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32초

GIS를 이용한 야생동물의 공간적·환경적 분포특성 분석: 강원도 백두대간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The Spat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Wild Animals Using GIS: a Case Study of Baekdudaegan Region, Gangwon-do)

  • 박정묵;이정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90-9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distribution of wild animals in Baekdudaegan region using field survey and GIS data. Crucial facto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wild animals (7 species in 6 families) and rare endemic plants (14 species in 11 families). These crucial factors include stand factors (forest type, DBH class, and crown density), soil factors (bed rock, soil texture, and organic matter), geographical factors (elevation, slope, aspect) and climatic factors (temperature, rain fall, humidity). Finally, 10 factors were selected by statistical analysis and categorized for analyzing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eatures. Four families such as Muridae, Sciuridae, Suidae and Talpidea in wild animal showed the similar habitat characteristics with the 10 factors.

경기도 성남시 도시지역 습지의 유형 분포 및 습지식물의 특성 평가 (Distributional Patterns and the Evaluation of Hydrophytic Plants of Urban Wetlands in Seongnam City, Gyunggi-do Province, Korea)

  • 전승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9-172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생태계 연구의 적지로 판단되는 경기도 성남시를 대상으로 습지 현황, 습지 유형, 습지식물의 특성, 그리고 훼손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성남시의 도시습지는 1차 조사결과 모두 162개소가 확인되었으며, 입지적 특성에 따라 산간습지 55개소, 하천변 습지 4개소, 묵논 및 묵밭 62개소, 웅덩이 37개소, 저수지 4개소 등으로 분류되었다. 1차 조사결과, 습지로서의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된 107개소에 대해 2차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약 39%에 달하는 42개소가 규모가 작고 육지화되어 습지의 가치가 매우 낮으며 매립 및 배수화 등으로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었다. 학술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중요 습지 27개소를 대상으로 수문환경 특성과 습지식물의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남시 도시습지는 아직도 양호한 수환경 조건과 다양한습지식물의 분포와 정착환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된 184종류의 식물종 가운데 습지의존적인 식물은 75종류인 약 40.7%의 비율에 불과하며, 따라서 대부분의 습지가 육상역 식물종의 침입과 같은 인위적인 교란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습지식물 우세도 지수를 적용하여 습지의 보전상태를 평가한 결과에서도 성남시 전체의 경우 지수 값이 약 3.7로 나타나 습지평가유보 단계를 벗어난 양호한 육상생태계 수준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남시가 중부내륙의 산악도시임을 감안할 때 전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산간습지와 묵논 및 묵밭의 발달은 비록 규모는 작으나 육상과 수계 생태계사이의 생태적 추이대로 생태적 거점역할 측면에서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공호 호소사면 나대지의 식물분포 특성과 녹화를 위한 식물 종 선정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and Plants Selection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in Artificial Lakes)

  • 천경식;김경아;서원복;장진환;유기억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41
    • /
    • 2010
  •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and plants selection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was investigated in nine artificial lakes. The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64 families, 194 genera, 268 species, 3 subspecies, 30 varieties, 3 forma, totaling 304 taxa. Dominant species of nine investigated areas were represented as Ambrosia trifida, Calystegia hederacea, Matricaria matricariodes, Xanthium italicum. Dominant species of three parts based on the location of artificial lakes were as follows:Ambrosia trifida, Bidens tripartita, Calystegia hederacea, Equisetum arvense, Setaria viridis, Spergula arvensis, Torilis japonica in northern part (Lake Paro and Soyang); Calystegia hederacea, Matricaria matricariodes, Rumex crispus, Xanthium italicum in middle part (Lake Chungju, Daecheong, Andong and Imh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Bidens frondosa, Chenopodium glaucu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ersicaria pubescens, Setaria viridis in southern part(Lake Juam, Hapcheon and Jinyang). Among the 304 taxa, Korean endemic, endangered and rare plants were not investigat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6 taxa, and life form was Th-$R_5-D_4$-e type. Above the results, Calystegia hederacea, Equisetum arvense, Xanthium italicum, Matricaria matricariodes, and Spergula arvensis were considered with proper species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in artificial lakes.

한국 선상지의 이론적 고찰과 분포특성 (The Theoretical Study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Alluvial Fans in Korean Peninsula)

  • 사이토쿄지;황상일;다나카유키야;오구치다카시;윤순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5-352
    • /
    • 2005
  • 산록에 있는 선형의 완사면이 페디멘트인지 선상지인지에 대한 주제는 한국 지형학사를 통하여 오랜 기간 논의되어 왔다. 결국 페디멘트 연구자들에 의해 그동안 선상지의 존재가 부정되면서 선상지 용어사용 및 선상지 연구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지형형성기구 및 프로세스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을 기초로, 구체적이고 논리적인 이론 정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선상지가 부정되었던 쟁점들을 논의하고, 검토하여 한반도 선상지 연구에 보다 정회한 이론적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계적인 선상지와 비교하기 위하여 한반도 남부에서 13개의 선상지를 선정하고 지형면의 분포특성을 고찰하였다.

서해 해양 침적폐기물의 성상별 분포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to Properties of Marine Submerged Wastes in the West Sea of Korea)

  • 김민정;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19-230
    • /
    • 2023
  • 해양폐기물은 위치에 따라서 해안폐기물, 부유폐기물, 침적폐기물로 분류한다.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눈에 보이는 쓰레기들 외에 해양침적쓰레기에 대한 관리 및 수거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삼면의 바다 중 서해의 해양침적폐기물 종류별 분포 특성을 파악한 연구이다. 연구를 통해 폐합성수지, 고철, 폐타이어, 기타 순으로 많은 양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서해 바다의 폐합성수지 심각성에 대해 보여주는 결과로 이로 인해 머지않아 해양생태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하여 쉽게 알지 못하는 서해 침적쓰레기의 종류와 분포에 대해 인식하게 되고, 향후 수거활동에 도움이 되는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 comparative study between French schwa and Korean [i] - An experimental phonetic and phonological perspective -

  • Lee, Eun-Yung;Kim, Seon-Jung
    • 음성과학
    • /
    • 제7권1호
    • /
    • pp.171-186
    • /
    • 2000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French vowel [e] and Korean [i] and to seek a way of understanding them from a phonological point of view. These two vowels have similar distributional properties, i.e. they alternate with zero in some contexts. Therefore, in both languages, they are not found when immediately followed by a nucleus with phonetic content and in word-final positions. We firstly compare the two vowels by measuring the actual frequencies of the formants, pitch and energy using CSL. We also consider whether the realisation of the two vowels is affected by the speed of speech sounds. In order to show that realisation of the two vowels in both languages is not arbitrary, rather predicted, we will introduce the notion of proper government, proposed and developed by Kaye (1987, 1990) and Charette (1991).

  • PDF

주행특성지수를 이용한 차량 주행상태 판별 (Determination of Driving States using the Driving Characteristics Index)

  • 주다니;문상찬;이순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10-216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determine vehicle driving state using the driving characteristics index. This index is a quantitative value to classify the driving state of a vehicle with its velocity and heading angle in that instant. It can classify driving state into straight driving, lane changing driving and curve driving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number of positional information is movably set up by designed region of interest. The proposed index is expressed on the stable driving states. Each driving state has characteristic tendency, and is compared with index distributional areas.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the actual driving experiment on the KATECH proving ground.

마산만 조간대에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분포 패턴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s of Marine Benthic Algae at Intertidal Zone in Masan Bay)

  • 곽석남;허성회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9-185
    • /
    • 2009
  • 마산만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분포패턴을 2007년도에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42종의 해조류가 서식하였으며, 이 중 녹조류 5종, 갈조류 8종, 그리고 홍조류가 29종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amansii, G.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Gracilaria textorii, 그리고 Polysiphonia morrowii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점종들은 수직분포가 뚜렷하였는데, 조간대 상부에는 U. pertusa, G. divaricatum가, 중부에는 E. intestinalis, E. linza, S. thunbergii, G. divaricatum이 우점하였다. 한편 하부에는 U. pertusa, Undaria pinnatifida, S. thunbergii, G. amansii, G. divaricatum, C. pilulifera이 주로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출현종수는 계절 및 정점에 따라 변하였다. 겨울에 가장 많은 38종이 출현하였으며, 가을에는 28종으로 가장 적었다. 정점별로는 정점 4, 6에서 가장 많았으며, 정점 1, 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해조류 군집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지도 및 MDS 분석 결과에서는 해조류의 종조성 및 현존량이 각 정점의 지형적인 차이 및 조류, 해수의 움직임과 같은 물리해양학적인 특징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반도 하록 참나무류의 분포 특이성 (Distributional Uniqueness of Deciduous Oaks(Quercus L.) in the Korean Peninsula)

  • 김윤하;김종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7-59
    • /
    • 2017
  • The Korean peninsula belongs to the temperate forest biome dominated by many deciduous oaks. W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tudied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n the major oak species such as Quercus mongolica, Q. serrata, Q. variabilis, Q. dentata, Q. aliena and Q. acutissima. A total of 5,278 samples were analyzed with a species coverage and 6 principal environmental variables extracted from public database of nationwide natural environment survey. Correlation analysis was accomplished by the CANOCO using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PASW Statistics. The hierarchical distribution tendency of six oaks was finalized using the Goodman-Kruskal lambda coefficient of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by SYN-TAX 2000. The utmost factor on the distributional segregation of oak species was the elevation, i.e. temperature. Q. serrata and Q. mongolica show clearly a diametrical distribution patterns with zonal distribution. Q. variabilis was determined as a thermophilic and xerophilous species that is a component of not only natural pseudo-climax forest but also secondary forest.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dominant forest was found Q. mongolica. Whereas, Q. serrata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individual tree but the relatively lower frequency of dominant forest, which is resulted from the original habitat loss. By the benefit of the traditional Soopjeong-E, Q. acutissima dominant forests were remained rather largely. Individuals of Q. dentata occurred horizontally nationwide, but its dominant forest was the poorest. Dominant forest of Q. aliena, which is a natural vegetation, was the most rare due to a limited potential habitat.

한국산 개미취속 및 근연 분류군의 열매 형태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the achene morphology of Korean Aster L. and its allied taxa)

  • 정규영;정형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9-187
    • /
    • 2000
  • 광의의 한국산 개미취속의 16종류에 대하여 열매인 수과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과의 형태는 도피침상 장타원형, 도란형, 장타원형, 도란상 장타원형 의 4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수과에 존재하는 모용은 단열성 원추형, 사상형, 원주형, 두상형, 장축 두상형, 구형의 6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들의 수과 선단에서 분포양상은 무모형, 원추상 모용 소생형, 원추상 모용 밀집형, 원추상-두상 모용 혼생형의 4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수과의 형태와 이에 존재하는 모용의 특징은 분류군내의 개체간에는 변이가 없으나 분류군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여 종을 구분하는 좋은 형질로 여겨졌다. 특히 두상형의 모용의 존재여부와 수과선단의 두상형의 모용과 원추형의 모용이 혼생하는 형질은 광의의 Aster속을 Kalimeris, Heteropappus, Aster, Gymnaster속으로 세분할 때, Kalimeris속과 Heteropappus속 및 Aster속의 Pseudocalimeris절을 구분짓는 형질, 즉 절 이상을 구분하는 형질로서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