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ersion Coefficient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36초

대기 경계층 연직방향 확산의 지면 거칠기에 따른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ariation of Vertical Dispersion within Boundary Layer with Surface Roughness)

  • 박옥현;윤창옥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7-246
    • /
    • 2000
  •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arried out using a rotating water channe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n the vertical dispersion of plume within boundary layer. Dispersion measurements of tracers released from two sources with different height at neutral conditions over various rough terrain ranging from rural to urban have been performed. Various values of roughness length were simulated by combining of 4 stream velocities and 3 roughness element conditions. Dispersion measurements have also been made for rough terrain where high buildings are locally concentrated. Values of $\sigma$z increase with roughness and this tendency appears to apply both cases of with and without locally concentrated high buildings. The comparisons of the Bowne's nomogram on $\sigma$2 vs x relationship and the measurements of $\sigma$2 with roughness show good accordance in $\sigma$2 distribution at stability D class over rural, suburban and urban terrain. For constant roughness length the $\sigma$2 values of plumes from lower source height are smaller than those of plumes from higher source at short downwind distance, but this relationship becomes reverse as distance increases. Crossing appears to be made before about 2km. The value of constant I in McMullen's equation $\sigma$2=exp [I+J(In x) + K(In x)2] appears to increase with roughness length,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other constants and roughness have been confirmed. The values of $\sigma$2 for various downwind distances, estimated by using an equation which is employed in ISC (Industrial Source Complex) dispersion model for areas where high buildings are locally assembled, are in accordance with measurements from water channel experiments.

  • PDF

채널 간격이 일정한 WDM 전송에서의 Mid-Span Spectral Inversion을 이용한 보상 특성 (Characteristics of Compensation for WDM Transmission with Equally Spaced Channels using Mid-Span Spectral Inversion)

  • 이성렬;임황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619-626
    • /
    • 2004
  • 채널 간격이 100 ㎓로 일정하고 채널 비트율이 40 Gbps인 16-채널 WDM 시스템에 MSSI(Mid-Span Spectral Inversion) 기법을 적용한 경우의 4-광파 혼합(FWM: Four-Wave Mixing)에 의해 왜곡된 채널 신호의 보상 특성을 살펴보았다. MSSl를 통한 광대역 보상을 위해 광 위상 공액기(OPC: Optical Phase Conjugator)의 비선형 매질로 HNL-DSF(Highly-Nonlinear Dispersion Shifted Fiber)를 사용하였다. 우선 MSSI 기법을 이용하면 FWM에 의한 채널 간섭의 영향을 모든 채널에 걸쳐 특정 입력 전력 범위 내에서 비슷한 특성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OPC에 의해 생성되는 공액파 전력이 입력 신호파 전력에 비해 작은 장파장 채널들은 광섬유의 분산 계수가 커질수록 보상의 정도가 줄어드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즉 분산 계수가 비교적 적은 광섬유를 통해 채널 간격이 일정한 WDM 채널들을 특정 전력 이내에서 양호한 품질로 전송하는데 HNL-DSF를 이용한 MSSI 보상 기법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행하천에서 횡혼합에 관한 추적자 실험 (Tracer Tests on Transverse Mixing in Meandering Streams)

  • 서일원;백경오;전태명;진준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673-689
    • /
    • 2003
  • 사행이 있는 자연하천에서 횡혼합 특성을 분석하고 종ㆍ횡분산게수를 산정하기 위해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남한강 지류인 섬강 및 청미천에서 사행구간을 선정하여 유속과 수심 측정 및 추적자실험을 수행하였다. 추적자로서는 미량으로도 관측이 용이한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였으며 주입은 순간. 점주입 조건을 바랐다. 이를 통해 취득된 수리량 및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종ㆍ횡분산계수를 산정하였고, 이들을 기존의 추정식에 의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종분산계수는 해석해를 통해 산정하였는데 섬강은 약0.5 $m^2$/s, 청미천은 0.2 $m^2$/s 로 산정되었다. 횡분산계수는 해석해 및 모멘트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는데, 섬강은 약 0.01-0.06 $m^2$/s의 범위를 가지며 청미천은 약 0.0l-0.05 $m^2$/s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비보존성 오염물질에 대한 종확산 방정식의 수치해법 (A Numerical Method for Longitudinal Dispersion Equation for Nonconservative Contaminants)

  • 유명관;전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607-616
    • /
    • 1999
  •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종확산에 관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계산기법으로는 종확산 방정식을 이송, 감쇠 및 확산 방정식으로 분리하고, 이들 방정식을 1/3 시간 간격에 대하여 번갈아 계산하는 단계분리 유한차분기법을 사용하였다. 이송방정식에 대해서는 Holly-Preissmann 기법을, 감쇠방정식에 대해서는 해석적 방법을, 확산방정식에 대해서는 Crank-Nicholson 기법을 각각 사용하였다. 오염물질이 불균일 흐름 내로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및 균일 흐름 내로 순간적으로 부하되는 경우에 대한 종확산 문제에 모형을 적용하여 계산결과를 정확해와 비교함으로써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감쇠방정식의 수치해법으로써 Euler 방법을 사용하는 기존의 모형에 계산결과를 비교하였다. 감쇠계수가 커질수록 본 모형이 기존의 모형에 비하여 더욱 정확한 계산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Approximate Numerical Reflection Coefficient of Isotropic-Dispersion Finite-Difference Time-Domain(ID-FDTD) Scheme at the Planar Dielectric Interface for the TM Wave

  • Deng, Pingping;Koh, Il-Suek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45-49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an analytical formulation of the numerical reflection coefficient of the ID-FDTD scheme at the planar dielectric boundary for a TM wave incidence. The reflection coefficient is formulated in an approximate manner, and the accuracy of this method is numerically verified. The effective dielectric constant for a grid on the interface is obtained, and then reduced to that of the Yee scheme for a small cell size.

Organic Pollutant Transport in Unsaturated Porous Media by Atmospheric Breathing Processes( I ) - Partition Coefficient -

  • Ja-Kong;Lim, Jae-Shin;Do, Nam-Young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6년도 경북지부 결성 및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53
    • /
    • 1996
  • This paper reports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overall partition coefficient of VOCs in unsaturated soil, A chromatographic method wa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gaseous partition coefficients to natural soil under various water content conditions. The equilibrium vapor pressure of water over saturated salt solution was used to fix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and control the water content of the soil systems. The transport behavior was studied for dichloromethane, trichloroethane and dichlorobenzene pollutants, with log 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s(log $K_{ow}$ ) which range from 1.25 to 3.39, or water to soil partitioning which varies by 135 times; water solubility constants which vary by 3 times; and vapor pressures which range from 1 to 362 torr. Water content of the soil had a pronounced effect on the effective partition coefficient(between gas and soil + water stationary phase) as well as on the effective dispersion coefficient.

  • PDF

몽골 광산업의 국민경제 기여도 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Economy of Mongolia's Mining Industry)

  • 친공;짱신단;이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63-374
    • /
    • 2021
  • 본 연구는 Asian development bank/ ERCD가 2021년 발표한 2019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광산업이 몽골 국민 경제에 얼마만큼 기여하는지를 분석하여 몽골 경제의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몽골 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과 몽골 경제 활성화 방안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몽골 경제를 35개 산업으로 분류하여 국가 경제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몽골 광산업의 총생산 유발액은 38,418백만 달러, 생산유발계수는 열 합계는 1.473, 감응도계수는 1.696,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707, 생산유발계수는 1.473 로 나타났다. 몽골 광산업은 다른 산업보다 생산유발효과가 높고, 다른 산업을 이끌어가는 전략산업으로써 발전 잠재력이 큼을 알 수 있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선형 흡착 식 및 이류-확산 모델 파라미터 추정 (Estimation of Nonlinear Adsorption Isotherms and Advection-Dispersion Model Parameters Using Genetic Algorithm)

  • 도남영;이승래;박현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41-5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아연 및 카드뮴을 대상으로 수행된 흡착실험과 칼럼확산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비선형 흡착 모델 및 이류-확산 모델식의 파라미터들을 추정하여 보았다. 수행결과 비선형 흡착 식 (Langmuir 흡착모델과 Freundlich 흡착모델) 들의 모델파라미터 추정은 이들 흡착식 들의 선형화 과정을 거쳐 얻어진 파라미터들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오염물질의 이동 해석을 위해 수행된 이류-확산 모델의 유한요소해석과 모델 파라미터 추정을 위해 수행된 최적화 과정을 통해 얻은 아연과 카드뮴의 확산계수는 선형 분배계수를 이용할 경우 두 금속 모두에서 약 $10^{-7}cm^2/s$ 차원의 확산계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비선형 흡착 모델로부터 얻어진 지연인자를 이용할 경우 두 금속 모두에서 $10^{-6}{\sim}10^{-5}cm^2/s$ 범위의 확산계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화 과정을 통한 비선형 흡착식 및 이류-확산 모델의 파라미터 추정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었고, 실측값과 최적화 과정을 거쳐 예측된 값 사이의 상관계수는 0.9 이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탄화수소 흡착 컬럼의 전산모사 특성 (Computational Simulation of Hydrocarbon Adsorption in a Packed Column)

  • 유경선;이수정;김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0-16
    • /
    • 2020
  • 세탁시설에서 배출되는 탄화수소의 흡착제거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흡착 컬럼의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흡착질은 세탁시설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중 가장 대표적인 탄화수소를 선정하였으며 흡착제는 활성탄으로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흡착컬럼의 수학적 방정식은 연속방정식과 Navier-Stokes 식을 적용하여 해석하였으며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분방정식을 해석하였다. 흡착등온식은 선형흡착등온식, 프로인들리히 흡착등온식 그리고 랑뮈어 흡착등온식을 평가하였으며 흡착등온식의 흡착상수에 따른 흡착량을 비교하였다. 공극률은 0.79, 분산계수는 42.4 ㎠/min, 흡착제 밀도는 485 g/L, 흡착컬럼 직경은 2.0 cm, 흡착컬럼 길이는 2.5 cm라는 조건에서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랑뮈어 흡착등온식에서 선속도, 분산계수, 공극률에 대한 흡착량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선속도는 50~200 cm/min, 분산계수는 100 ~400 ㎠/min, 공극률은 0.66~0.79로 변화시켜 수행하였다. 전산모사를 통한 결과는 활성탄-벤젠의 흡착에 대하여 랑뮈어 흡착등온식이 가장 잘 일치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3가지의 흡착등온식을 비교한 후 전산모사를 통하여 탄화수소의 효율적인 흡착조건을 찾을 수 있으며 이를 고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