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tch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7초

도로 절토사면 산마루측구 배수성능에 따른 사면안정성 평가 (Evaluation for Installation and Drain Performance of Mountain Side Ditch in Road Cut Slopes)

  • 황영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73-79
    • /
    • 2004
  • 도로주변 절토사면 상부에 설치되는 산마루측구는 강우시 상부로부터 흘러내려오는 지표수를 원활히 배수시켜, 절토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다. 그러나, 산마루측구 설치시 시공여건상 품질관리가 어려워, 절토면 배면으로부터의 지표수를 원활히 배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탈면 상부에 설치된 산마루측구의 기능을 지반 및 지형조건, 강우조건에 따라 비탈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현재 설계 시공되고 있는 산마루측구의 설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산마루측구는 평균적으로 강우시 약 3%의 안전율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비탈면 Ditch에 대한 낙석의 거동 해석 (Analysis of Rockfall Behavior about Slope Ditch)

  • 이준대;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37-47
    • /
    • 2022
  • 최근 적극적인 안정대책의 수립으로 비탈면의 대규모 붕괴는 감소하고 있으나 비탈면 내 또는 비탈면 상부의 뜬돌이나 전석의 불안정화로 인한 낙석의 발생빈도는 크게 줄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낙석의 안정화와 방재대책으로 낙석방지 울타리나 낙석 방지망 등의 보호공법이 대표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낙석의 에너지를 감소시키고 낙석의 구름조건을 변화시켜 낙석을 일정 공간에 포집하기 위한 접근은 상대적으로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범용 낙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탈면 하부에 설치되는 ditch의 제원에 따라 낙석의 구름특성이 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도로나 탐방로 등에 적용할 수 있는 ditch의 제원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절개사면의 안정성 증가를 위한 배수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Study on Drain System Development for Stability Increase of Cutting Slope)

  • 이승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5-20
    • /
    • 2005
  • 도로 주변 절토사면 상부에 시공되는 산마루 측구는 상부로부터 흘러내리는 지표수를 원활히 배수시켜 절개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국내의 경우 전 국토의 70%이상이 산악지로 구성되어 있어 도로 개설에 따른 절개면의 발생은 필연적이다. 여름 집중호우와 간극수압의 증가로 인하여 절개면의 불안정성은 증가된다. 그러나 절토사면 상부에 시공되어 있는 산마루측구는 품질관리의 어려움과 배수능력 부족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마루 측구의 깊이와 투수계수에 따른 절토사면의 안전율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적절한 측구 설치깊이를 결정하였다.

  • PDF

침전지내장형 상분리 산화구공정에 의한 하수 고도처리특성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dvanced Municipal Wastewater Tretment by Phased Isolation Intrachannel Clarifier Ditch)

  • 홍기호;장덕;한상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63-570
    • /
    • 2004
  • Phased isolation intrachannel clarifier ditch process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nhanced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ss employing two ditches with intrachannel clarifiers. Bench-scale phased isolation ditch process was used to evaluate the system performance on municipal wastewater and detailed assessment of internal behavior in a ditch and each reactions. When the system was operated at the HRTs of 6~12hours, SRTs of 9~31 days, and cycle times of 4hours, the system showed removals of BOD, TN, and TP as high as 88~97%, 73~78%, and 65~90%, respectively. The internal behavior were well matched on each reactions such as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and phosphorus release and uptake. As the SRT became longer, TN removal increased gradually, whereas TP removal decreased contrarily. However, the system was capable of producing an effluent TP concentration 1mg/L or less even at longer SRTs except the case of solids discharge by malfunction of intra-clarifier occurred by its geometrical limit. The system performance slightly decreased by hydraulic shock loading(increasing of influent flowrate and decreasing of system HRT). However, the higher system performance could be achieved again after four cycles. Thus, the system reliability could be successfully achieved short-term hydraulic shock loading that occurred in medium- and small-size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suffering fluctuation of influent quality and flowrate during wet season.

Genetic Differences and DNA Polymorphisms between the Fleshy Prawn Fenneropenaeus chinensis and Chinese Ditch Prawn Palaemon gravieri

  • Yoon Jong-Man;Kim Jong-Ye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3호
    • /
    • pp.151-160
    • /
    • 2005
  • Genomic DNA samples isolated from Fenneropenaeus chinensis (fleshy prawn; FP) and Palaemon gravieri (Chinese ditch prawn; CDP) collected in the West Sea, off the Korean Peninsula, at Buan, were PCR-amplified repeatedly. The sizes of the DNA fragments generated by seven different primers varied from 50 bp to 1,600 bp. We identified 358 fragments for the FP species and 301 fragments for the CDP species. There were 18 polymorphic fragments (5.03$\%$) for the FP species and 12 (3.99$\%$) for the CDP species. In total, 66 common fragments (average of 9.4 fragments per primer) were observed for the FP species and 44 fragments (average of 6.3 fragments per primer) were observed for the CDP species. The numbers of specific fragments seen for the FP species and CDP species were 38 and 47, respectively. The complexity of the banding patterns varied dramatically between the primers and the two species. In the FP species, a specific fragment of approximately 1,200 bp generated by primer OPB-04 exhibited inter-individual-specific characteristics that were indicative of DNA polymorphisms. Moreover, in the CDP species, a major fragment of approximately 550 bp generated by primer OPB-20 was found to be specific for the CDP. The average bandsharing value between the two prawn species was 0.421$\pm$0.006, and ranged from 0.230 to 0.611. The dendrogram obtained using the data from the seven primers indicated seven genetic clusters: cluster 1, FLESHY 01, 02, 03, and 04; cluster 2, FLESHY 05, 06, and 07; cluster 3, FLESHY 08, 09, 10, and 11; cluster 4, DITCH 13, 14, 16, and 18; cluster 5, DITCH 12, 15, and 17; cluster 6, DITCH 19, 20, and 21; and cluster 7, DITCH 22.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the two prawn species ranged from 0.071 to 0.642. Thus, RAPD-PCR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genetic distance between the two prawn species. Using various arbitrary primers, RAPD-PCR may be applied to identify specific/polymorphic markers that are particular to a species and geographic population, and to define genetic diversity, polymorphisms, and similarities among shrimp species.

2차원 유한체적 수치모형을 이용한 대구획 논의 배수특성 분석 (An Analysis of Drainage Characteristics at Large-Sized Paddy Fields Using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 박승우;박종민;강민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3호
    • /
    • pp.3-14
    • /
    • 2004
  •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based on a finite volume method was formulated to solve the shallow water equations and applied for evaluating drainage characteristics at large-sized paddy fields. Manning roughness coefficient was calibrated using the observed inundating depths at drainage tests, and used for validating the model with the results from another drainage test. The simulated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inundating depths. The result of surface drainage showed that the longer width of the outlet was or the more the number of drainage outlet was, the shorter the drainage time was taken, and the larger the size of the field become, the longer the drainage time was taken, and the field shape had little effect on drainage time. To reduce the drainage time to 24 hours, the outlet is located lower than the elevation of the basin and small drainage ditch is constructed at the fiel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rainage time was taken short as the small drainage ditch was constructed. The comparison of drainage time as to the size of field constructed small drainage ditch showed the field, 100m ${\times}$ 200 m, can be drained in 24 hours.

Ditch상 인공주입방식을 이용한 인공함양 및 주입량 평가 연구 (Evaluation of Artificial Recharge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Methods of Ditch and Injection well)

  • 이영동;신동민;김병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5-25
    • /
    • 2020
  • 최근 기후변화와 함께 한국은 매년 가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지역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가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지하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인공함양 및 취수시설의 실증시설을 구축하여 상시 가뭄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연구지역의 소규모 평탄지 하천 중·상류지역 충적층에 인공함양을 통해 가뭄대책 마련을 위한 인공 주입시설을 설치하고, 대수층 발달이 양호한 하류지역에 수평집수정을 이용한 취수시설을 설치하여 취수-공급의 지속적인 순환방식의 통합적인 인공주입·취수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가뭄 및 상수도 미 보급지역으로 인해 제한급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충청남도 홍성군 운곡리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지역 주 대수층인 충적층은 시추조사 결과 지표하 0.5~12.3m에 분포하며, 실트질 모래 및 실트질 자갈로 구성되어있다. 대수층의 수리성은 양수 및 회복시험결과 3.79×10-4~7.71×10-3(평균 3.13×10-3)cm/sec로 인공함양을 위한 지반 특성으로 양호한 수리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의 지층분포 및 수리지질특성을 고려하여 현장시험 대수층에 인공함양 방법 중 Ditch 및 Ditch+injection Well을 설치하고 공경, 여재등 여러인자에 따른 인공 주입에 의한 함양특성과 수위변동 모니터링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최적의 취수시설을 구축하여 국내 상시 가뭄지역의 대체수자원확보와 용수공급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산악지림도(山岳地林道)의 노견(路肩) 사면붕괴(斜面崩壞)와 측구침식(側溝浸蝕)에 관(關)한 연구(硏究) (Roadside Landslide and Ditch Erosion in Mountain Forest Road)

  • 마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2호
    • /
    • pp.161-168
    • /
    • 1987
  • 임업기계훈련원(林業機械訓練院)에서 1984년(年) 시범적(示範的)로 임도(林道)를 시설(施設)(10 km)할 목적(目的)으로 10 km를 시공(施工)했는데 1986년(年) 태풍(颱風) 내습시 부분적(部分的)으로 노견붕괴(路肩崩壞)와 측구침식(側溝浸蝕)이 발생(發生)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原因)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측구침식(側溝浸蝕)에 의한 피해(被害)길이는 전림도(全林道) 연장(10km)의 3%에 해당하였으며, 대부분(大部分) 요형사면(凹型斜面)에 사면장(斜面長) 10m 이상(以上)으로 성토(盛土)된 곡선부(曲線部)에서 발생하였고, 부분적(部分的)으로 상수(常水)가 흐르는 계곡부(溪谷部)에 성토(盛土)된 구역(區域)과 상수(常水)가 있는 배수관(排水管)의 유출구(流出口) 양사면(兩斜面)에 성토(盛土)된 부위에서 붕괴(崩壞)가 많이 발생하였다. 측구침식(側溝浸蝕)의 경우 심한 피해(被害)는 계곡수(溪谷水)가 월수(越水)하여 V형(型) 측구(側溝)를 따라 흐르므로서 피해(被害)를 발생시켰으며, 기타 원인(原因)으로는 종단(縱斷)물매가 10% 이상(以上) 급(急)하게 시공(施工)된 지역(地域)에서 나타나 문제점(問題點)으로 인식되고, 직경(直經) 400mm 이하(以下)인 배수관(排水管)이 매설된 집수정(集水井)이 낙엽(落葉) 등(等)의 퇴적(堆積)으로 매몰된 경우와 경사가 급한 침사지(沈砂池)(집수승(集水桝)) 벽이 무너져 내린 결과 이 지점을 월수(越水)하여 측구침식(側溝浸蝕)을 일으키고 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시범임도(示範林道)의 태풍피해(颱風被害)는 임도피해예방(林道被害豫防)을 위한 경험부족(經驗不足)에서 나타낸 현상으로 보인다. 상기(上記)와 같은 점을 개선하면 동(同) 시범임도(示範林道) 조성방법(造成方法)은 경제적(經濟的) 임도(林道)차 모델로서 발달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주차장지역의 강우유출수로부터 발생된 퇴적물 특성 (Sediment Characteristics in Parking Lot Ditch)

  • 이소영;이은주;손현근;김철민;;손영규;김지형;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3-49
    • /
    • 2007
  • 최근 환경부의 환경정책은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전국적인 확대를 앞두고 다양한 토지이용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의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도로, 고속도로 및 주차장 등의 포장된 지역은 수계 인근에 존재하고 있기에 비점오염원 관리에서 우선순위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의 토지이용인 주차장은 많은 차량의 운행, 정차 및 주차로 인하여 다량의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축적이 높은 토지이용이다. 또한 높은 포장율로 인하여 강우 발생시 다량의 강우유출수가 비점오염물질을 함유하여 배수구로 유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맨홀은 강우시 유출된 강우 유출수를 짧은 기간이지만 체류시켜 입자상 물질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차장 맨홀에서의 퇴적물을 채취하여 입자상 물질 입도별 중금속의 함량을 조사함으로써 맨홀에 의한 비점오염물질의 제거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중금속으로 오염된 퇴적물의 효과적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채취된 퇴적물의 입도분석이 시행되었으며, 입도분포별 중금속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입도분석을 수행한 결과 $425-850{\mu}m$ 사이의 입도가 가장 많은 범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도 크기와 중금속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입도크기가 적을수록 높은 중금속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중금속 중에서 Cu, Pb, Zn의 함량이 전체 중금속의 3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오염물질이 차량의 타이어와 엔진파트에 많이 함유된 중금속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주차장의 맨홀은 비점오염물질의 제거에 많은 기여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주차장의 비점오염원 관리에 있어서 맨홀의 개량을 통해 더욱 더 높은 비점오염물질의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임도(林道) 옆도랑의 침식요인(浸蝕要因) 평가(評價)와 안정성(安定性) 판별(判別)에 관(關)한 연구(硏究) (Evaluation of Side-ditch Erosion Factors and Judgment of Side-ditch Stability in Forest Road)

  • 이해주;지병윤;정도현;김종윤;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97-404
    • /
    • 2000
  • 임도 옆도랑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평가 및 안정도 판별을 위하여 광릉시험림의 임도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침식에 미치는 기여순위는 종단물매, 시설위치, 절토사면경사, 절토사면구성물질, 유하거리, 노면형태, 노면재료, 절토사면피복도, 절토사면길이 순으로 나타났다. 임도 옆도랑침식을 유발하는 요인을 평가하면, 종단물매는 8% 이상, 임도시설위치는 산록(山麓)과 중복(中腹), 절토사면경사는 $50^{\circ}$ 이상, 절토사면토성은 견질토사, 자갈섞인 토사, 호박돌섞인 토사, 유하거리는 80m 이상의 지역에서, 그리고 노면재료는 토사도(土砂道)와 자갈부설도에서, 노면형태의 경우에는 철(凸)형과 직선형, 절토사면 피복도(被覆度)는 피복도가 중(中)이상인 곳에서 임도 옆도랑침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豫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