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ursive Analysi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초

담론적 관점에서 히스토그램의 의미와 과제 발문 분석 (Analysis of the meaning of histogram and questioning in histogram tasks from a discursive perspective)

  • 김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2호
    • /
    • pp.237-25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담론적 관점에서 우리날 중학교 1학년 교과서 3종과 미국 CMP 교과서 담론에서 생성된 히스토그램의 의미를 분석하는 한편, 히스토그램 과제의 통계적 문제해결 단계별 발문의 특징을 조사하여 향후 히스토그램에 관한 교과서 담론 개선에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첫째, 국내 교과서와 미국 CMP 교과서에서 히스토그램을 정의하는 방식의 차이가 있었고, 둘째, 교과서에서 히스토그램의 의미를 구성하는 담론적 구조는 다양했다. 셋째, 히스토그램 과제에 반영된 통계적 문제해결 단계가 제한적이었고, 넷째, 국내 교과서와 미국 CMP 교과서의 히스토그램 과제 발문에서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활동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히스토그램을 정의하는 과정과 과제의 발문 개선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언론의 '대학 개혁' 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이명박 정권 이후 대학 정책에 대한 주요 신문의 보도를 중심으로 (A Critical Study of Media Discourses on 'University Reform' Focused on Major Newspapers' Reports on University Policies of Administrations from 2008 to 2015)

  • 이오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2권
    • /
    • pp.29-72
    • /
    • 2017
  • 이 연구는 언론이 정권들에 의해 주도된 '대학 개혁' 정책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보도하였는지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명박 정권 이후 8년 동안의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의 사설과 사내 칼럼을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다양한 담론 전략들을 활용하여 '대학 위기'를 기정사실화하고 국가 위기로까지 확대 해석하여 대학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매우 중대하고 시급히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라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둘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대학 위기를 불러일으킨 주범으로 기존 대학 체계를 지목하고 이를 개혁하기 위해 신자유주의 대학 체계를 도입해야한다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셋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과 이에 대한 자신들의 보도가 이념적이기보다는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그리고 사회의 보편적 이익을 구현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이들을 상식화하고 자연화하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넷째,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에 대한 대항 담론을 생산하였으나 양적 질적 한계를 지녔다. 이러한 언론의 불균형한 담론 지형과 아울러 이 시기에 신자유주의에 압도적으로 편향된 사회와 언론계의 구조를 고려할 때, 한국 사회에서 대학 개혁을 둘러싼 헤게모니 담론 투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채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이 독주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 동안 시장과 기업의 논리는 대학 운영의 모든 부분에서 지배적 작동원리로서 확고히 자리 잡았다.

  • PDF

'위험한 미디어 vs 든든한 육아 도우미' : 영유아 스마트 미디어 이용 담론에 대한 탐구 ("Dangerous Media vs. Reliable Childcare Helper" : Discursive Analysis of Infants' Smart Media Use)

  • 최이숙;김반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15-525
    • /
    • 2021
  • 이 연구는 영유아들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스마트미디어 노출=위험한 행위'라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아동의 스마트 미디어 과의존은 증가해왔다. 이러한 현상은 영유아들의 미디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을 살펴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 연구는 10개 일간지 및 경제지를 대상으로 2018년-20년에 생산된 기사를 분석했다. 그 결과, 영유아의 미디어 담론 형성의 핵심적인 발화주체는 관련 콘텐츠 생산자 및 플랫폼 운영자들이었다. 학계 및 시민단체, 부모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 미디어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입장이 개진되었지만 산업계는 이러한 위험성 논의를 넘어 영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긍정적 의미를 부여했다. 스마트 미디어는 자녀의 생활습관형성, 학습과 발달을 돕는 미디어,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통제권을 확보하도록 도와주는 안전한 미디어로 재정의 되었다. 자녀의 스마트 미디어 과의존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거론되면서 비난과의 대상이자 문제해결의 주체였던 부모는 산업계의 서사 전략 속에서 돌봄 책임자이자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위치 지워졌다. 위험 담론 속에서 불완전한 돌봄의 방식으로 표상되었던 디지털 육아는 이제 최신 기술을 활용한, 부모들이 손쉽게 동원 가능한 육아 방식으로 규정되었다.

Analysis of Students' Use of Metaphor: The Case of a RME-Based Differential Equations Course

  • Ju, Mi-Kyung;Kwon, Oh-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8권1호
    • /
    • pp.19-30
    • /
    • 2004
  • This research applies the discursive approach to investigate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students' conceptual model of differential equations. The analysis focuses on the students' use of metaphor in class in order to find kinds of metaphor used, their characteristics, and a pattern in the use of metaphor. Based on th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students' conceptual model of differential equations gradually becomes transformed with respect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ucture of the communal practice of mathematic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daily practice of mathematics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product, a learner becomes socially transformed to a certain kind of a cultural being with historicity. This implies that mathematics education is concerned with the form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identity at a fundamental level.

  • PDF

How the New York Times Portrayed the 2010 Brazil-Turkey-Iran Nuclear Deal: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Esfandiary, Esmaeil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4권2호
    • /
    • pp.57-68
    • /
    • 2015
  • This paper examines the New York Times' reaction to the 2010 Brazil-Turkey-Iran (BTI) nuclear deal, the very last diplomatic effort before the imposition of international sanctions track over the following years. The New York Times' (NYT) coverage of the deal is examined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tic (CDA) approach formulated by Teun van Dijk. The results show a strong bias against the BTI deal throughout the NYT's news coverage. The overarching theme in cover-age of the deal is the imputation of malignant intentions on the part of both Iran ("to kill time to further its nuclear weapons program") and Brazil and Turkey ("to advance their own business dealings with Iran and gain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Also, non-relevant information is used to imply a threat of Iranian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Moreover, the NYT leaves almost totally "unsaid" that president Obama had asked Brazilian and Turkish leaders to go to Tehran and get this deal. Therefore, the NYT basically echoed, and legitimized, discursive practices of the U.S. government on the deal.

문헌정보학 정체성에 대한 연구: 비평적 담론분석 기반 미국 문헌정보학 강령분석을 중심으로 (Revisi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Mission Statem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hool in United States)

  • 박옥남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89-109
    • /
    • 2013
  • 본 연구는 미국 문헌정보학과 홈페이지에 나타난 강령분석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의 주요 개념에 대한 담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비평적 담론분석을 사용하였으며, 1) 문헌정보학 강령구조의 접근성, 제목, 구조를 조사하였으며, 2) 정체성 분석을 위해 의무적 용법, 어휘분석, 행위분석을 실시하였다. 3) 문헌정보학의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교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과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담론분석을 문헌정보학 분야와 연계하여 정체성을 밝히는 연구의 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Harmony through Holistic Engagement: An Emic Model of Greater East Asian Regionalism

  • von Feigenblatt, Otto F.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2권2호
    • /
    • pp.61-87
    • /
    • 2013
  • This study applies grounded theory to develop an emic substantive theory of regional integration in Greater East Asia. The role of norms and policies is explored through discursive content analysis of a wide theoretical sample of official elite policy statements dealing with regionalism and related policy areas. A resulting model of regional integration titled "Harmony through Holistic Engagement" is then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tic consensus on the phenomenon.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etic consensus on the nature of regional integration in Greater East Asia greatly differs from the results of an emic approach and thus reflects a normative consensus rather than a descriptive reality.

A Descriptive Study on Students' Talk During the Presentation of Their Science Projects

  • Oh, Phil-Seok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6-40
    • /
    • 2005
  • Based on the Vygotskian perspective that a learner's thinking is constituted in his or her talk and the assumption that student talk in the classroom may occur in more than one way, this study examined discursive practices of students in Korean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Data came from $11^{th}$ grade earth science classrooms where the Group Investigation (GI) method was implemented. Data source included verbatim transcripts developed from video recordings of class sessions in which students presented their science projects to the whole class and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during the presentations. The analysis of the videotape transcripts revealed five different modes of student talk, including 1) retrieving information, 2) reformulating information, 3) building on one's own experience, 4) elaborating current understanding, and 5) negotiating meanings with others. Considering that each of the five modes had different value for learning science, it was recommended that the teacher should engage students in more active modes of discourse and guide them into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science.

청소년자녀의 부모와의 갈등과 갈등표출방식 (Parents-Adolescent Conflicts and the Ways of Representing the Conflicts)

  • 신효식;이경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9-38
    • /
    • 2001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the degrees of the parent-adolescent conflicts and the ways of representing the conflicts were according to the sex. The subjects were 468 high school students. For data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and Duncan-test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ex in the degrees of the parent-adolescent conflicts. 2. The ways of representing the conflicts were found to be argumentative behaviors in boys and discursive behaviors in girths. 3. There were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in the ways of representing the conflicts according to the degrees of the parent-adolescent conflicts.

  • PDF

Understanding the Evidence-Based Policy Making (EBPM) Discourse in the Making of the Master Plan of National Research (RIRN) Indonesia 2017-2045

  • Setiadarma, Eunike Gloria
    • STI Policy Review
    • /
    • 제9권1호
    • /
    • pp.30-54
    • /
    • 2018
  • The government of Indonesia has initiated the Master Plan of National Research (RIRN) 2017-2045 as a policy umbrella of national research activity. The initiative has been in place since 2015, yet the process required a long period of coordination. And with the extensive movement of evidence-based policymaking (EBPM), there has been a call of expectation towards policymakers to accurately use scientific evidence in their policymaking process. However, the complexity of policymaking process renders the ideal notion of EBPM questionable. This research attempts to understand how the EBPM as an idea can shape the interactions of actor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by using the discursive institutionalism as the analytical framework. By conducting ten interviews with actors involved in the making of RIRN and close examination of the policy documents for content analysis, this research describes the institutional features of EBPM discourse in Indonesia, which are reflected in the interactions of policy actor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RIRN. This research also offers descriptive and learning narratives on the role of discourse in the policymaking process.