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isease Mechanism Weight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19초

만성 긴장성 두통 환자에 대한 사암침 치료효과의 Pilot 임상연구 (Effect of Sa-am Acupuncture Method for Chronic Tension-type Headache;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홍권의;박양춘;조정효;조현경;정인철;강위창;이상봉;최선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13-28
    • /
    • 2007
  • Objectives : Clinical character of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is bilateral, moderate intensity, persistent and chronic, repeating disease and CTTH is a common prevalent disease, but pathophysiology and likely mechanism remain unclear. It impedes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a-am acupuncture method for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Methods : In this randomized, sing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e compared active acupuncture with sham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Volunteers who satisfied the requirements were enrolled in study. Evaluation of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was measured by VAS and Headache Disability Inventory(HDI), Six point Linkert Scale before and after treatments. Results : 26 subjects finished study. There were no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age, sex, weight, height, blood pressure, pulse, respiratory rate, Byeonjeung, sunrise of treatment. In change of VAS, there were no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before treatment. Before treatment per visit, VAS of 6th and 7th visi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ctive acupuncture(each p=0.039, p=0.008) and were not decreased in sham acupuncture. In change of VAS on a withdrawing needling after treatment, VAS of 1st, 2nd, 6th and 7th visi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ctive acupuncture (each p=0.001, 0.038, 0.035, 0.008) and VAS of 2nd, 4th and 5th, 6th visi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ham acupuncture(each p=0.033, 0.032, 0.035, 0.031). In change of VAS on 2hrs after treatment, VAS of 4th and 5th, 6th visi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ctive acupuncture(each p=0.014, 0.023, 0.027) and 5th visi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ham acupuncture(each p=0.004, 0.009). In change of VAS on 4hrs after treatment, VAS of 4th and 5th, 6th visi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ctive acupuncture(each p=0.018, 0.011, 0.015) and 5th, 6th visi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ham acupuncture(each p=0.020, 0.015). In change of VAS on the next day after treatment, VAS of 3th and 4th and 5th, 6th visi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ctive acupuncture(each p=0.032, 0.011, 0.005, 0.012) and 4th, 5th visi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ham acupuncture(each p=0.001, 0.012). In change of VAS according to a current time(before treatment, after a withdrawing needling, 2hrs, 4hrs, the next day), total score of VAS was decreased more active acupuncture group than sham acupuncture group,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d with sham acupuncture group. In change of HDI score, after treatment was decreased than before treatment in two group,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d with two group. In change of Six point Linkert scale score, after treatment was decreased than before treatment in two group on 6th, 7th visit(active acupuncture 6th 7th each p=0.002, 0.003, sham acupuncture 6th 7th each 0.003, 0.009),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d with tow group. Conclusion : Sa-am acupuncture treatmen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 PDF

혈액투석 유지요법 환자에서 투석 전후의 좌심실 Doppler 심초음파를 이용한 기능지표의 변화 (Impact of Hemodialysis on Left Ventricular Performance: A Doppler Echocardiographic Study)

  • 강동오;이두하;김현서;김현수;김성록;박종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09-317
    • /
    • 1999
  • 만성 신부전증은 지속적인 혈액투석을 하고 있음에도 다양한 형태의 좌심실 기능부전을 보이며, 특히 좌심실 수축기능이 정상이면서 이완기능 장애만으로 임상적인 심부전증 증상인 폐부종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혈액투석 후 급격한 혈액량의 변화가 생기므로 적정 심박출을 유지하기 위하여 좌심실 이완기능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혈액투석이 좌심실의 수축 및 이완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Doppler 심초음파도 지표들을 이용해 투석 전후에 좌심실 수축 및 이완기능의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심초음파 검사상 좌심실 수축기능 부전이 없고(fractional shortening>30%), 심장 판막질환이나 심근 국소벽 운동장애가 없으며 정상 심율동을 가진 만성 신부전증 환자 30명(남자 15명, 연령$45{\pm}10$세)을 대상으로 이면성 심초음파도 검사를 시행하고, 혈액투석 전후의 좌심실 용적, 좌심실 수축기능 및 Doppler 심초음파도를 이용한 좌심실 이완기능 지표들의 변화를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혈액투석 후 맥박은 약간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혈압은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의 감소가 있었다. 혈액투석 후 좌심방 및 좌심실 확장기 내경의 크기가 감소했으나 좌심실 수축기 내경의 크기는 변화가 없었고, 심실중격 및 좌심실 후벽의 두께는 변화가 없었다. 좌심실 수축기능 지표인 Fractional shortening, 좌심실 구혈율, 좌심실 박출지수, mean VCF은 투석 전후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혈액투석으로 인한 좌심실 수축지표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투석 후 좌심실 이완기능지표의 변화로서 peak E velocity는 현저히 감소하였고, peak A velocity의 변화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E/A ratio가 감소하였고, IVRT(Isovolumic Relaxation Time)의 증가가 있었으나, DT(Deceleration time)의 변화는 없었다. 수축기 및 이완기 기능 지표로 사용되는 IMP(Index of Myocardial Performance)는 좌심실 구혈율의 증가와 함께 현저히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혈액투석 후 전부하의 감소에 따른 좌심실 이완기능 지표의 변화로서 E파속 및 E/A비의 감소, IVRT 증가가 나타나고 수축기 기능 및 이완기 기능의 지표로 이용되는 IMP의 증가가 발생하므로, 혈액투석 후 흔히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의 악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유자씨유의 지방산분석 및 Nitric Oxide 생성, 지방축적능, 렙틴분비 조절효과 (Fatty acid analysis and regulatory effects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oil on nitric oxide production, lipid accumulation, and leptin secretion)

  • 김태우;김경곤;강윤환;김대중;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4호
    • /
    • pp.221-228
    • /
    • 2014
  • 본 연구는 유자씨유 (Citron seed oil, CSO)의 지방산분포와 생리활성 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함으로서 기능성 식용유 소재로서의 CSO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oleic acid 32%, linoleic acid 34%, palmitic acid 19.2%, stearic acid 3.8%, linolenic acid 2.0%, palmitoleic acid 0.6%, arachidic acid 0.3%를 함유하고 있었다. 세포독성실험을 통해 0.2 mg/ml 농도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용매 DMSO에 의한 독성이 관찰되어 CSO의 독성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다. HUVECs과 3T3-L1 세포에서 생리활성을 확인하기위해 nitric oxide 생성, Oil Red O 염색을 이용한 지방적형성, leptin 분비를 관찰하였다. CSO는 HUVEC에서 TNF-${\alpha}$의 처리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된 nitric oxide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켜 0.1 mg/ml에서 control 수준까지 nitric oxide 분비량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CSO는 MDI solution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1{\mu}M$ dexamethasone, $10{\mu}g/ml$ insulin) 처리를 통해 분화가 유도된 3T3-L1 adipocyte에서 control (100%) 대비 0.05 mg/ml에서 약 27.5%, 0.1 mg/ml에서 약 15.1%의 지방적 (lipid droplet) 형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CSO가 항비만 활성에 잠재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leptin 방출이 control군 (100%)대비 CSO 0.05 mg/ml에서 144.5%, 0.1 mg/ml에서 138.3%로 증가하여 식욕억제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CSO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우수한 식물성유지이며 몇 가지 생리활성효과를 가지는 우수한 소재임을 확인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소재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