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satisfied Customer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5초

의복불평행동에 관한 연구 -의복 불평행동의 분류법과 원인, 유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lothing Complaining Behavior : Taxonomy Cause and Type)

  • 홍금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0-110
    • /
    • 1999
  • Understanding consumer complaining behaviors plays a key role in post-purchase satisfaction customer retention and long-term customer relationship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1) the taxonomy of complaining behavior 2) causes and types of clothing complaining behavior according to sex. The subjects compoed of 250 male and 358 female consuemrs. Data were colleted through questionnaires employing the critical incident methodolog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lothing complaining behavior was fitted well into Singh(1998)'s three-factor model(i. e. voice/private / third-party complaining behaviors) these factors explained 53% of the total variances 75.1% of male and 65.2% of female group complained of poor instruental performance. The types of complaining behaviors were no action negative word-of-mouth to friends and associates n order. Most dissatisfied consumers didn't assert positive consumer's right. Marketer should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ir complaint receiving mechanisms to passive customers.

  • PDF

패션 제품의 e-CRM에 관한 연구 (제2보) -성별의 조절 효과- (A Study on e-CRM in Fashion Internet Shopping Mall -Comparing groups by gender-)

  • 이지현;이승희;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809-81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mportance of gender in dynamic relationship structure in fashion internet shopping mall and to provide marketers e-CRM marketing strategy. Out of 473 customers, 470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in fashion Internet shopping mall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1-test,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using AMOS program. As the results, both men and women had ‘relationship maintenance intention’ in e-CRM. However, only women had ‘intention to discontinue relationship’, when shopping mall made mistakes to them. Also, in men's group, ‘service’ only had effect on ‘Trust’, while ‘service’and ‘financial benefit’ had effects on‘Trust’ in women's group. If women would be dissatisfied with a shopping mall, they have a strong intention to disconnect with it.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men have more tolerance for shopping mall's mistakes than women hav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CRM marketing strategy for fashion internet marketers.

속성복합점수 기반의 만족 고객 재분류를 이용한 고객만족경영 향상 방안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using the Satisfied Customer Reclassification based on Attribute Complex Scores)

  • 송기정;서광규;안범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45-353
    • /
    • 2011
  • 본 논문은 고객만족도 조사가 지니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의 개선 방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다. 고객만족도 수준이 높아질수록 만족고객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 할 수 있는데, 실제 조사 측면에서는 만족응답으로의 쏠림현상이 두드러져, 데이터 분석의 구조적 한계와 함께 고객만족 개선안 도출의 유용성이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만족고객을 재분류하여 보다 전략적인 의미를 도출하고 만족 고객의 불만족 요인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부속성의 복합 점수를 이용한 만족고객의 재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제안 모델의 사례 연구결과 기존의 1차원 모형으로 전체 지수산출위주의 분석결과 보다는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안 연구결과는 향후 고객만족도 조사가 다양하고 입체적으로 분석되어 고객만족조사의 활성화는 물론, 고객만족경영 향상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고객 만족/불만족 2차원 모형기반의 만족 고객 재분류를 이용한 고객만족경영 향상 방안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using the Satisfied Customer Reclassification based on a 2 Dimension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 서광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415-3420
    • /
    • 2011
  • 고객만족도 수준이 높아질수록 만족고객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 할 수 있는데, 실제 조사 측면에서는 만족응답으로의 쏠림현상이 두드러져, 데이터 분석의 구조적 한계와 함께 고객만족 개선안 도출의 유용성이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만족고객을 재분류하여 보다 전략적인 의미를 도출하고 만족 고객의 불만족 요인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사용한 단일차원이 아닌, 만족/불만족 2차원 모형을 적용하여 고객 재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을 적용한 결과 만족과 관련된 속성과 불만족에 관련된 속성이 별개이고, 만족요인과 불만족 요인의 역할과 기능이 다르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고객 재분류를 통하여 고객 만족을 최대화하고 동시에 고객 불만족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 고객만족경영을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신뢰가 학생침묵과 이탈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st on Student Silence and Exit Intention)

  • 조현진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5호
    • /
    • pp.59-66
    • /
    • 2019
  • Purpose - Many studies show that dissatisfied customers are silent rather than expressing complaints directly to firms. Although silent voices are pervasive in service failure, they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researchers. Silence implies a multidimensional nature, not just the opposite of voice. This study focuses on two types of silent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acquiescent silence and defensive silence. This study also proposes cognitive trust and affective trust as variables affecting student sil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trust types on student silence and exit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test the proposed model,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undergraduate students who selected silence in a dissatisfied relationship with a professor. Respon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recalling the dissatisfaction at that time. A total of 300 students was surveyed from whom 275 completed questionnaires was obtain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for the hypothesis test. Results - First, cognitive trust was negatively related to acquiescent and defensive silence. Second, affective trust was negatively related to acquiescent and defensive silence. Third, cognitive trust was negatively exit intention, but affective trust didn't significantly reduce exit intention. Forth, acquiescent sil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exit intention, but defensive silence didn'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xit intention. Thus, a key result of this analysis was that acquiescent silence enhances exit intention.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ypes of silence, and the role of trust, thus furthering the implication of student reactions to dis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e value of student silence in the context of complaint management. Acquiescent silence should be more importantly managed because it has stronger negative motive than defensive silence. Acquiescent silence is reduced through various channels(mail, telephone, counseling) that can express complaints. Cognitive trust and affective trust are a essential factors in reducing silence. Also, in explaining exit intention, cognitive trust plays a more important role than affective trust.

고객의 개인적 요소가 대기시간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Customers' Individual Factors on Waiting Experience)

  • 김주영;유보미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1-30
    • /
    • 2010
  •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고객들은 자주 대기를 경험하게 된다. 고객은 대기로 인해 불만족을 느끼고 서비스 장소를 이탈할 수도 있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자가 대기시간을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대기시간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 결과, 서비스 제공 단계별 대기시간 연구, 실제와 지각된 대기시간에 대한 연구, 대기를 경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대기환경과 대기정보 등 매개변수에 대한 연구, 고객의 특성에 따른 대기경험의 차이 연구 등을 통해 고객의 대기경험을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ui and Tse(1996)가 제시한 고객의 행동적 메커니즘의 평가적 요소, 즉 지각된 대기시간, 대기수용정도, 대기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고객이 대기할 때 경험한다는 것을 바탕으로 서비스 제공자가 대기 시점에서 통제하기 어려운 고객의 개인적 요소들(고객충성도, 거래중요도, 대기기대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제 대기상황(패밀리 레스토랑, 놀이공원)에서 탐색적 연구를 하였다. 두 번의 실험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레스토랑에서 조사한 결과, 고객의 거래중요도가 대기경험에 긍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레스토랑의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의 거래중요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통해 고객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놀이공원에서 조사한 결과는 거래중요도뿐만 아니라 고객충성도가 대기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놀이공원의 서비스 제공자는 지속적으로 고객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통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대기에 대한 고객의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의 연구결과는 서비스 장소의 특성에 따라 고객이 대기를 다르게 경험하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자는 해당 서비스 장소에 따라 고객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강화, 개선해 대기시간을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에서 조절적인 변수로 취급되었던 거래중요도, 대기기대수준 등의 고객 특성이 대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독립 변수로 연구됨으로써 대기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즉, 획일화된 서비스전략이 모든 고객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고객의 개인적 요소들에 따라 대기경험에도 차이가 생길 수 있음을 감안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대기시간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고객충성도가 대기경험에 미친다는 것도 알아내었다. 고객충성도는 중·장기의 긍정적인 서비스 경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누적되는 고객만족의 중요성을 위해 대기시간 관리에서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실제 대기시간과 대기경험 간의 관계에서 지금까지 대기시간 연구들이 지각된 대기시간을 위주로 연구해왔으나, 실제 대기시간이 대기경험에 미치는 영향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계 대기시간과 함께 실제 대기시간의 영향력을 알아봄으로써, 동일한 실제 대기시간에도 개인이 느끼는 한계 대기시간에 따라 대기경험에 다양한 반응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기경험 간의 관계에 있어서도 Hui and Tse(1996)의 연구와 달리 고객은 대기시간을 지각하면, 이에 대한 수용여부를 결정하고, 대기상황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한다는 어느 정도의 방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신생아복의 사용 실태 및 만족도 연구 - 배냇저고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sage and Satisfaction of Newborn Clothing - Focused on Baenaet Jeogori -)

  • 권상희;노의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2-322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customers' possession, usage, and satisfaction of newborn clothing, and analyzes their satisfaction with textiles of baenaet jeogori (the most basic Korean item of newborn clothing).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02 mothers with infants under 24 months old. The baenaet jeogori was the most commonly possessed item, followed by swaddling blanket, shirt and pants set, bodysuit, one-piece, and baenaet gown. About 52.6% of respondents used the swaddling blanket all day, 52% of respondents possessed 4-6 baenaet jeogories, and most respondents used the baenaet jeogori 4 weeks or more. Two most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of the baenaet jeogori were textiles and season suitabilit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functionality.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baenaet jeogori; however, there are a few problems with difficulty in putting and taking off as well as textiles. Most baenaet jeogories chosen by respondents were made of cotton and 68.8% of them were made of eco-friendly textiles. Respon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extiles when they are unsuitable for the season. Eco-friendly textiles were chosen for baby health and eco-friendliness, and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a baenaet jeogori made of eco-friendly textiles in general. The results show customers' high interest in textiles and the popularization of newborn clothing made of eco-friendly textiles. There was little interest in eco-friendly or safety certification marks despite the significant interest in the functionality and safety of textiles. Therefore, correct information on those certification marks is required.

서비스 실패의 통제성과 회복 만족간의 관계 연구 -지각된 공정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ontrollability of Service Failure and Recovery Satisfaction - Focused on Perceived Justice -)

  • 이수원;서인덕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8권
    • /
    • pp.291-313
    • /
    • 2001
  •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와 회복에 관한 연구로서 그 동안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한 실패와 회복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패 그리고 회복과 관련된 변수들과 이들 변수들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여 보다 확고한 개념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의 통제성이 회복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이들 변수 들은 서비스 회복 공정성에 의해 조절되어진다는 연구 과제를 설정하고 시나리오를 통한 유 사실험설계연구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실패의 통제성은 회복 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실패의 통제성과 회복 만족간의 관계에 절차적 공정성, 상호관계적 공정성 그리고 분배적 공정성 모두는 상호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 PDF

서비스 회복활동이 상품전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케이블TV산업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ice recovery activities on churning commodities (Focus on the Cable-TV Industry))

  • 경승현;정기주
    • 서비스연구
    • /
    • 제6권3호
    • /
    • pp.57-78
    • /
    • 2016
  • 본 연구는 방송 통신 산업에서 기업의 서비스 회복 활동이 고객의 상품 전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는 것이다. 한국의 방송통신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으며, 서비스 수준이 메이저 회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기업들의 고객이동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일단 한번 이동한 고객은 돌아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서비스 기업에게 고객유지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CRM이 강화되는 추세다. 그러나 대규모 투자와 지속적인 비용이 필요한 CRM은 중소기업에서 운영하기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CRM환경이 열악한 기업이 고객의 서비스 실패 상황을 작지만 즉각적인 회복활동이 상품전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 기업데이터를 사례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고객의 이동률이 약 2~5배 (월 평균 전체고객 대상 상품전환율 1.3%)가 높았으며, 적극적인 회복 활동은 상품전환율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 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고객의 상품전환(Churn) 의사에 따른 서비스 회복활동 보다는 서비스 실패 확인 시 기업의 서비스 회복활동 노력이 상품전환율을 낮추어, 기업의 다양한 서비스 실패 환경에서의 서비스 회복 노력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품전환(Churn) 의사확인 후 방어활동 비용 대비 상대적으로 저 비용으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치과진료기관의 고객 불만처리에 관한 실태분석 (Analysis of Grievance Handling for Medical Consumers: the Case of Dental-Care Institutions)

  • 김진;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7-152
    • /
    • 2007
  • 본 연구는 치과진료기관의 고객 불만처리 실태를 파악하고, 불만처리 서비스 및 불만 예방서비스 시행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7년 1월 20일부터 2월 20일까지 치과진료기관을 대상으로 총210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으나 이 중 4부는 응답자료에 결측치가 있어 분석에서 제외시키고 총 206(98%)부의 설문지를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진료기관에서 불만처리서비스에 대해 32.5%가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64.6%는 불 만처리서비스를 시행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94.7%가 불만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의료소비자의 불만 내용으로는 '진료 및 대기시간이 길다'가 40.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보험 미적용'이 30.6%, '진료에 대한 설명부족' 6.3%, '진료비 과다청구' 5.8%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 불만건수는 1~10건이 91.3%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만표현방법에서는 '직원에게 직접 말한다'가 88.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된 불만처리 담당자는 '치과위생사'가 56.8%로 높게 나타났다. 치과진료기관의 불만대처방법으로는 '즉각적인 조치'가 3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환자의 성향을 분석 후 불만을 처리' 30.0%, '불만에 대해 변명으로 대처' 11.1%, '불만처리센타를 설치해 적극적으로 대처' 7.0% 순으로 나타났다. 3. 불만처리서비스 시행 정도는 총평균 3.02로 나타났으며, 불만처리 담당자가 '치과위생사'일 경우 접수담당자 보다 의료소비자 불만처리서비스 시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월 불만건수가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1~10건'과 '11건 이상'의 경우보다 불만처리 시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4. 불만예방서비스 시행 정도는 총 평균 2.59로 나타났으며, 서울, 인천 경기의 경우 지방보다 불만예방서비스 시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1), 치과위생사 가 불만처리를 담당했을 경우 접수담당자 담당한 경우 보다 불만예방서비스 시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