division. 2. The calculated values of body volume were: 40.4 l (euiqvalent to the body density value of 1.0562 kg/1) in 13-16 years group; 52.0 l (equivalent to density value of 1.0723 kg/l) in 16-19 years group; 55.3 l (equivalent to density value of 1.0570 kg/l) In the adult group; and 54. 0 l (equivalent to density value of 1.074 kg/l) in the middle-age group. The mean deviation of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volume value ranged between ${\pm}0.55$ and ${\pm}0.81$ liters. 3. The correlation between V/S and mean skinfold thickness of 4 sites (arm, back, iliac and chest) was high, namely,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r=0.656. The coefficients of correlation between V./S and the $R\"{o}hrer$ index ranged between r=0.668 and r=0.810 affected by the difference in group age of the subject. The body volume (V) alone correlated poorly than V/S with mean skinfold thickness (r=0.606) and the $R\"{o}hrer$ index (r ranged between 0.274 and 0.588).

  • PDF

선형 배수로에 대한 부등류 해석 (Varied Flow Analysis for Linear Drainage Channels)

  • 구혜진;전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8호
    • /
    • pp.773-784
    • /
    • 2008
  • 본 연구는 노면배수시설에 이용될 수로 양단에 유출구를 가지며 유량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선형 배수로의 부등류 흐름의 해석 방법을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지배 방정식으로서 유한 차분 형태의 대수방정식을 사용하여 지배단면에서의 수심 값을 경계조건으로 Newton-Raphson 방법에 의하여 수면곡선을 계산하였다. 하류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와 수로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를 고려하고, 다양한 종단경사에 대하여 흐름 해석을 수행하였다. 단,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경우 양단을 지배단면으로 만드는 임계 종단경사를 조사하여 이보다 작은 종단경사에 대한 흐름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임계경사는 지배단면의 위치와 종단경사의 관계로부터 결정하였다. 하류단에 하나의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경우 수로 상에 존재하는 지배단면의 위치를 조사하여 그 지점을 기준으로 상류 및 하류 방향으로 수심을 계산한다. 반면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경우 지배단면이 수로 양단이라면 분수계를 가정하여 분수계를 기점으로 구분되어지는 상류측 및 하류측 수로에 대한 흐름 해석을 수행하고, 상류단에서 분수계 방향으로 그리고 하류단에서 분수계 방향으로 계산된 분수계 지점의 두 수심이 동일할 때까지 흐름 계산을 반복한다. 흐름 계산 결과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가 임계경사보다 큰 경사로 설치된 경우에는 하류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흐름 거동과 유사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노면배수시설 설계의 중요한 요소인 최대수심은 종단경사가 작을 때 등류 해석으로 계산된 값이 부등류 해석보다 크게 산정되었으며, 이는 종단경사가 작을 때 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한설계가 과대설계가 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쌍끌이 기선저인망의 유수저항 특성 및 모형 실험시의 축척비 영향 (Flow resistance of bottom pair trawl nets and scale effect in their model experiments)

  • 김대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2호
    • /
    • pp.203-21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w resistance of the bottom pair trawl nets. The bottom pair trawl nets being used in fishing vessel (100G/T, 550ps) was selected as a full-scale net, and 1/10, 1/25 and 1/50 of the model nets were made. Converted into the full-scale net by Tauti's modeling rule and Kim's modeling rule, when resistance coefficient k of each net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into above equation for flow resistance R and wall area of nets S values of each net ${\upsilon}$. Because resistant coefficient k decreases exponentially according as flow velocity ${\upsilon}$ increases to make $k=c{\upsilon}^{-m}$, c and m values of each net were compared. As a result, as the model was smaller, c and m values was smaller in the two rule into standard of 1/10 model value, decrease degree of 1/25 model was almost same in the two rule, decrease degree of 1/50 model was very big in Tauti's modeling rule. Therefore, in the result of experiment, because average of c and m values for similarly 1/10 and 1/25 model were given $c=4.9(kgf{\cdot}s^2/m^4)$ and m=0.45, R (kgf) of bottom pair trawl net could show $R=4.9S{\upsilon}^{1.55}$ using these values. As in the order of cod-end, wing and bag part for 1/25 and 1/50 model net were removed in turn, measured flow resistance of each, converted into the full-scale, total resistance of the net and the resistance of each part net were calculated. The resistance ratio of each part for total net was not same in 1/25 and 1/50 model each other, but average of two nets was perfectly same area ratio of each part as the wing, bag and cod-end part was 43%, 45% and 12%. However, the resistance of each part divided area of the part, calculated the resistance of per unit area, wing and bag part were not big difference each other, while the resistance of cod-end part was very large.

벼 조기초관폐쇄성의 품종 변이 및 수량과의 관계 (Genotypic Variation of Rapid Canopy Closure and Its Relationship with Yield of Rice)

  • 부금동;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7-143
    • /
    • 2008
  • 조기 초관폐쇄성(rapid canopy closure, RCC) 또한 벼의 유전적인 잠재수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리적 특성 중 하나이다. EGV(early growth vigor)가 상이한 22개 품종을 선정하여 EGV와 초관의 조기폐쇄성(RCC)과의 관계, RCC와 생육 및 수량간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포장실험(이앙재배)을 실시하였다. 초관이 폐쇄되기 전의 생장은 $y\;=\;{\alpha}{\cdot}{\exp}({\beta}{\cdot}t)$와 같은 지수생장함수로 표현되는데, y는 엽면적지수(LAI) 또는 지상부건물중(DW)이고, t는 적산온도이며, $\alpha$는 지수생장초기의 LAI나 DW 값이고, $\beta$는 지수생장이 일어나는 시기의 LAI 또는 DW의 상대생장률(relative growth rate, RGR; $^{\circ}C^{-1}$)이다. 1. 벼의 지수생장 초기단계에는 품종의 LAI나 DW가 $\alpha$와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고 또한 종자 무게(천립중)와 정의 상관이 있어 종자무게에 의하여 생육이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그 후의 시기는 품종의 LAI 및 DW가 $\beta$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2. $\alpha$$\beta$는 모두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3. $\beta$는 단위면적당 영화수 및 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4. 결론적으로 EGV 및 RCC는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고, EGV가 크면, RCC도 커서 수량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